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6/15 15:08
프로야구는 10년 하면 FA를 획득할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FA가 되기전에는 구단의 웨이버 공시(?)가 있지 않는한 무조건 원 소속구단과 계약해야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08/06/15 16:48
프로야구는 9년간 뛰면 FA 자격이 획득되구요. 재취득에는 4년이 필요합니다.
타자의 경우 시즌의 1/3이상 뛴 시즌, 그리고 투수는 규정이닝의 2/3, 그것도 아니라면 1군 등록일수가 150일 이상이었나, 아무튼 기준 이상을 채운 시즌이 9년 이상 되어야 인정됩니다. FA로 이적을 하더라도 보상선수나 보상금을 새 구단에서 원소속 팀에게 지불해야 하구요. FA자격을 취득하기전까지는 원소속구단과 계약을 해야하고 연봉등으로 인해 구단과 마찰이 생길 경우 아주 가끔이기는 하지만 연봉조정 신청까지 가기도 하죠. (거의 구단이 승리) 축구는 제가 자세히 알지는 못하는데 k리그는 한 시즌의 50%을 뒨 연도가 5년인가 이상되면 FA자격이 취득되는걸로 압니다. 유렵의 경우 보스만 룰이라고 하여 원 소속팀과의 계약기간 만료 6개월 전부터는 어느팀이나 제약없이 협상이 가능하구요. K리그는 이런저런 FA제도의 문제점 때문에 선수 이적에 관한 파동이 많았었죠.
08/06/15 20:24
축구는 야구와 다릅니다. 따로 기간이 정해진 것이 아닌 소속팀과의 계약기간이 끝나면 fa가 됩니다.
축구는 드래프트제를 실시합니다.(과거 드래프트였다가 자유계약으로 바뀌었었는데 2005년에 다시 부활하였습니다) 보통 지명받은 선수는 3년계약을 하게 되구요.. 번외지명받은선수는 1년계약으로 할 겁니다. 따라서 3년 지나면 자유계약선수로 풀리구요.. 이적료는 없게 됩니다. 이것은 2005년입단이후 선수에게 적용되는 겁니다... 그리고 2004년 이전선수는 계약금을 받고 입단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계약금이 족쇄가 되어서 계약기간이 끝나도 이적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fa가 되어서 타팀에 이적하려고 할 경우 이적료를 주고 데려와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선수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계약기간중 타팀으로 가는경우에는 이적료를 주고 데려갑니다. 그리고 선수는 새로운팀과 새로운 계약을 체결합니다. 그리고 선수의 계약기간에 상관없이 뭐 6개월 남았다 하더라도 필요한팀이 이적료를 준다면 이적가능 합니다. 한마디로 k리그는 유럽처럼 보스만룰이 적용안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