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08 08:08
이진법을 쓰는 이유는.... 칩이고 메모리고 공정에 들어가는 소자(transistor)들의 출력전류, 전압이 2개의 안정된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식별을 위해서는 안정된 출력을 써야 하는데 그 출력이 2개이니(일반적으로 zero와 최고값이죠) 2진법을 쓸 수밖에요... 이진법으로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원리는 컴과나 전자공학과의 디지털시스템, 컴퓨터구조 과목에서 자세히 나옵니다
06/12/08 11:19
이진법을 쓰는 이유는 논리소자를 쓰기 때문인데, 논리 소자가 0과 1 이라는 두 가지 값만 가짐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잡음에 굉장히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원래 초기에는 아날로그 컴퓨터가 개발되었었습니다. 그런데 이 아날로그 컴퓨터는 잡음에 약하죠. 잡음이라는 게 막을 수 있는 게 아니라 항상 어디선가 들어오는 것이기 때문에 처리하기 난감하죠. 그래서 개발된 것이 0과 1 이라는 트랜지스터의 두 극단의 값만 사용하는 컴퓨터였습니다. 0과 1 만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돌리기 위해선 어마어마한 수의 트랜지스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처음엔 만들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수의 트랜지스터를 한 칩에 집적해서 만드는 집적회로 공정이 발달하면서 이진법 컴퓨터 ( 디지털 컴퓨터 ) 의 시대가 열린 것이죠. 이진법의 단점이라면...... 흠 일단 소자수가 많이 들어갑니다. 16bit 덧셈기 같은 것만 해도 꽤 많이 필요하죠. 그리고 소자수가 많기 때문에 당연히 전기를 많이 먹고 발열이 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