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8/01/06 03:37:27
Name 러브포보아
Subject 러브포보아의 초중급자를 위한 컴퓨터 조립 추천부품입니다~!! (08년 1월편)
안녕하세요~ 러브포보아입니다~!!
08년이 시작된지 며칠이 지났지만, PGR 여러분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너무 바빠서, PGR에 컴퓨터에 관한 글을 적어 올리기로 했는데 좀 많이 늦은감이 있네요~!!
항상 생각은 하고 있었으나, 이제야 올리게 되었네요~!!
죄송합니다.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CPU에서 인텔의 신제품 펜린이 드디어 등장했습니다.
11월에 요크필드라는 쿼드코어를 출시했으나, 가격이 110만원 가량 하는 터라 섣불리 살 수 없었으나
이제는 울프데일이라는 듀얼코어를 출시하였고 가격도 20만원전후로 신제품치고는 저렴하게 나왔습니다.
물론 시간이 지난다면, 저가형모델과 중가형모델이 출시 될 가능성도 충분하고, 캐쉬를 더 늘인 모델이 등장할 수도 있고,
현재는 FSB가 1333인 모델들이 FSB1600으로 올라서 등장할 수 도 있습니다.
음, 어려우시죠?

간단히 말해서 현재보다 더 저렴한 모델이 등장할 수 도 있고, 가격은 같으나 더 좋은 모델이 등장 할 수 도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역시 시간이 걸리겠죠?
아마도 올 여름이 되기전에 하나둘씩 등장 할 거라 봅니다.

AMD는 네이티브 쿼드코어인 페놈을 출시하였으나, 심각한 버그가 발견되므로써 타격이 큽니다.
그 심각한 버그란 것이, 심한 작업을 하여 CPU에 부하가 걸릴 경우에 CPU가 멈춰버리는 버그입니다.
실제로 쿼드코어를 부하에 이르게 할만큼 작업을 하시는 분은 많이 없기는 하지만, 일단 버그가 있는 CPU라는 자체가
회사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고 소비자들도 꺼려하죠.
거기다가 성능도 인텔이 작년에 출시한 쿼드코어인 켄츠필드보다도 약간 떨어집니다.(같은 클럭일때)
오버율도 낮고 클럭도 많이 낮기 때문에 현재로써는 매력이 없는 제품입니다.

VGA에서는 AMD의 HD3850과 HD3870이 무서운 가격대 성능비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8800GT역시
30만원도 안되는 저렴한(?)가격에 엄청난 성능을 뿜어내 주고 있습니다.
거기에 8800GS라는 좀 더 저렴한 모델을 선보이므로써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었습니다.

메인보드도 새로운 칩셋들이 하나둘씩 등장하나 아직까지는 가격이 만만치가 않기 때문에, 섣불리 다가가기는 힘들듯합니다.

램은 현재 방학를 맞이해서 그런지 소폭상승의 기미가 보이고는 있습니다만 현재 워낙에 싸기에 크게 신경안쓰셔도 될듯합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게 CPU와 VGA는 비싼거와 싼거의 차이가 체감할 수 있고, 클럭이라는 숫자놀이라도 나와있어서
구분은 가능한데 메인보드와 램의 비싼거와 싼거의 차이는 머냐고 하십니다.
일단, 메인보드의 비싼거와 싼거의 차이는 칩셋의 차이입니다. 칩셋이 최신칩셋이냐, 크로스파이어나 SLI(VGA를 두개 연결해주는 거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크로스파이어는 AMD의 VGA를 두개 SLI는 엔비디아의 VGA를 두개 연결할 수 있는겁니다.)를 지원하느냐 S-TAT의 갯수나 악세사리라고 불리는 여러가지 선들과 부품들 등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면 성능차이는 크냐??
같은 칩셋이라면 싼거와 비싼거의 성능차이는 아주 커봐야 5%이내입니다. 대부분이 0.1%의 차이도 보이지 않는게 대부분입니다.
칩셋이 다르다면, 아주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만 그것도 최신에 나오는 칩셋과 현재 많이 팔리는 칩셋과의 차이입니다.
최신에 새로운 기술이 포함된 칩셋이 출시되어서 성능차이는 조금 납니다만 그래도 차이는 미미합니다.
인텔에서 X48이라 불리는 칩셋이 새로 등장할 예정이나, 이런건 가격이 최소 30만원은 합니다.
물론 좀 더 좋은 칩셋일 수록 레이드지원도 되고(하드 여러개를 하나로 묶어 속도를 올리는 겁니다)  노스브릿지나 사우스브릿지라 불리는 것도 더 좋습니다.
어려우시죠?
결론은 칩셋이 좋을수록 비싸나, 칩셋간의 차이는 조금은 나고 성능의 차이는 미미하다.
그러나 비싼 메인보드를 사는 결정적인 이유는 전원부가 잘 되어 있어 오버클럭에 매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요게 결론입니다.

램도 마찬가지입니다. 램도 싼거와 비싼거의 결정적 차이는 오버클럭이 잘되냐 안되냐 입니다.
오버클럭을 하기 위해서는 램타이밍과 전압의 조절이 잘되어야 하는데 비싼건 이게 잘된다는 겁니다.

즉, 메인보드와 램을 비싼건 사는건 모두 오버클럭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오버클럭을 할줄 모르시거나 안하실 분은 비싼거를 살 이유가 없다는 거지요.

한가지 더 궁금한거를 물어보시는게 파워에 관해서입니다.
과연 파워의 용량은 얼마가 적당하며, 왜 좋은걸 사야할까?
가 가장 대표적인 질문이였습니다.
파워의 용량은 실질적으로 200W내외만을 사용합니다만, 과부하가 걸릴 정도로 사용할 때도 있기 때문에 350W정도면 충분하다는겁니다.
파워를 450W이상 사는건 정말 고급VGA를 쓰거나 위에 언급한 크로스파이어나 SLI를 통해 VGA를 2개 사용할때입니다.
그것이 아니면 절대로 대용량파워를 살 이유가 없습니다.
물론 350W가 정격에 가까워야 합니다.
이름이 없는 회사는 350W라고 표시를 해도 350W보다 훨씬 더 적은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럴경우에는 표시용량이 좀 더 큰걸 사야겠지요.
파워를 좋은거 사라는 말은 시소닉 에너멕스 안텍 타간 세븐팀같은 5대회사의 제품을 사라는건 아닙니다.
위 회사들은 가격도 만만치 않고, 역시 오버클럭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편입니다.
물론 제품은 상당히 좋습니다. 출력이 안정적이지요.
엄청나게 싼 제품들도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출력이 안정적이지 않고 싸인그래프처럼 출렁거리며 출력이 됩니다. 그러면 부품에 전압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는 확률이 커지게 되고 컴퓨터가 갑자기 꺼지거나, 특정부품이 갑자기 멈추게 될 수 도 있습니다. 컴퓨터가 작동하다가 갑자기 전원이 꺼져 나가면 망가지거나 제품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그러다가 파워가 고장나면서 꺼지면, 메인보드와 CPU VGA 램 하드 등등 모든 부품이 동시에 다 고장날 수 도 있고, 하나라도 고장 날 확률이 있습니다.
그래서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파워는 혼자 죽지 않아~!!"

휴~ 좀만 쉬다가 이제 추천부품을 적어드리겠습니다.

초저가형(AMD)
CPU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4000+ 정품 53,000
M/B MSI K9AGM3-FD MS프로바이더 53,000 or 디앤디컴 DREAM TF7025 AM2 DVI 53,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내장그래픽이므로 필요없음
HDD WD SATA2 160G (7200/8M) WD1600AAJS 정품 46,000 or 삼성 SATA2 160G (7200/8M) HD161HJ 정품 49,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스파클텍 FSP SAGA+ 350 31,000 or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350NF2 36,000

초저가형(인텔)
CPU 인텔 펜티엄 콘로 E2140 정품 63,000
M/B ASRock Wolfdale1333-DVI R1.0 에즈윈 55,000 or 유니텍 LEGEND DVI 945GC 현무 55,000 or ASRock ConRoe1333-D667 에즈윈  44,9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내장그래픽이므로 필요없음
HDD WD SATA2 160G (7200/8M) WD1600AAJS 정품 46,000 or 삼성 SATA2 160G (7200/8M) HD161HJ 정품 49,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스파클텍 FSP SAGA+ 350 31,000 or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350NF2 36,000

중저가형(AMD)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4400+ 정품 71,000
M/B MSI K9N Neo-F V2 MS프로바이더 55,000 or ASRock ALiveNF5-VSTA 에즈윈 49,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이엠텍 라데온 HD 2600Pro XENON Vforce 파워업 256MB 77,000 or SAPPHIRE 라데온 HD 2600Pro D3 오버에디션 256MB 서든어택 이엠텍 79,000
HDD WD SATA2 160G (7200/8M) WD1600AAJS 정품 46,000 or 삼성 SATA2 160G (7200/8M) HD161HJ 정품 49,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스파클텍 FSP SAGA+ 350 31,000 or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350NF2 36,000

중저가형(인텔)
CPU 인텔 펜티엄 콘로 E2180 정품 75,000 or 인텔 펜티엄 콘로 E2200 정품 85,000
M/B MSI 945P Neo5-F 대원 50,000 or ASUS P5LD2-X STCOM 62,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이엠텍 라데온 HD 2600Pro XENON Vforce 파워업 256MB 77,000 or SAPPHIRE 라데온 HD 2600Pro D3 오버에디션 256MB 서든어택 이엠텍 79,000
HDD WD SATA2 160G (7200/8M) WD1600AAJS 정품 46,000 or 삼성 SATA2 160G (7200/8M) HD161HJ 정품 49,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스파클텍 FSP SAGA+ 350 31,000 or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350NF2 36,000

중가형(AMD)
CPU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4800+ 정품 79,000
M/B MSI K9N Neo-F V3 MS프로바이더 66,000 or GIGABYTE GA-M56S-S3 77,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EVERTOP 지포스 8600GT 쿠페 OC 1.0ns 256MB 98,000 or EVERTOP 지포스 8600GT 쿠페 OC2 1.0ns 256MB GX810 108,000
HDD WD SATA2 160G (7200/8M) WD1600AAJS 정품 46,000 or 삼성 SATA2 160G (7200/8M) HD161HJ 정품 49,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스파클텍 FSP SAGA+ 350 31,000 or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350NF2 36,000

중가형(인텔)
CPU 인텔 코어2듀오 콘로 E4500 정품 110,000
M/B MSI P35 NEO-F MS프로바이더 91,000 or 디앤디컴 DREAM P35 Ultra 80,000 or GIGABYTE GA-P35-DS3 (Rev2.0) 112,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EVERTOP 지포스 8600GT 쿠페 OC 1.0ns 256MB 98,000 or EVERTOP 지포스 8600GT 쿠페 OC2 1.0ns 256MB GX810 108,000
HDD WD SATA2 160G (7200/8M) WD1600AAJS 정품 46,000 or 삼성 SATA2 160G (7200/8M) HD161HJ 정품 49,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스파클텍 FSP SAGA+ 350 31,000 or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350NF2 36,000

휴~!! 일일히 찾기도 힘드네요~
이제 중고가형 고가형 쿼드형 이렇게 3가지만 더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고가형부터는 위의 초저가형 중저가형 중가형에 비해 VGA나 메인보드가 비싸므로 가격이 좀 많이 뛸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지금부터 일을 좀 하고 끝나는 대로 올려드리겠습니다~!!

중고가형(AMD)
CPU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5200+ 정품 100,000 or AMD 애슬론64-X2 윈저 5600+ 정품 120,000
M/B ASUS M2N-SLI 디지탈그린텍 80,000 or GIGABYTE GA-M56S-S3 77,000 or 유니텍 LEGEND 570X 키메라 74,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EVERTOP 지포스 8600GT 비너스 Ultra OC 256MB GX810 129,000 or XFX 지포스 8600GT TripleX 울티메이트 오버클럭 256MB 잘만 헬게이트 129,000
HDD WD SATA2 320G (7200/16M) WD3200AAKS 정품 74,000 or 삼성 SATA2 320G (7200/16M) HD321KJ/DOM 정품 71,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AMAXZ Silent Power 350 40,000 or 시소닉 S12-380 54,000

중고가형(인텔)
CPU 인텔 코어2듀오 콘로 E6550 정품 158,000 or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8200 정품 182,000
M/B GIGABYTE GA-P35-DS3R (Rev2.0) 115,000 or ASUS P5K-E 아이보라 139,000 or MSI P35 Neo2-FR Cool 웨이코스 147,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EVERTOP 지포스 8600GT 비너스 Ultra OC 256MB GX810 129,000 or XFX 지포스 8600GT TripleX 울티메이트 오버클럭 256MB 잘만 헬게이트 129,000
HDD WD SATA2 320G (7200/16M) WD3200AAKS 정품 74,000 or 삼성 SATA2 320G (7200/16M) HD321KJ/DOM 정품 71,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AMAXZ Silent Power 350 40,000 or 시소닉 S12-380 54,000

고가형(AMD)
CPU AMD 애슬론64-X2 윈저 5600+ 정품 120,000 or AMD 애슬론64-X2 윈저 6000+ 정품 143,000
M/B ASUS M2N-SLI 디지탈그린텍 80,000 or GIGABYTE GA-M56S-S3 77,000 or 유니텍 LEGEND 570X 키메라 74,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SAPPHIRE 라데온 HD 3850 DDR3 256MB 이엠텍 179,000 or HIS 라데온 HD 3850 IceQⅢ Turbo DDR3 512MB 199,000
HDD WD SATA2 320G (7200/16M) WD3200AAKS 정품 74,000 or 삼성 SATA2 320G (7200/16M) HD321KJ/DOM 정품 71,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AMAXZ Silent Power 400 50,000 or Enermax Noisetaker II EG395P-VE SFMA 64,000 or 시소닉 S12II-430 74,000

고가형(인텔)
CPU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8200 정품 182,000 or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8400 정품 202,000
M/B GIGABYTE GA-P35-DS3R (Rev2.0) 115,000 or ASUS P5K-E 아이보라 139,000 or MSI P35 Neo2-FR Cool 웨이코스 147,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SAPPHIRE 라데온 HD 3850 DDR3 256MB 이엠텍 179,000 or HIS 라데온 HD 3850 IceQⅢ Turbo DDR3 512MB 199,000
HDD WD SATA2 320G (7200/16M) WD3200AAKS 정품 74,000 or 삼성 SATA2 320G (7200/16M) HD321KJ/DOM 정품 71,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AMAXZ Silent Power 400 50,000 or Enermax Noisetaker II EG395P-VE SFMA 64,000 or 시소닉 S12II-430 74,000

쿼드형(AMD)
CPU AMD 페넘 아제나 9500 정품 190,000 or AMD 페넘 아제나 9600 정품 237,000
M/B ASUS M2N-SLI 디지탈그린텍 80,000 or GIGABYTE GA-M56S-S3 77,000 or 유니텍 LEGEND 570X 키메라 74,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SAPPHIRE 라데온 HD 3850 DDR3 256MB 이엠텍 179,000 or HIS 라데온 HD 3850 IceQⅢ Turbo DDR3 512MB 199,000
HDD WD SATA2 320G (7200/16M) WD3200AAKS 정품 74,000 or 삼성 SATA2 320G (7200/16M) HD321KJ/DOM 정품 71,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AMAXZ Silent Power 400 50,000 or Enermax Noisetaker II EG395P-VE SFMA 64,000 or 시소닉 S12II-430 74,000

쿼드형(인텔)
CPU 인텔 코어2쿼드 켄츠필드 Q6600 정품 252,000
M/B MSI P35 NEO-F MS프로바이더 91,000 or 디앤디컴 DREAM P35 Ultra 80,000 or GIGABYTE GA-P35-DS3 (Rev2.0) 112,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 2 32,000 or EKMEMORY DDR2 1G PC2-5300 * 2 32,000
VGA SAPPHIRE 라데온 HD 3850 DDR3 256MB 이엠텍 179,000 or HIS 라데온 HD 3850 IceQⅢ Turbo DDR3 512MB 199,000
HDD WD SATA2 320G (7200/16M) WD3200AAKS 정품 74,000 or 삼성 SATA2 320G (7200/16M) HD321KJ/DOM 정품 71,000
ODD 삼성 DVD-Multi SH-S203B 블랙 정품 29,000 or LG DVD-Multi GSA-H62L 정품벌크 31,000
파워 AMAXZ Silent Power 400 50,000 or Enermax Noisetaker II EG395P-VE SFMA 64,000 or 시소닉 S12II-430 74,000

이것으로 추천 부품을 마치겠습니다. 초저가 중저가 중가 이런식으로 나눈건 CPU의 라인업에 따라 나눈겁니다.
다른 부품과는 달리 CPU는 제품이 한정되어 있는데다가 라인업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것에 초점을 두고 나눠서 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나 이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저도 사람인지라 다 알 수는 없으니까요~

그리고 이제 제의견과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감할만 한 이야기를 적어보겠습니다.
일단, 저가형에서 AMD쪽이 인텔보다 낫다고들 합니다. 가장 큰 이유가 CPU를 오버하지 않을 시 성능은 비슷하지만, 메인보드의 내장그래픽 성능차이가 AMD쪽이 훨씬 더 좋습니다. 그래서 초저가형같은 경우에는 AMD쪽이 더 낫지 않나 하는 의견이 많습니다.
인텔의 2140은 오버하기에 좋고, 내장그래픽이 아닌 그래픽카드를 꼽아주신다면 AMD의 브리즈번 4000보다는 더 낫습니다.

그리고 중가형인텔에 콘로4000대는 그다지 추천해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실로 가격대 성능비가 애매합니다.
그러므로 AMD쪽으로 가시던지 아니면 초저가형에이나 중저가형정도의 인텔모델에 그래픽카드를 중고가형정도로 끼는게 성능향상에 훨씬 도움이 될거라고 봅니다.

음.. 그리고 중고가형부터는 삼성램이나 EK램보다는 하이닉스램이 더 나을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오버를 하지 않는다면 역시나 램은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노오버시에 그냥 삼성램 2기가로 무난히 가시는 편이 낫습니다.

VGA의 경우에 제가 전제품을 다 클럭과 메모리를 확인한건 아니지만 대부분 다 확인하고 괜찮다 싶은걸로 추천해드린겁니다.
그리고 여기에 나와있지 않은 HD3870이나 8800GT의 경우 가격대가 25만원이 넘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고가형에도 그냥 HD3850을 넣었습니다. 8800GT의 성능은 두말할것도 없이 뛰어나지만 역시 가격이 조금 쎄죠.
그러므로 고가형에 8800GT가 왜 없냐고 하시면 고가형이지만 너무 비싸고 가격대 성능비가 월등한 HD3850이 더 낫다는 판단에 그렇게 했다고 말씀드릴께요.
굳이 8800GT를 사시겠다면이야 추천합니다. 비싸서 탈이지만.....

마지막으로 또하나 현재 가장좋은 메인보드칩셋인 790이나 X38과 같은 칩셋은 가격이 너무도 쎈지라 넣지 않았습니다.
위에 추천해드린 물품으로도 충분하리라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게임을 하는데는 CPU도 중요하지만 그래픽카드가 더 중요합니다. A.V.A와 같은 조금 사양이 높은 게임을 아주 좋은 환경에서 하시려면 그래픽카드를 중고가형이상으로 맞춰주심이 좋습니다.

여기에 추천한 물품들 이외에도 더 좋고 더 비싼 제품들도 많지만 무작정 좋다고 추천해드리면 가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이리저리 많이 고민해서 적어드린겁니다.
파워의 경우에도 댓글처럼 마이크로닉스 더클래식과 같은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제품도 있습니다.
그러니 제가 추천해드린 제품이 무조건적으로 젤 쓸만한건 아니니 여러방면으로 알아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파워는 그래도 제가 직접 만져본 제품을 위주로 적어드린겁니다.

쿼드코어는 현재 지원하지 않는 게임이 많으니 게임을 위주로 하실거면 클럭이 높은 듀얼코어를 선택하심이 올바른 선택입니다.
인코딩과 같은 작업을 많이 한다면 쿼드코어나 울프데일을 추천드리구요.

컴퓨터는 자신의 용도에 맞게 사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사무작업만 하시는 분이 30만원짜리 그래픽카드를 달고 쓰시는건 낭비이듯이 자신의 용도를 먼저 잘 분석해서 컴퓨터를 사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제 짧은 지식이 조금이라도 PGR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P.S 틀린 부분이나 다른 추천부품이나 다른 이견은 댓글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레드카드를 받을만한 태클은 사양합니다~!!

P.S 2 제가 깜빡한게 있는데, 다나와에서 VGA를 클릭하시면 클럭이 두개가 뜹니다. 그중에 앞쪽이 코어클럭 뒤쪽에 숫자 큰쪽이 메모리클럭입니다. 코어클럭 높은게 훨씬 더 성능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메모리 종류가 GDDR2는 쓸만한게 못됩니다. 최소 GDDR3은 되어야 메모리클럭이 올라가서 좋은 성능을 냅니다. 그리고 VGA의 메모리용량은 24인치 이상의 모니터를 가지신 분이라면 512M이상을 사야되고 그이하시라면 256M라도 충분합니다.

P.S 3 이건 제가 다음에 쓸 내용이지만, 그래픽카드에서 8400 8500 8600 8800 이렇게 있다고 치면 그들간에 숫자차이는 100이지만 성능차이는 하늘과 땅 차입니다.
7600과 8400에서도 8400이 800이나 숫자가 크니까 좋을꺼다 이런 생각 하시는 분이 가끔 계시던데 절대 아닙니다.
맨 앞에 천번대 숫자는 그래픽카드의 세대가 바뀔때마다 바뀝니다. 즉 7000대와 8000대는 아키텍쳐(설계구조)의 변화가 생겨서 천번대 숫자가 바뀝겁니다.
백번대 숫자에서 4는 초저가 5는 저가 6은 중가 8은 고가 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7600이 8400 8500보다 아키텍쳐는 옛날꺼지만 7000번대에서 중가모델이기에 8000대의 저가모델보다는 성능이 더 좋다는 겁니다.
그러나 같은 중가모델인 7600과 8600은 조금 차이가 나겠지요?


* 메딕아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01-07 22:1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06 04:17
수정 아이콘
CPU-메인보드-램의 상관관계만 어느정도 아는 저로써는 러브포보아님의 글이 너무나 좋은 정보들이네요.
가려운곳은 딱 찝어서 긁어주시는 기분입니다. ^^;
최근 부품 동향도 배울 수 있고, 부품을 선택하는 두려움을 사라지게 해 주는 고마운 글이네요.
추천 쎄립니다!!
XiooV.S2
08/01/06 06:37
수정 아이콘
고가형 같은경우 울프데일(펜린)을 장착만 하면 되겠더라구요...
국민오버가 4ghz수준이니... 켄즈필드를 멀리 관광보내는 무서운 놈이더라구요..
캐쉬도 6매가고... 가격이 다운되면 지를까 말까 고민중입니다. ㅠㅠ
그나저나 AMD는 ATI를 인수하고나서부터 망해가는 분위기 인듯합니다 ㅠㅠ 새로운게 제발좀 나왔으면 ㅠㅠ
불같은 강속구
08/01/06 06:39
수정 아이콘
하드웨어 잘 모르시는데 컴퓨터 조립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좋은 글이네요.

제 생각도 잠깐 적어보겠습니다.
지금 나가봐야 하기 때문에 일단 초저가형만 보고 말씀드립니다.

7025칩셋보드로는 GF보다 TF로 추천하시는게 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 잠시 가격을 알아보니 6천원 차이가 나는데 전원부, 오디오, 랜 , 램슬롯 등 구성차이로 봤을때 이왕이면 디앤디컴 DREAM TF7025 AM2 DVI 가 더 나아보입니다.

인텔쪽 945보드도 연구소제품을 쓰려면 어차피 저가형 견적인데 굳이 울프데일 가능한 모델이 아니라 그냥 ASRock ConRoe1333-D667 에즈윈을 쓰는게 더 좋지 않을까요? 만원이나 차이나는데 울프데일 장착가능이외에 다른 메리트가 있는지요?
업그레이드를 위해 그 모델을 택하신 거라면 울프데일 쓰면서 내장그래픽 그대로 이용한다면 모를까 FSB1333인 울프데일은 PCIE문제도 있고 945보드에다 꼽을 사람은 별로 없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내장그래픽을 그대로 쓰는 용도'로 구성할때, 즉 별도의 VGA 를 달지 않는 상황이라면 브리즈번4000+과 7025혹은 690G 조합에 비해 2140과 945GC조합은,
CPU성능은 체감차가 별로 없는(노오버시) 반면에 그래픽성능은 2140+945쪽이 한참 떨어지기때문에 같은 레벨이 아니라고 봅니다.
듀얼채널이 지원되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NVIDIA 7100칩셋보드쪽으로 하는게 내장그래픽을 사용하는 용도에는 더 적합하지 않나 싶습니다.
2140+945보드 조합은 오버클럭과 추가VGA로 구성 했을때 가격대비 최고의 성능조합이라고 생각되네요.

그럼 계속 좋은 글 써주시길.....
러브포보아
08/01/06 07:40
수정 아이콘
불같은 강속구님//
저도 2140과945의 조합은 그래픽성능이 좀 떨어지기 때문에 저번에 제가 쓴글에도 초저가형은 AMD쪽이 CPU는 미세하게 떨어지나 그래픽성능이 훨씬더 좋기때문에 더 나을거라고 한적이 있습니다만 그래도 굳이 인텔을 고집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그렇게 적었습니다.
그렇다고 8400gs 요런 글픽카드를 끼는 것도 좀 웃기는면이 있구해서요.

그리고 7025 GF랑 TF는 제가 다나와에서 잘못 복사해와서 제품이 잘못 표기되었네요.
수정하겠습니다.

그리고 연구소보드는 울프데일지원보드는 미래에 울프데일 저가형이 나올때를 대비하여 적은 것입니다.
그래픽출력단자 DVI를 지원하는 장점도 있으나 에즈원에 비해 사운드가 좀 딸리네요.

좋은지적감사합니다.
Eternity
08/01/06 07:50
수정 아이콘
TF7025 칩셋은 690G 칩셋에 비하면 노스브리지의 발열이 좀 있는 편입니다. 내장그래픽의 성능도 (오버를 전제한다면 미세하나마) 690G 칩셋 쪽이 앞서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더구나 오버클럭을 들어갈 경우에는, 지포스계열 칩셋의 HT link한계가 낮지만(1000을 넘어가면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MD칩셋 같은 경우는 HT link의 한계가 비교적 높아서 오버클럭도 690G 칩셋 쪽이 조금 낫다고 봅니다.

AMD CPU를 쓰면서 내장그래픽 보드를 사용하실 거라면 저는 TF7025 칩셋 보다는 690G 칩셋을 쓴 메인보드에 한 표 던지고 싶군요.

그리고.. 2140+945칩셋 오버는 한계가 있죠. 오버클럭을 하여 동가격대의 AMD 보다 나은 성능을 보이려면 945칩셋 보드보다는 P35칩셋 보드를 써야할테고, 또한 은박신공등등을 이용해야 하지 않은지요. 어차피 저가로 갈 거라면 개인적으로는 (오버를 하든 하지 않든)AMD 브리즈번에 690G 내장그래픽보드를 쓰는 것이 좀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아.. 그리고 3만원대 파워라면... 스파클텍 350이나 파워스테이션 350보다는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430을 살짝 더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중가형으로 인텔의 E4000대 CPU를 추천하셨는데요. E4천대 CPU는 좀 어중간한 면이 있다고 봅니다. 좀 싸게 가려면 아예 E2000대를 가든가.. 아니면 4천대에서 5만원 정도 더 쓰고 E6천대로 가든가 양자택일을 하는 것이 좀 더 낫지 않나 싶습니다.
러브포보아
08/01/06 08:18
수정 아이콘
Eternity님// 690G칩셋과 TF7025칩셋의 발열은 원래부터 엔비디아칩셋의 발열문제는 대두되어왔고 AMD는 저발열칩셋으로 정평이 나있지요. 거기다가 690G가 조금더 그래픽성능도 낫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도 690G만의 또 화면깜박임 문제가 있기 때문에 7025칩셋도 같이 넣어놨구요. 오버클럭에서 HT는 1000넘어가면 AMD칩셋도 문제가 생깁니다.

그리고 2140 945조합으로도 2.4기가까지의 오버는 무난하게 됩니다.

마이크로닉스의 파워도 제가 시험가동해봤는데, 그리 나쁘지는 않았습니다만, 스파클텍이나 파워스테이션에 비해 나은 점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37,000이던가요? 그래서 그나마 쓸만하고 저가형 두개로 적어놨습니다만 마닉도 좋은 선택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중가형의 인텔 4000대의 이야기는 제가 저번에 쓴 글에도 적어놨습니다. 4000대는 좀 어중간한 면이 없지 않다고요.
그래서 중가형은 AMD가 더 나을꺼라고도 했습니다만, 그래도 2000대와 4000대는 캐쉬메모리가 1M 차이가 나기에 부드러움에서는 조금 차이가 나기는 합니다.
그래도 4000대는 먼가 어중간한 면이 있는건 맞습니다. 휴~ 그렇다고 중가형으로 6550이나 2000대 제품을 넣기는 좀 그렇긴 하지요.
제가 일이 끝나는 대로 보완해서 글 작성하겠습니다.
08/01/06 08:31
수정 아이콘
아아 스파클텍 사가시리즈...아픈 기억이...
Eternity
08/01/06 08:46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음.. 제가 알기로는 2140으로 945보드에서 fsb266을 먹이려면 은박신공은 거의 필수로 취급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은박신공을 하지 않을 때에는 2기가 포스팅이 쉽지 않다고 본 기억이 있군요.) 컴에 어느 정도 흥미가 있는 분들이야 은박신공 정도는 어렵지 않게 하시겠지만,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은박신공을 하실지가 저는 조금 의문이군요.

690G 칩셋은 HT link 1400까지 올라가는 케이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250정도는 거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물론 dvi입력시 화면 깜박임이 있는 케이스는 안습입니다만.. 특정 lcd에 국한된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담입니다만, 마닉 클래식 430은 제가 지금 사용중입니다만, 조용하고 깔끔합니다.
물론 일반적인 용도로, HDD, ODD 하나씩만 쓴다면야 350도 문제는 없습니다만, 기왕이면 비슷한 가격대라면 용량이 큰 놈이 좋겠지요 :)
러브포보아
08/01/06 08:57
수정 아이콘
Eternity님// 깜빡임 현상이 LCD에 국한되어 있긴 하지만, 현재 주로 쓰는 모니터가 LCD라는게 문제입니다.
마닉도 좋은건 물론입니다. 다만 클래식보다는 와쳐가 좀 더 좋더군요. 쓰고 있는 용량을 볼 수 있다는 거 하나만으로 가격이 좀 뛰기는 하지만요.

2140으로 945보드에서 fsb266먹이는건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은박신공이 없어도 먹히는 걸로 아는데요?
더군다나, 제가 처음 쓴 글을 보신분이라면 저는 오버클럭을 위주로 견적을 내지는 않습니다.
왜냐면 오버클럭을 할 줄 아시는 분보다 할 줄 모르시는 분이 더 많고, 오버클럭을 할 정도면 견적을 굳이 내드리지 않아도 저보다 더 잘 아시는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버클럭은 논외로 하겠습니다.

690칩셋은 HT링크가 높게 올라가기는 합니다. 엔포스칩셋에 비해 저발열이니까요. 그래도 HT 1000을 넘기면 문제는 발생합니다.
다만, 오버클럭에 조예가 깊으신 분이라면 사제쿨러신공과 엄청난 케이스팬과 CPU팬 돌리기등으로 온도를 낮추고 오버클럭안정화를 시키면 가능하기는 하지요. 엔포스칩셋은 거의 불가능하긴 하지만요.

그래도 이정도까지 오버하면서 쓰시는 분이라면 언제나 말씀드리지만 이런글 안보셔도 충분할꺼라 생각합니다.

TROY님// 스파클텍이 가끔 말썽을 부리기도 하지만..... 에너멕스도 아픈 기억을 준 경험도 있습니다. 그것도 노이즈테이커가요.
지막이^^
08/01/06 09:12
수정 아이콘
AMD듀얼 계열이랑 2140 단종수순 밟느다는 이야기가있더군요. 시간이지나면 가격상승요인이 될듯합니다. 에이엠디 같은경우
페넘에서 코어하나불량난것을 막아서 트리플코어로 대체할 것이며 인텔은 울프데일 공정을 거친 새로운 마이너 CPU가나올듯
합니다. 페넘의경우 버그는 실사용에 크게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아니라고 하더군요. 네이티브 쿼드는 제대로 활용하면 상당한
능력을 보여줄 것이기 때문에 가격도 착할떄하나 사도 괜찬을것 같습니다(찜찜 하면 다음스테핑을 기다렸다가 노르는것도 나쁘
지는 않을듯합니다.) 참고로 클럭이 떨어찌는 쿼드는 일반프로그램에서 보통 지원을 안하기떄문에 큰이점을 보기어렵습니다.
다만 멀티미디어 작업하시는 분들(RAW파일같은 사진파일도) 은 상당한 성능을 보여준다고 하네요 다른용도라면 이번에 나온 울프데일
코어클럭도 좋구 캐쉬도 커서 능력이 발군이라고 하더군요 쿼드정도보다 약간 싼 가격으로 얻을수 있으므로 고성능 게임이나
A.V.A같은 게임 즐기시는 유저라면 E4500보다한 7마넌정도 추가되는 8200을 권해드려보고 싶네요....
XiooV.S2
08/01/06 09:14
수정 아이콘
음.. 오히려 조금더 있다가 컴퓨터를 장만하는게 어떨까 하는데요.. 한 1~2주 뒤면 울프데일 가격 슬슬 안정권에 진입할테고, 그럼 그 하위모델은 거품 다 빠져나갈듯 보이네요.
러브포보아
08/01/06 09:27
수정 아이콘
지막이^^님// 2140은 단종수순을 밟고 있으나, 워낙에 물량이 많아 당분간 걱정안해도 될겁니다. 그리고 AMD의 듀얼계열이 단종수순을 밟는것이 아니라 윈저모델이 단종되고 브리즈번은 계속 생산이 됩니다.
페놈의 버그는 실사용에는 크게 영향이 없으나 그래도 버그가 있다는 자체가 꺼려지지요. 더군다나 동클럭에서 켄츠필드에게 밀리는데다가 켄츠필드보다 클럭도 낮으니 말 다했습니다.

XiooV.S2님// 울프데일이 가격 안정권에 진입할 일은 없습니다. 인텔에서 초기공시한 가격과 현재가격은 조금 더 비쌀뿐입니다.
내려가봐야 2만원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울프데일의 가격은 하위모델의 가격에 절대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울프데일이 16만원에 풀려도 2140이 더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더군다나 6550이 16만 가량해도 울프데일에 비해 클럭 성능 둘다 떨어져도 가격은 내려가지 않습니다.
지막이^^
08/01/06 09:30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8600중에 GDDR2 쓰고 다운클럭한(540MHz) 제품이있습니다 한1,2마넌차이나던데 그건피해가시가 바랍니다...
생각보다는 성능에 차이가있습니다. 저번에도 말씀드렸지만 8600이라고 다같은 8600이 아닙니다. 위에제품은 그대로 사시면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구요.(추천 좋음물건으로 해주셨네요^^)
Eternity
08/01/06 09:32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음.. 저는 파코즈를 보고 공부(?)한 지라.. 제 말의 근거는 파코즈 유저들의 입소문입니다. 먼저 HT link부터..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ainboard_amd&page=1&sn1=&divpage=14&sn=off&ss=on&sc=off&keyword=HT&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80570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ainboard_amd&page=1&sn1=&divpage=14&sn=off&ss=on&sc=off&keyword=HT&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79819

외장 그래픽이라면 HT link수치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만, 690G 나 7025 같은 내장 그래픽이라면 HT link가 높을수록 성능이 올라가죠.
그런데 거기서.. 사제쿨러를 쓰고.. 케이스쿨링까지 해 가며 HT link를 올리는 건 전혀 쓸모 없는 일이죠.
그렇게 신경쓸거면 그냥 HT link는 800~1000으로 두고 다른 그래픽카드를 사서 끼우고 말 일이죠.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아도 HT link가 1000을 돌파하기 때문에 690G가 의미가 있는게 아닐지.

그리고 2140 fsb266부분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ainboard_intel&page=1&sn1=&divpage=12&sn=off&ss=on&sc=off&keyword=%C0%BA%B9%DA&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63911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ainboard_intel&page=2&sn1=&divpage=12&sn=off&ss=on&sc=off&keyword=%C0%BA%B9%DA&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63371

제가 2140을 쓰는 게 아니니.. 자신있게 이야기는 하지 못합니다만, 파코즈 intel 오버클럭 게시판에서의 대세는 2140을 945보드에서 fsb266을 먹이려면 은박 아니면 불가능하다... (fsb250까지는 가능하다고 합니다만.. 그러면 2기가죠. 그나마 운이 좋은 경우에나 그렇구요..) 혹시 2140을 은박없이 266으로 오버를 하셨다면 보드가 965이상 보드가 아닌지요.

그리고 덧붙여... 오버를 하지 않을 분이라면 굳이 2140을 권할 이유는 없지 않나 싶네요.
둘 다 노오버라면 2140+945G 조합보다는 브리즈번 4000 + 690G나 7025의 성능이 나아보입니다만...
2140의 진가는 오버클럭에 있지 않은지요?

하지만.. 그 정도 오버해서 쓰시는 분이라면 보아님의 글이야 '참고' 정도로만 알아두셔도 충분하긴 하겠죠.
그래도.. 이렇게 써 주신다면 초보분들은 알게 되어서 좋은 일이고.. 고수 분들도 따로 감을 잡으실 수 있을테니 좋은 일이 아닐지. ^^
지막이^^
08/01/06 09:40
수정 아이콘
페넘같은 경우는 논쟁이 좀있더군요 음....쓰레드가 많아질경우 q6600보다 성능이 생각보다 좋다는 이야기도 있던데
역시 네이티브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분명히 캐쉬메모리 사용구조 때문인지 단일 프로세스에서는 코어 아키텍쳐를 못따라가더군요..
쿼드가 쓰레드가 늘어났을떄 이점을 가진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페넘이 의미가없다고는 할수 없습니다.(10마넌대 쿼드지않습니까^^)
790계열의 바이오스가 안정되면 고려해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브리즈번은 단종은 안시키고 e2xxx 계열과 계속 경쟁시킬모양인가
보네요.... 음 2140 아는 사람은 다아는 물건이지요 오버율이 무려100%를 상회한다는...제가알기로는 최근가격이 조금오른것 같던데..
인기가 있는 모델이므로 단종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인텔의 후속 저가형 모델출시일이 관건이겠네요....
아2140같은경우는 반대라기보다는 살려면 시기를 앞당겨서 사십쇼 하는 이야기였습니다.^^조금가격이 올라도
2140은 돈값을 할테니까요....
러브포보아
08/01/06 09:50
수정 아이콘
Eternity님// 사제쿨러를 안써도 1000을 넘기는군요. 690G 초기에만 오버를 시도해보았는데, 사제쿨러 없이 1000넘는건 처음 알았네요.
2140으로 299오버까지 해봤습니다만, 저 역시 은박호일신공을 당연히 했고 266까지는 945연구소보드로 먹였는데 제께 운이 좋았는지도 모르죠. CPU가 뿔딱걸리면 은박신공해도 오버자체가 안되는게 있으니까요.

물론, 저역시 노오버 상태라면 2140보단 브리즈번 690G조합이 그래픽성능면에서 낫기때문에 더 추천합니다.
저번에 제가 쓴 글에 보면 그렇게 적혀있습니다.

지막이^^님// 페넘은 제가 그토록 기다리던 물건이였는데, 결국 현재 안습의 상황이 되고 말았습니다. 일단 올해 후반기에 클럭을 올리고 스태핑변경해서 나온다니깐 더 기다려봐야죠. 그래도 페놈이 켄츠보다 어느면에서는 낫니 어느면에서 밀리니 하는건 웃기다고 봅니다.
켄츠필드는 무려 인텔이 1년전에 발표한 제품이고 페놈이 정식으로 출시되면 엄청난 성능과 오버율을 자랑하는 요크필드가 밀려옵니다.
현재로썬 요크필드앞에 장사없다란 결론인데다가 AMD측에서 페넘은 실패작이다라고 인터뷰까지 한걸로 압니다.
지막이^^
08/01/06 10:04
수정 아이콘
하긴 쿼드가 10마넌까지 내려간 것만 봐도 그렇긴하죠......오죽하면 amd 인수이야기가 흘러나올정도이니.......
요크필드 새제품에대한 기대도도 있고 45nm의 새 페놈이 잘나와야할텐데요..... 이놈 좀 연기되면 네할렘이랑 마주해서
또어려워 지지않는지 모르겠습니다.
지막이^^
08/01/06 10:12
수정 아이콘
8800gt 조금싼램 256은 비추입니다. 성능이 팍죽어버려서..... 그리고 8800gt사럐 고주파 나는 물건 심심치않게 있으니 알아보시구요
발열도 있으니 이왕이면 vf9이나 vf1050단 제품쪽으로 가시면 좋겠습니다. 모니터가 크신분들은 고해상도에서는 비싼 글픽카드를
요구한다는거 참고하시구요...(특힘 램은 512버전으로 가심이 좋습니다 3850일지라도....) 홈쇼핑에서 비티씨 24인치팔면서 8400
넣어서 파는거 보고 많이 웃었는데.....(모니터 큰데 글픽카드 능력 딸리면 작은모니터쓰니만 못할 가능성이높습니다.)참고로8400,8500은
실질적으로7600보다도 밀립니다. 같은8000대라고해서 100차이난다고해서 비슷한 물건이 아닙니다... 아그리고 3850 ICEQ 프리징
해결봤나요? 문제가 좀있는거로 알고 있는데.....
러브포보아
08/01/06 10:14
수정 아이콘
지막이^^님// GDDR2 말씀인가요?제가 추천한 8600GT는 모두 GDDR3을 쓴 제품입니다.
모니터가 24인치이상인 분들은 비싼 그래픽카드라기보다는 512M이상의 고용량메모리를 가진 그래픽이 필요하지요.
3850 아이스큐 프리징은 문제 해결된거 아닌가요?
지막이^^
08/01/06 10:35
수정 아이콘
제댓글을 오해하신듯하네요.... 분명 좋은제품을 추천해주셨다고 했는데.....
프리징 무제는 속시원하게 해결됬다는 글보다 교환글이 많아서.....아직은 해결안됀듯하구여
사실 제품명 적어주셨어도 막상 사실때에는 그냥8600만 확인하고 더싼걸루 사실가능성도 있어서 주의만하시라고
말씀드린겁니다...512메가 가진 제품치고 저가형은 없지요...
러브포보아
08/01/06 10:50
수정 아이콘
지막이^^님// 아~ 오해한듯합니다.
저한테 하신건 줄 알구요~!! 근데 8500GT도 512메가 있지 않나요? 엄청나게 황당한제품...
지막이^^
08/01/06 10:54
수정 아이콘
그런 제품도 있었나요..... 먼가.....메모리버스가 128bit 인데 멀하겠다는건지....
황당한 제품이네요.....일단 고해상도 를 노린제품인가.........
여담이지만 섣부른 모니터 평수의 확장은 지름신을 넘어서 파산신을 몰고 온다지요.....
저번에 유게 자동차 튜닝글 도 한번 올라왔던거 같은데 비슷하게 파산상황으로 몰고간다죠...
러브포보아
08/01/06 12:03
수정 아이콘
지막이^^님// 혹시나 틀렸나 해서 찾아봤더니 역시 제 기억대로 8500GT 512메가 있네요....
정말 어처구니 없는 제품이죠.
지막이^^
08/01/06 12:06
수정 아이콘
헛 저도 보고 놀랐답니다. 아수스하고 msi제품이 올라와있네요....gpu성능은 둘째치고 메모리버스128bit
을 어찌감당할려고.......판매가됐을려나...
08/01/06 12:11
수정 아이콘
글 잘 봤습니다. 지금 조립컴퓨터구입 예정인데요
조립컴퓨터는 처음이고 워낙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요..
고가형으로 맞춰서 다 견적을 내었습니다.
오버쿨럭인가 그런건 못 할꺼 같은데 그럼 그에 맞는 메인보드는 어떤게 좋을까요? 가격을 좀 낮추고 싶어서요
08/01/06 12:16
수정 아이콘
VGA카드는 오버된 제품보다 오버 안한 제품이 더 좋다고 하는 분들도 계시던데
그건 어느 정도 근거 있는 말인가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지막이^^
08/01/06 12:19
수정 아이콘
중가형 보드를 쓰세요....오버클럭안할거면 인텔정품보드도 좋죠....
08/01/06 12:22
수정 아이콘
M/B MSI P35 NEO-F MS프로바이더 91,000 or 디앤디컴 DREAM P35 Ultra 80,000
이거 말씀하시는 거죠?
지막이^^
08/01/06 12:26
수정 아이콘
오버된 제품은 당연히 높은발열과 낮은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만약 레퍼정도의 성능에 만족하신다면 기본제품도 좋죠.
오버제품중에는 가끔 문제를 일으키는 제품이 올때도 있습니다. 물론 테스트를 거쳤기 때문에 못쓸정도는 아닌지만 교환을
요구할때도 있죠. 하지만 요즘 공정이 좋아져서 어느정도 여력이 되기때문에 예전보다는 오버제품도 괜찮습니다.
오히려 쿨러를 오버제품의경우 더좋은걸 달기때문에 온도가 더착할수도 있죠... (가격이 오버제품군이 좀더 쎄죠)
xfx같은경우 지피유 검사를 거쳐 잘나온 제품만 오버제품을 내놓기도 하고 해서 괜찮습니다(가격은 그만큼 비쌉니다.)
하지만 레퍼로도 성능 충분하다면 구지 오버제품안사셔도 좋습니다.
지막이^^
08/01/06 12:27
수정 아이콘
국악//네.. 몇가지 없어서그렇지 (곁다리 옵션이나 포트개수) 기본적으로 p35의 안정성을 가진 좋은 보드랍니다.
러브포보아
08/01/06 12:53
수정 아이콘
지막이님이 좋은 대답은 다 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08/01/06 13:54
수정 아이콘
컴퓨터 20~30만원 사이로 하나 사야 되는데 어렵네요! ㅠ.ㅠ
중고로 파는 싸이트인 칩칩도 가보고 옥션도 가보았는데 모르겠더라구용~
조립이면 A/S가 불안하고 중고싸이트에서 사면 6개월정도는 해준다는데..
잘 모르겠어요~ ㅠ (문과생이라 이 분야는 초보)
망디망디
08/01/06 14:33
수정 아이콘
2월달에 고사양 하나 맞추려했는데 참고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파워는 혼자 죽지않아... 동감 120%.....메인보드 먹고감.....젝일..... 물귀신같은.....
어린시절로망
08/01/06 16:3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추천 한방 날려요~
OnlyJustForYou
08/01/06 19:24
수정 아이콘
이런글은 추천 꾹~! ^^;
08/01/06 22:2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__)
彌親男
08/01/06 22:48
수정 아이콘
아직 쿼드까지는 살 필요 없다고 합니다. 안정적이지가 않을 뿐더러 쿼드 살 바에야 듀얼코어 좋은 거 사는게 지금은 이익입니다.(1년만 지나면 모르겠지만..)

1온스님// 많은 사람들이 조립이면 A/S가 어쩌구 저쩌구하는데... 만약 제대로 돌아가게 조립한 컴퓨터라면 6개월, 1년안에 고장나기 쉽지 않습니다. 대신 어지간하면 중고로 사진 마시구요.. -_-;;
08/01/07 22:43
수정 아이콘
인텔 초저가 보드중에 GeF-7100계열도 쓸만하다고 봅니다
비록 싱글채널이긴 하지만 귀찮게 은박신공 안해도 된다는 엄청난 장점이 있고
실제 945gc하고 대역폭, 레이턴시 비교한 것도 대역폭은 약간 밀리지만(듀얼채널이니까)
레이턴시는 훨씬 좋더군요 :)

제 동생꺼로 콘셀420 꼽아주려고 생각중입니다
러브포보아
08/01/07 22:59
수정 아이콘
메딕아빠님이 그다지 높지 않은 추천수에도 에이스게시판으로 옮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08/01/07 23:50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글때문에 새로 컴퓨터 잘사서 잘쓰고 있답니다
좋은 정보 감사 드려요
문근영
08/01/08 02:13
수정 아이콘
2월 초경에 중가형으로 하나 맞출려고 틈틈히 잘 읽고 있습니다.
조만간 제가 따로 연락을 드릴지도..^^
08/01/08 06:2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러브포보아님
제가 지방에 살고 있는데(대구)
40~50만정도로
모니터제외한 컴퓨터를 살려고 하는데
(본문에서 언급한 중가형정도 되겠네요 ^^;)

제가 지식도 없고
잘못사러 가다가 바가지 쓸거 같기도 하고 이래저래 고민이 많습니다. ㅠ_ㅠ
언급하신 물품 적어서 가게로 간 뒤 보여주고 사면 되는 걸까요?
지방에서 사면 가격차이가 많이 클련지 궁금합니다..

늦었지만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마음의손잡이
08/01/08 08:42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내용이 내용이고 꾸준한 관심이 있는 만큼 에게행은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봅니다. 잘봤습니다
EsPoRTSZZang
08/01/08 08:55
수정 아이콘
파코즈도 돌아다니고 하지만, 모자란 실력때문에 정리된 자료가 있으면 좋겠다 싶었는데 딱이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unluckyboy
08/01/08 13:55
수정 아이콘
2140의 오버 성능때문에 브번 4000대를 무시하는 듯한 글을 자주 보게 됩니다.
러브님도 내장 그래픽카드 성능이면 amd가 좋지만 그래픽카드를 장착한다면 2140이 낫다고 써주셨는데요.
브번 4200이 나왔을때 인텔과의 비교 벤치는 인텔 4000대와 같이 이루어졌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잡지 작년 4월분에도 그렇게 되어 있구요.) 파이값 계산이나 산드라 수치에서 떨어지고 나머지(압축, 다중작업, 파일복사등)는 오차범위 기록입니다. 실사용에서 가장큰 차이점은 게임프레임에서 인텔이 amd의 2배정도의 프레임 수치가 나옵니다. amd가 60-70사이면 인텔은 60-140정도의 프레임 수치가 나옵니다. 성능이 좋다고 볼 수도 있지만 30프레임 이상은 별 의미가 없고 변동폭이 커서 멈칫하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었습니다.

파이값이나 몇가지 벤치에서 인텔이 높은 점수대를 기록하지만 크게 성능차이는 없다라는 내용입니다. 오히려 amd의 빠릿함이랄까요. 부팅 빠르고 체감 성능이 더 좋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의 사용기도 많습니다.

2140의 장점은 오버입니다. 오버에 어느정도 관심이 있으시고 유지하고 사용이 가능하신분들은 2140의 오버성능에 관심을 주시는 것도 좋지만 국민 오버 3.0은 찍을 수 있는 점수이지만 계속적인 실사용은 힘들다는 생각입니다. 주차에 따라 오버성능역시 다르고 3.0이상은 한겨울에도 계속 유지하면서 사용하기 힘듭니다. 여름이라면 더 힘들겠죠.

게다가 딸려서 가야되는 메인보드 역시 비슷한 가격대의 저가형 메인보드를 쓴다면 amd는 초기불량을 제외한다면 어느정도의 오버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2140의 오버를 생각하고 같은 저가형의 메인보드를 쓴다면 오버안정성이 떨어집니다. 오버가 되고 풀린다는 의미가 아니라 메모리 오버까지 무조건 같이 된다던지 오버후 실사용이 힘든 제품이 있습니다. 적어도 10만원이상의 메인보드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인텔과 amd의 성능차이는 갈렸지만 보급형이라는 메리트는 amd에게 여전히 충분한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
오버와 노오버의 차이나 클럭에 대한 기대치를 생각해서 고르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08/01/08 18:05
수정 아이콘
E2160랑 E2140이랑 차이가 있나요?
08/01/08 20:12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혹시 풀 HD를 지원하는 TV에 연결할 데스크탑용으로 하나 추천해주실 계획은 없으신지요?
거실용 컴퓨터를 꾸미기에 어느정도 성능이 필요한지 살펴보고 있는데, 참 어려워서요 ^^
줄리앙
08/01/08 20:29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질문을 상당히 많이들 하시네요 ... 저두 하나만 ...저두 2월초 정도에 컴퓨터를 본체만 하나 살건데요 .. 모니터는 있어서요... 그래서 TV수신카드를 하나 꽂으려고 하는데 .. 저대루 사면 꽂을 공간이 있나요 ?? 가격대는 50만원 안쪽으로 생각하고 있구요 주로 하는 게임은 롤러코스터타이쿤3, 서든어택, 월드오브워크래프트 이런거 잘 돌아가면 되는데 ... 영화랑 게임은 비슷하게 이용하구요 ..
좀 추천해주실만한거 없으신가요 ㅜㅜ 쌩초보라 잘 모르겠네요
게으른 저글링
08/01/14 11:05
수정 아이콘
이런걸 도대체 어떻게 하는거죠? ^^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하얀곰팅
08/01/14 12:57
수정 아이콘
저도 질문좀 할께요...
초저가형에는 그래픽카드가 따로 없구 내장그래픽으로 되있는데..
성능이 어느정도죠?? 카트가 원할히 돌아갈 정도는 되나요??
내장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잘 모르는지라..
CPU나 RAM 스펙을 보면 간단히 생각해서 스타 + 인터넷창 10개 + 음악재생프로그램 정도는 무난하게 가능한 듯 싶은데..
스펙 옆에 간단히 어느정도 게임 가능 이라구 짤막하게 설명이 있었으면 초보자들이 좀더 보기 좋았을 듯 ^^
그리구 견적내보려구 가격을 더해보다가 느낀점.. CASE 가격이 없네요~ 난감..
08/01/15 18:47
수정 아이콘
EVERTOP 지포스 8600GT 쿠페 OC 1.0ns 256MB 98,000 제품은 사지마세요.
소음이 장난이 아닙니다.
제가 이 제품 어저께 샀는데 소음이..
그래서 에버탑에 전화했더니 원래 소음 있다구 쿨러 따로 장착하라네요.
08/02/03 12:56
수정 아이콘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를 조립했던 5년전하고는....
완전히 딴 세계 이야기가 되어버렸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16 스타에서의 건물과 유닛에 대한 판정 [24] Forgotten_12482 08/01/06 12482
715 [L.O.T.의 쉬어가기] 이젠 임요환을 놓아주어야... [14] Love.of.Tears.10859 08/01/05 10859
714 러브포보아의 초중급자를 위한 컴퓨터 조립 추천부품입니다~!! (08년 1월편) [52] 러브포보아12406 08/01/06 12406
713 박성균 vs 이성은 파이썬 관전평 [25] opSCV13313 08/01/03 13313
712 팀리그의 엔트리와 연습에 대한 소고 [26] Judas Pain9764 08/01/02 9764
711 [투표결과] 2007 StartCraft Award in PgR21 ... 투표결과 공지. [29] 메딕아빠11644 07/12/30 11644
710 그래도 김택용이다. [48] sylent15836 07/12/31 15836
709 [응원글]이 와중에 '르까프 오즈' 정규리그 1위 확정!! [9] HalfDead7846 07/12/30 7846
708 [L.O.T.의 쉬어가기] Fan之心 [2] Love.of.Tears.7258 07/12/28 7258
707 "참 또랑또랑하게 생겼네" [5] 몽땅패하는랜10623 07/12/28 10623
706 마재윤대 김택용 - 켄신과 결계의 숲 [6] RedStrAp10167 07/12/25 10167
705 테란 킬러들의 슬픈 승리공식 [58] 김연우16440 07/12/25 16440
704 남자의 종족 프로토스 하지만 [19] 아이우를위해11915 07/12/23 11915
702 2007년 대미를 장식한 저그. 이제동. [18] Akira9992 07/12/23 9992
701 2007 Ever배 스타리그 결승전 사진과 후기 -ㅂ-)/ [19] Eva0109586 07/12/23 9586
700 송병구, 비수 더블에서 무엇을 간과했나? [30] ArcanumToss12825 07/12/22 12825
699 LecafOz n Die_Jaedong, 이제동 [15] kama9772 07/12/22 9772
698 신검문의 소룡(1) [9] 종합백과8046 07/12/20 8046
697 [단편]프로토스 공국(公國)이야기 2 [11] 설탕가루인형7831 07/12/19 7831
696 아들에게 자랑스럽게 이야기 해 줄 수 있는 그 이름. [16] 중년의 럴커11777 07/12/17 11777
695 센스와 기본기! 그 둘의 승자는?? [44] 불타는 저글링10635 07/12/15 10635
694 마린이라는 유닛을 보면 누가 생각나세요? [59] XXX10609 07/12/15 10609
693 [관전평] OSL EVER 2007 스타리그 4강 김택용 vs 송병구 관전평 [9] ls8974 07/12/15 897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