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24 19:13
네, 다 뗀 금액입니다. 국민연금, 의료보험, 소득세, 고용보험, 주민세 정도가 기본입니다.
소득세는 국민연금이나 의료보험에 대면 비중이 별로 안 높습니다. 국민연금이 봉급의 4.5%(원래 봉급의 9%인데 회사 측에서 절반을 부담하기 때문에 그나마 4.5%가 됩니다. 연금따위 필요없으니 내 돈...ㅡㅜ), 소득세가 1.5%정도 될겁니다.
09/07/24 19:22
뭐, 만 60세까지 계속 납부하면 퇴직한 뒤에 얼마 받게 된다... 등의 계산을 내어주긴 합니다만, 요즘 물가를 생각하자면 그게 그때 가서 뭐 그리 많이 도움되는 액수인지도 모르겠고 국민연금 재원이 나날이 말라가는 걸 보고 있자면 그저 1원까지 세금을 다 내야 하는 유리지갑들은 내가 왜 저 밑빠진 독에 물을 붓고 있나 싶기도 하고 말입니다... (게다가 요즘 세상에 어지간한 직장에서 만 60세까지 버티는 것도 쉬운 미션은 아니죠)
작년에도 국민연금이 주식에 투자했다가 조 단위 액수로 손해를 봤던 기억이 있는데 차라리 그 돈을 가지고 저축보험이나 다른 재테크에 활용하면 더 나을 것 같기도 하고요. 월 300 받는 사람이면 적어도 13만원 이상 뜯기는 셈이니, 이래저래 별로 달가운 액수는 아닙니다^^;
09/07/24 19:26
릴리러쉬님// 연소득 4600이하는 소득세율이 16%이니 12달로 나누면 그정도가 됩니다.
원래 구간별로 다르기도 하고 소득공제 등도 있다보니 매달 내는 소득세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09/07/24 20:06
국민연금이 4.5%로 가장 부담이 크고요.
건강보험료도 2.54%로 부담이 꽤 됩니다. 소득세는 간이세액표에 따라서 원천징수를 합니다. 고용보험료는 0.45% 입니다. (급여총액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