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1/08/02 00:15:58
Name Alan_Baxter
File #1 msl10.jpg (1.23 MB), Download : 10
Subject 2001.8.1~2011.8.1 MSL 10주년 역대 우승자, 역대 선수 목록




2011년 8월 1일은 2001년 8월 1일에 시작된 MSL의 전신 KPGA TOUR 8월투어 예선전이 있었던 날의 딱 10년 되는 날입니다.
10년 동안 쌓아올린 MSL의 역사를 여러분도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불명예 우승자에 대한 처리 문제는 여러분들의 뜻에 따라 회색 처리했습니다.

1차 투어 부터 스카우트MSL까지는 마땅한 사진이 없어서 결승 엔딩에 나온 영상을 붙였는데,
PGR 분들 중에서 적당한 사진이 있으시다면 쪽지를 통해 보내주셔요.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인 휴가 기간과 겹쳐서 조금 늦었는데, 다른 MSL 10주년 관련 자료는 추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 OrBef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1-08-04 23:5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8/02 00:19
수정 아이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10년째된 MSL 계속 볼수 있을까요? 11, 12, 13년 그 이후로도요

망설여지는 발언이기는 하지만 정말 MSL은 마재윤빼고는 얘기할수가 없네요 진짜....
속상합니다..
진리는망내
11/08/02 00:24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뒤에 올라올 자료들도 기대되네요.

이 노래 제목이 뭐죠?
캐리어~ 로 들은 적이 있었는데 크
11/08/02 00:27
수정 아이콘
msl의 중흥기는 마재윤과 함께했죠. 하. 씁쓸하네요
11/08/02 00:27
수정 아이콘
스타우트 MSL 강민 우승했던 시절부터 본 MSL의 광팬으로서 정말 추억이 새록새록하네요.

강민의 초기 MSL의 명경기 퍼레이드. 최연성의 MSL 독점. 박태민과 이윤열의 엄청난 혈투. 조용호의 감동우승

마XX의 독점과 강민과의 1.2.3차 성전. 그 후 이 둘을 낮은 확률을 100퍼로 만들어버리면서 짓밟아 버린 김택용

김택용의 돔아트홀 나들이. 선비의 로키2에서의 마패. 패승승승 이제동 스코어. 정크벅크. 골든에이지오브프로토스

김윤환의 브레인. 리쌍록의 정전. 그 후 일어나는 리쌍 결승전. 뮤컨으로 소름돋게한 신동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갓!


이제 마지막으로 펼쳐지는 MSL...의 우승자는 누가 될까요.. 아쉽네요.. 마지막이 아니길.
마빠이
11/08/02 00:34
수정 아이콘
이노래는 김택용선수가 msl 우승하면 나오던 곡이네요 ㅠㅠ
클럽데이때도 우승후 이노래가 나왔죠....

저는 왜 이글을 보면서 눈물이 날까요...
msl 아프지말고 우리곁을 지켜주었으면 좋겠습니다..ㅠㅠ

화이팅~ msl~~~~~~~~~~~~~~~~~~~~~~~
11/08/02 00:37
수정 아이콘
우주MSL..
진짜 우승자보다 준우승자가 더 주목받던 대회였을것 같습니다
괴물 최연성을 셧아웃 시키고 천적이나 다름없던 조용호를 기적같이 3:2로 꺾었던
박정석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모든 힘을 쏟아부은 박정석은 결승에서 거짓말같은 참패를 당했다'랄까요..

여러분들은 왜 프로토스를 하십니까!~
sHellfire
11/08/02 00:44
수정 아이콘
msl 10주년 자료 기대할게요~
루크레티아
11/08/02 01:09
수정 아이콘
10주년 자료에는 분명 넣으시겠지만 msl이야말로 우승자만큼이나 준우승자의 이야기가 풍부한 리그였다고 생각합니다.
paulha1013
11/08/02 01:24
수정 아이콘
근데 왜 항상 MSL 이라고 하면 KPGA 투어 1차 대회부터 치는거죠?
제가 알기론 그이전에 월별로 대회를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리고 왕중왕전 우승을 성학승 코치가 했었죠....
하지만 우리 진호형은.......으흑....

추억이 새록새록이군요 지금은 코치 옵저버로 다양하게 활동하는 사람들도 있고, 물론 역사적으로 사라진 게이머들도 있지만
저에겐 이 10년이 굉장히 의미있는 시간이군요...
피피타
11/08/02 01:26
수정 아이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ㅠㅠ 잘 봤습니다.
라울리스타
11/08/02 02:05
수정 아이콘
아...추억 돋네요...

스타리그는 각 리그가 독립된 스토리인데 반해, MSL은 10년동안 한 흐름을 가지고 계속 왔다고나 할까요?

전설들의 탄생. 그리고 거짓말 같은 패망...

너무 반갑습니다. 그리고 MCR의 Welcome to the black parade는 MSL 결승전에서 듣고 반해서 CD까지 사버렸죠. 김택용 테마송이라 해도 무방한 노래입니다.
feel the fate
11/08/02 02:53
수정 아이콘
이윤열의 4연결승을 시작으로 최연성의 3연결승, 마-의 5연결승, 김택용의, 이제동의, 이영호의 3연결승까지....
MSL은 유난히 다회 연속 결승 진출이 많았던 리그죠.

둘이 쳐다볼때는 모두 지나쳤지만 세명이 쳐다보던 순간부터 사람들이 길을 멈추고 같이 바라봤다던 3의 법칙처럼,
3이라는 숫자부터는 그 전과는 전혀 다른 '多'의 느낌으로 다가오죠. 게다가 개인리그에서 3연속이라 하면 곧 1년....
그래서인지 '시대의 최강자'라는 단어는 사실 그 시즌 우승자보다도 MSL 전체의 역사 속에서 진정하게 공감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위의 라울리스타 님이 쓰신 전설들의 탄생. 거짓말같은 패망... 이라는 문구가 참 공감가네요.
스타리그가 시즌마다 하나하나의 주인공이 있는 소설이라면
MSL은 전체적인 역사를 놓고 이어진 몇개의 영웅담을 보는 느낌이죠. 떠오르고, 시대의 최강자가 되고, 장기집권, 그리고 그 이후의...

이 음악 들으니 많이 짠하네요...
엡실론델타
11/08/02 04:06
수정 아이콘
2003년이였죠.. 스타우트 MSL을 시작으로 저의 스타인생은 시작되었었죠..
MSL이 없었다면 이윤열팬도 이제동팬도 아니였을테고 피지알도 몰랐을테고....

시대의 최강자만이 가질수 있는 MSL타이틀.. 중간중간 큰 역경도 많았지만 극복해 내였던 MSL.. 항상 내 마음속 1순위였던 MSL...
10주년을 정말 축하하고
정말 마지막이 아니였으면 좋겠습니다.
hyperpotential
11/08/02 07:05
수정 아이콘
준우승자도 표시해주시지 ㅠㅠ
11/08/02 08:34
수정 아이콘
우주배 msl 다시 볼 수 없나요? mbc 게임 다시보기?? 간간히 유명한 장면은 봤는데 전부 다시 보고 싶었는데...
그 시절 난.. 임진강gop를 지키고 있었지...ㅠㅠㅠㅠㅠㅠ
새강이
11/08/02 09:01
수정 아이콘
아 추억이..ㅠㅠ 저때의 MSL을 보지 못하고 자란게 한입니다. 본격적으로 본거는 클럽데이 MSL 때부터..그래서 플토빠질을 3년하고 있는데 왜 그때 이후로 우승이 없니 흑흑흑
11/08/02 09:25
수정 아이콘
빼지 않아 감사하고 흑백처리라 훌륭합니다.
Go_TheMarine
11/08/02 10:10
수정 아이콘
김정민-서지훈 선수가 저 우승컵을 못들은게 참 아쉽고
GO-CJ 출신 저그유저들의 우승이 눈에 들어옵니다.

마재윤아 왜 그랬니...쩝...

MSL을 계속 볼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스웨트
11/08/02 12:49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에 프로토스의 영웅 박정석이 있었다면
MSL에는 강민이 있었군요. 프로토스가 다 나가떨어질지언정 강민은 떨어지지 않는구나.
Han승연
11/08/02 15:24
수정 아이콘
잘보고갑니다 ㅠㅠ
고딩어참치
11/08/03 15:57
수정 아이콘
분명 당대 최강자들의 영광이 빛나던 대회였지만,
이미 힘들다, 시대는 지났다라고 평가받던 선수들또한 빛났던 그런 리그가 MSL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정민선수가 보여줬던 클래스, 벼랑끝 홍진호 선수의 유보트 혈전, 당대 최강 최연성을 자신의 힘으로 짓누른 박정석 선수
영욕의 세월을 끝내고 결국에는 우승트로피를 들어올린 조용호선수, 압도적이었던 독재자에 매번 홀로 맞섰던 강민선수
정말 그립네요.
다리기
11/08/06 13:47
수정 아이콘
KPGA 3차리그부터 함께 했네요. 하.. 정말 잊혀지지 않는 결승들이 많죠.
이윤열-최연성-마재윤-이제동-이영호 로 이어지는 시대의 최강자 계보
그리고 사이 사이에 그들을 누르면서 엄청난 포스로 우승을 차지한 강자들도 꽤 있고...

가슴 짠하네요. 준우승자로만 목록을 짜도.. 거진 비슷하게 나온다는 것도 유머-0-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48 GSL Aug. Code. S. 32강 프리뷰 #5. G조. H조. [13] Lainworks6357 11/08/17 6357
947 스타의 실력이 늘지 않는다고요?? APM이 늘지 않는거겠죠.( 부제 : 하,중수를 위한 글) [56] Rush본좌13251 11/08/17 13251
946 여러분은 데이트 어떻게 하시나요? [40] 삭제됨10065 11/08/17 10065
945 숫자로 보는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정리 글 -2 [23] DavidVilla6187 11/08/16 6187
944 숫자로 보는 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 정리 글 -1 [5] DavidVilla5973 11/08/16 5973
943 (08)기동전 [25] 김연우11797 08/03/16 11797
942 (08)이영호의 믿음 [37] sylent11685 08/03/15 11685
941 (08)엄재경의 횡포. [53] sylent20594 08/01/05 20594
940 내맘대로 뽑는 2000~2010 일렉트로니카 음반 top 40.(1부) [13] hm51173406077 11/08/14 6077
939 오늘은 "왼손잡이의 날" [62] 마네10080 11/08/13 10080
938 GSL. Game of the Week. 0808~0814 [18] Lainworks7034 11/08/13 7034
937 [한국 문명 출시 기념] 세종대왕 특별편 (중요부분 정정 봐 주세요) [137] 눈시BB12356 11/08/12 12356
936 좋은 사람으로 남았다는 것. [23] nickyo8877 11/08/11 8877
935 적어도 우리가 STX컵을 폄하하진 말았으면 합니다. [72] 아우구스투스9830 11/08/10 9830
934 스마트폰은 사람들을 스투피드하게 만들었을까 [48] memeticist9343 11/08/09 9343
932 fake 수필 [7] 누구겠소6672 11/08/08 6672
931 되풀이된 악몽. 결여된 의식 [10] The xian8387 11/08/07 8387
930 상해에서 글올립니다. 게임캐스터 전용준입니다. [119] 전용준26801 11/08/06 26801
929 그냥 이것저것 써보는 잡담 [23] opscv7754 11/08/07 7754
928 저는 PGR이 좋습니다. [24] Typhoon5970 11/07/31 5970
927 MBC게임을 살릴 수 있는 더 확실한 대책입니다... [39] 마이다스10974 11/08/03 10974
926 [연애학개론] 마음이 데여도 괜찮다 [36] youngwon9672 11/08/02 9672
925 2001.8.1~2011.8.1 MSL 10주년 역대 우승자, 역대 선수 목록 [37] Alan_Baxter9089 11/08/02 90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