::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1/08 13:45
제가 저그 유저는 아니지만 제 나름의 생각과 경험으론,
5번부터 0번까진 해처리를 하고, 럴커는 3번, 저글링을 1, 2번... 이런 식으로 생산에 주력하면서 럴커를 뒤쪽에 둔답니다. 중요한 디파일러 같은것은 따로 넘버링을 하고요... 섬맵에서 저저전을 할땐 1, 2번 해처리 하고 3번부터 뮤탈로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게임 초반 비어있는 번호에 스포닝풀, 스파이어 같은것을 지정해 놓고 화면 이동 없이 바로바로 업그레이드를 눌러주는것도 좋지요.
05/01/08 14:27
저그유저인 저의 넘버링은 5~9 해처리 1~4 유닛 0 스코지로 하구요.
초반 1번 오버로드(4번으로도 가치 지정합니다 나중에 저글링 나오면 1번으로 하기 때문에) 드론만들 미네랄에 가까운 라바 2번 로템6시 같은 지역은 만들어진 드론 잡기 힘든 위치엔 만들어지는 라바 3번 그담 9드론 까지 만들어지면 정찰 나가는 드론 2번 화면지정은 본진 f2 앞마당 f3 하구요. 이제 중반쯤부터 유닛 부대지정은 히럴 일땐 러커를 1번으로 합니다. 만약 히드라를 먼저 하면 히드라 1부대면 러커가 2번이 대고 히드라가 두부대가 대면 러커가 3번이 대니 무조건 러커는 1번으로 하구요. 그담 저글링 러커는 1번 저글링 2번 러커 3~4번 저글링으로 합니다. 1번으론 감싸는 역활 하기 위해 마메 뒤로 무빙하고 3~4번 저글링으로 어택을 하기 위해, 그리고 무조건 중요한 유닛은 1번으로 합니다. 뮤탈이나 디파 같은 그리고 힘쌈할때의 스코지는 0번으로 지정해놉니다. 삑싸리를 방지 하기 위해 키보드 0위에 마우스 밑봉을 붙여놓앗구요. 이상 여기까지 저의 부대지정이엿구요. 저그 프로게이머들의 부대지정을 보자면 크게 3가지로 나눕니다. 1~3 해처리 4번부터 유닛 이 방법은 생산할때 1s 2s 3s 하고 유닛은 마우스로 찍습니다. 생산에 중점을 둔 방법으로 강도경 선수가 사용하는걸루 알고 있구요. 그담 0번부터 해처리해서 거꾸로 오는 겁니다. 장점은 부대지정이 밀릴 일이 없다는거죠. 홍진호 선수가 사용하는걸루 알고 있구요. 그담 3이나 4번부터 해처리를 시작해서 동시에 0번 9번 8번 이런식으로 같이 지정을 해둡니다. 그래서 유닛이 많아지면 0번으로 생산을 하구요. 이용범 선수가 사용하는걸로 알고 있구요. 그담 5번~0번 해처리 1~4 유닛 성학승 선수가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건 자신이 편한걸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05/01/08 14:53
물량 자신 없으신 분들은 제가 해서 효과 본건데요
손 잘닿는 2하고 3에 처음에 두개의 생산건물을 지정해 놓으시고(투배럭, 투팩, 투스타포트, 투게이트, 투해처리등)1번에 컴셋이나 여타 본진 건물정도 혹은 실시간 체크해야하는 유닛정도, 그리고 4~9번까지 유닛을 지정하는것도 좋은듯.
05/01/08 16:31
저글링 + 럴커로 쌈싸먹을 떄 포인트는 저글링입니다 나머지 유닛을 어택당한다 시는건 고쳐야할 점이겠네요 ^^; 저글링으로 무브해서 감싸 서 럴커와 함께 싸먹어야하기 떄문에 저글링에도 부대지정을 해놓는 것 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05/01/08 20:02
중후반 넘어가서 해처리 수가 3개에서 5개가 넘어갈때쯔음엔 저같은 경우는 0~6번 스타팅지역 해처리(하나하나 떨어져있으므로..) 멀티지역 해처리는 화면지정으로 합니다. 그리고 1~5번까지는 부대지정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