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7/12 13:29
최근 그와 반대되는 내용은 아마도 온난화에 의한 빙하가 녹음으로써 바닷물의 염도가 내려가는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북극에 있는 빙하들이 여름엔 살짝 녹았다가 겨울엔 다시 붙는데- 최근 1~2년 사이내에 북극에 빙하들이 전부 녹을수도 있다고 합니다. 물론 그해겨울엔 다시 얼긴하겠습니다만
08/07/12 13:53
마술사님// 그니까 그건 또 증발되잖아요~ 하지만 광물은 물과같이 증발되지가 않죠. 빙하가 녹거나 하는일이 없는한 지구상에 있는 바닷물은 일정한 양이 유지됩니다. 헌데 광물은 계속 유입되죠.
08/07/12 18:06
흠...제가 약간 잘못 이해했었군요. 빅뱅님도 저랑 같이 생각하신것 같은데;;
어쨋든, 남자라면스윙님이 질문하신 요지는, 지구상의 바닷물에서 물은 일정하다. 그런데 염분은 바다에 계속 공급된다. 따라서 바닷물의 염도는 점점 더 높아진다. 는 것인데.. 일단 '염분은 바다에 계속 공급된다'는 것의 근거를 자세히 설명해주면 좋겠네요. '바다 안의 광물이 조금씩 녹아서 늘어나는 염분'과 '염분이 결정화되어 소금 형태로 빠져나가는 염분'이 어느 쪽이 많은지 부터 분석해 봐야 되지 않을까요.
08/07/12 18:07
남자라면스윙님// 이미 수십억년간 평형상태에 가깝게 도달했다고 봐야겠죠.
말인 즉슨, 현재 염분농도를 크게 좌우할만큼 바다로 염분이 흘러들어오지는 않는다고 보는것이.. 말하자면 초창기 바다가 생성되고, 기후변화를 거치면서 대다수의 지상의 염분들이 흘러왔다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소량의 염분유입은 염전이나 어획등으로 대충 맞춰진다고 보고싶습니다만.. 정확하게 염분의 변화량 데이터를 알지 못하니 추측만 할 뿐입니다.
08/07/12 18:10
염분 유입은 역시 광물이 비에 씻겨내려가거나, 동물의 사체나 분뇨, 음식물 찌꺼기등등에 포함된 염분이 비로인해 씻겨져 내려와서 유입된다고 보면 될것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