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7/06/14 02:06:54
Name 말로센말로센
Subject 기획보도. 관광 시대의 도래
                                                                                                                     내용의 형식과 인용은 가상으로 구성된 것입니다.




기획보도.  관광의 시대 도래하다.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시즌이 한창인 가운데 이스포츠를 즐기는 관중들을 열광케 하는 일대 사건들이 연이어 일어나 화제이다. 그중 게시판을 뜨겁게 달구는 화제의 중심은 단연 스타계의 관광업 부흥인데 그 출현 빈도와 내용의 충격성이 높아지면서 관중들을 열광케 하고 있다.
하여, 본보에서는 특별 기획보도로 스타계 관광업의 부흥과 관련하여 해당 분야 관련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르네상스를 맞고 있는 관광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관광의 급진화,  관광도 경쟁 시대?


황사 관광, 퀸 쉐도우 관광, 케이블카 관광, 스카웃 관광, 16팩 관광, 소때 관광, 전화찬스 관광 등 요즘들어 이루 셀 수도 없는 수많은 관광들이 선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과거와 비교했을 매우 비약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토록 다양한 관광경기들 중에서도 유독 시선을 끄는 것은 그 흐름을 주도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게이머 마재윤과 김택용의 플레이이다.
이 두 선수는 전황의 유리함을 승리로 이끄는데 그치지 않고, 기어코 인페스트 테란과 스카웃을 선보이는 관광을 보여주고야 마는, 다소 잔인하다 싶은 경기를 즐겨한다. 과연 그들이 이러한 관광경기를 즐겨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우선 그 속내를 알아 보기 위해 두선수를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기   자: 마재윤선수. 이제는 신인선수의 커맨드까지 먹으시던데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
마재윤: 제가 편식은 하지 않거든요.
기   자: 그렇다면 다음 경기에서도?
마재윤: 저는 아직도 배가 고픕니다.

기   자: 그럼, 김택용선수. 지난번 진영수전에서 스카웃을 뽑으셨는데 스카웃은 왜 뽑으셨나요?
김택용: 정찰하려구요.
기   자: 아.
김택용: 네. 그렇습니다.


관광업의 부흥을 이끄는 이 두선수의 관광에 대한 생각은 비교적 담담했다. 하지만 그들이 관광을 즐겨하고, 앞으로도 그러하리라는 것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치러질 msl 경기를 앞둔 그들의 출사표에서도 엿볼 수 있는데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김택용 vs 진영수, 마재윤 vs 이성은전이 그것이다.

김택용 vs 진영수전은, 요즘 떠오르는 신예 라이벌의 구도로서 이전 경기에서 스카웃의 굴욕을 맛보아야 했던 진영수가 과연 이번 경기를 통해 핵으로 설욕할 수 있을지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고,
마재윤 vs 이성은전은, 최근 좋은 경기력으로 16팩 에드온 탱크 웨이브 관광을 보여준 이성은이 본좌 마재윤을 상대로 얼마만큼의 경기력을 발휘할지가 관심의 대상이다.

* msl 8강전 예고 - 각 선수들의 출사표

김택용 “나의 스타게이트만 봐도 스카웃의 공포에 떨게 될 것이다.”
진영수 “(미니맵 3시 부근 가스멀티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nuclear launch detected..."

이성은 “성큰밭은 퉁퉁포로... 이후엔 퐁퐁퐁 댄스를...” 
마재윤 “나는 삼성을 상대론 목돌 세레머니만 한다. 이번엔 상모도 준비해 두었다.”



변화하는 관광,  그 실태를 살펴보니


관광업이 부흥기를 맞게 된 것은 위의 경우와 같이 새로운 신진 세력의 유입과 경쟁구도의 활성화로 인해 이제는 너나 할 것 없이 관광을 보여주는 것 자체가 오히려 자연스러울 만큼 일반화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기존 관광업계에서 오랫동안 종사해온 관광진흥개발원 기술고문 임요환씨도 현재의 변화는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하였는데 본보의 기획보도를 위해 그가 직접 의견을 보내어 왔다.

“스타크래프트의 모든 역사를 지켜본 저로서는 요즘이야말로 관광산업의 르네상스라 부를 수 있다고 봅니다.
이는 과거 상대선수에 대한 배려와 매너 문제로 불쾌함의 대상이 되었던 관광업에 점차 도발적인 플레이를 하는 젊은 선수들이 투입되면서 그들이 자신의 존재감을 관중에게 빠르고 강력하게 각인시키는 수단으로 관광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죠.
점차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갖추게 되는 스타판을 두고 볼 진대, 앞으로는 이보다 더 적극적이고, 새롭고, 충격적인 관광이 창궐하리라 예상합니다.
바야흐로 누가 먼저 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점하느냐가 중요시 되는 시대인거죠.“

하지만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반대를 표하는 의견도 있으니, 관광 당사자의 정신적 데미지는 사회적 비용을 유발할 것이기 때문에 방지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내용이다.

(관광방제청 최연성 방제청장의 요청으로 관광방제청에서 제공한 보도자료를 함께 싣습니다.)

* 관광을 방지하기 위한 조언.

자고로 순간의 gg 타이밍이 평생을 좌우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 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역사에 이름을 남기는 순간 당신은 대세가 될 것이며 당신의 자손이 당신의 관광을 목격하게 될 것이니, 부디 적절한 판단력과, 적절한 결단력을 발휘하여 어리석은 미련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관광을 피하는 첫째 조건입니다.
관광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우리나라도 선진국의 반열에서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모두 관광 방지를 위하여 책임 있는 자의식을 가집시다!!



어느 게이머의 고백  “나는 희생양이 아니었다.”


관광으로 인한 피해 당사자의 정신적 고통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은 관광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지고 있다.
첫째로 관중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이 그 이유일 것이고, 둘째로 호랑이는 가죽을 남기듯 게이머는 관광으로 이름을 남기기 때문이다.

그동안 수많은 경기에서 관광으로 멀리 보내보기도 많이 하였지만, 멀리 다녀오기도 자주한 게이머 A씨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관광이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즐길만한 가치가 있고, 스타계의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불가결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가 정의하는 관광이란 누구 혼자만의 의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한쪽의 막강한 힘과 다른 한쪽의 지지치지 않는 고집이 함께 연대를 이루어야지만 가능한 행위이다.
확실히 그는 자신의 경기를 통해 ‘인간이란 모든 싸움에서 승리 할 필요는 없는 존재’ 임을 보여준 인물이었다.
그리고 자신이 수많은 관광을 경험하게 된 그 힘에 대해 그는 이렇게 이야기 했다. “불굴의 의지와 자기희생과 확실한 연대에 대한 ‘이해’”
이것은 관광이 '필요'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잊지 않은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이해’였다.


강민에게 들어본다.  ‘관광의 예술적 창조’


관광의 불가피성에 대한 게이머 A씨의 증언이 있었지만서도 대중이 이미지하는 관광이란 잔혹하고, 파괴적이며, 치욕적인 것. 분명 그럴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광의 비인간성을 게이머 최초로 예술로서 승화시킨 이가 있었으니, 과거 할루시네이션 리콜 관광을 선보이며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게이머 강민이다.
그는 아직도 그 경기에 대해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만 올렸을 뿐”이라며 겸손을 표하고 있지만, 이 경기로 인해 그에게는 대중이 원하는 관광에 대한 그만의 특별한 지론이 생겼다.
“관광은 쉽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창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중은 창조되는 관광에 있어서 특별한 것을 원한다. 그들은 창조되는 것의 방식보다, 창조되는 것의 이미지보다, 창조되는 것의 충격을 더 원한다.”


관광업,  새롭게 도약하나.


강민의 이러한 지론은 앞서 임요환이 말한 ‘관광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선점’과 같은 의미일 것이다.
그리하여 앞으로 펼쳐질 관광은 그것의 단순성을 벗어나 대중에게 더욱 어필할 수 있는 창조성을 지녀야지만 오래도록 인구에 회자될 수 있는 진정한 관광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거라는 예견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이슈화 되고있는 개인전ㆍ팀플전을 막론하는 관광의 다양화와 세레머니 관광ㆍ인터뷰 관광에 이르는 관광의 다변화, 안드로메다와 아이우를 잇는 제3 관광지 개발에 대한 기대감등이 현재 관광업계를 풍요롭게 하는 요인들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의 발전과 함께 관광의 성지라 불리는 ‘역관광’에 대한 게이머들의 동경이 남아있는 한 관광의 역사는 멈추지 않을 것이다.




* anistar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06-15 20:47)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6/14 02:10
수정 아이콘
이런 글 너무 좋아..^^ 으크크크.
07/06/14 02:14
수정 아이콘
강민선수 이름 보자마자 똥X관광 생각했었는데-_-; 아니군요. 흐흐;
리히트
07/06/14 02:17
수정 아이콘
아 이 글 너무 마음에 드네요 하하
마재윤선수 다음엔 부르들링으로 탱크한부대 잡는 관광이라도^^;;
07/06/14 02:19
수정 아이콘
광속 GG는 관광업을 피폐하게 만들죠.[?] 하지만 그래야 프로게이머 본인의 미래가 밝다는 거...ㄱ-
하히호히
07/06/14 02:23
수정 아이콘
광속 gg 는 경기 후에 찝찝한 기분이 들어요~

스타를 즐기기 위해 gg타이밍도 팬서비스로 해주셨으면 ^^
동네노는아이
07/06/14 02:26
수정 아이콘
gg타이밍이야 선수들의 자유지만
그래도 항상 적절한 쥐쥐타이밍으로 팬서비스를 해주는 선수들 있지요
너무 이르지도 너무 빠르지도
너무 멀리 가지도 않는 적절한 gg...
협회바보 FELIX
07/06/14 02:40
수정 아이콘
추게로.
그런면에서 최연성, 서지훈선수는 관광계의 큰 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연아짱
07/06/14 02:42
수정 아이콘
추게로~~~
협회바보 FELIX님//
최연성 선수가 일으킨 관광이 얼마나 많은데, gg 좀 빨리친다고 관광계의 적일리가요~ ^^
07/06/14 02:42
수정 아이콘
진짜,, 몇몇의 선수들은 일부러 GG를 안치고
멋있는 장면의 연출을 위해(?) 끝까지 버텨 주는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죠
김영대
07/06/14 04:02
수정 아이콘
대박이네요. 추게로~
더미짱
07/06/14 04:06
수정 아이콘
추게로~
a씨가 누군지 궁금하군요 ^^
이뿌니사과
07/06/14 07:4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환상의 gg타이밍은 (팬 서비스) 조용호선수였다고 봅니다. 루나더파이널에서 그 한부대 넘는 디파일러 마엘스트롬 걸린거 스톰 커세어에 다 죽는 순간 gg+_+ 매너좋아요.
sunnyway
07/06/14 08:47
수정 아이콘
정말 오랜만에 재미있는 글 읽은 것 같아요 +_+
요즘 참 다양한 관광을 많이 목격했는데, 이렇게 정리해주시니
앞으로의 관광이 더 기대되는 걸요 ^^a

앞으로도 이런 글 자주 보면 좋겠습니다 ^^
07/06/14 09:07
수정 아이콘
오 신선해요~크크
나두미키
07/06/14 09:37
수정 아이콘
글 재밌네요 +_+
스끼다시
07/06/14 09:37
수정 아이콘
글이 너무 재밌네요... 추게로...
예전에 시즈탱크의 시대였나 뭐 하여튼 그런 글이 생각나네요,,,,

아 그리고, 저도 a씨가 누군지 궁금한데, 누가 좀 가르쳐 주세요...
쪽지로라도....
케이블카 관광이랑 전화찬스 관광은 또 어떤 건지,,,
요즘 너무 스타를 안 봤구나 싶네요,,,
구경플토
07/06/14 09:38
수정 아이콘
이뿌니사과님, 그 순간 정말 적절한 GG 타이밍이었죠. 같은 팀 동료여서 더욱 그랬던 것일수도...
그런데 디파일러가 아니라 디바우러...
데스싸이즈
07/06/14 10:00
수정 아이콘
가장 적절한 GG는 할루시네이션 리콜당한 이병민 선수...ㅜㅜ
possible
07/06/14 10:05
수정 아이콘
글 재미있네요...
그런데 전화찬스 관광은 머죠? 다른건 알아듣겠는데...
The Greatest Hits
07/06/14 10:16
수정 아이콘
유게에 있었으면 성지화 되었을텐데....
07/06/14 10:44
수정 아이콘
정말 이병민 선수의 GG 타이밍은 예술이였습니다
리콜의 감동이 끝나고도 계속 이어졌죠
강가딘
07/06/14 11:26
수정 아이콘
대박이네요. 추계로~
07/06/14 11:34
수정 아이콘
전화찬스는... 박성훈 선수랑 윤용태 선수가 몬티홀에서 송병구 선수에게 전화해서 들은 전략으로 이겼다고 인터뷰에서 밝힌건데 사실 관광은 아니죠;; 그냥 전략 좋아서 이긴건데 선수들이 병구선수가 빌드를 잘짜서 알려준다고 하니깐 결합한듯.
기시감
07/06/14 11:51
수정 아이콘
처음에 '이게 뭐지?' 하는 생각으로 클릭했는데 읽으면서 때굴때굴 굴렀습니다. 끌끌끌...
언제나
07/06/14 12: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에게 거치지 말고 그냥 추게로 골인하죠
winnerCJ
07/06/14 13:12
수정 아이콘
글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
toujours..
07/06/14 13:34
수정 아이콘
추게로 한표 더 던집니다 너무 재밌고 글쓰신 분의 필력이 느껴지네요^^
信主NISSI
07/06/14 17:01
수정 아이콘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관광하고 당하진 않는 최연성선수가 관광업계의 최고 흑자기업이군요. 역시 관광하면 운송업이죠...
ShooTinG
07/06/15 21:24
수정 아이콘
김준영선수가 신희승선수에게 사용한
새때관광도 여기에 들어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7drone of Sanchez
07/06/16 00:08
수정 아이콘
마재윤 “나는 삼성을 상대론 목돌 세레머니만 한다. 이번엔 상모도 준비해 두었다.”
이 말 때문에 야밤에 미친듯이 웃었습니다.
근데 jju!! 언제 살아나실겁니까!!
07/06/19 21:04
수정 아이콘
아 정말.. 이런 글 보면 글재주에 있어서 넘을 수 없는 벽을 느낍니다. 글관광인가요.. 정말 멋진 글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40 박정석, 그의 '멋진' 6년간의 커리어는 아직도 진행중. [79] 회윤15580 07/06/24 15580
539 [설탕의 다른듯 닮은] 무관심의 중심에서 (이병민과 손학규) [23] 설탕가루인형8869 07/06/23 8869
538 이기는 것. 그것이 전부. [20] 信主NISSI11665 07/06/20 11665
537 '가위바위보'에 대처하는 강자들의 자세 [68] Forgotten_15015 07/06/17 15015
536 프로게이머 최근 100전 승률 그래프! [26] ClassicMild16061 07/06/15 16061
535 기획보도. 관광 시대의 도래 [31] 말로센말로센13599 07/06/14 13599
533 김택용, 강요된 평화가 부른 혁명의 철검 [61] Judas Pain16465 07/06/12 16465
532 [sylent의 B급칼럼] 김택용, 거침없이. [47] sylent13556 07/06/11 13556
531 All for one, One for All - 두 ACE의 이야기 [8] The xian10899 07/06/10 10899
530 이세돌과 마재윤 [31] 더미짱12664 07/06/07 12664
529 16시 24분 [38] 공실이11312 07/06/07 11312
528 [yoRR의 토막수필.#33유머편]고양이, 오해, 그리고 봉변 [17] 윤여광11543 07/06/04 11543
525 [sylent의 B급칼럼] ‘세팅’에 잠들다 [74] sylent16958 07/06/06 16958
524 어떻게. 그런 상황에서 그대는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 것입니까. [69] The xian14465 07/06/06 14465
523 스타크래프트소설 - '그들이 오다' Renewal판 합본 [24] DEICIDE11692 07/06/05 11692
522 [sylent의 B급칼럼] 공군의 임요환 [18] sylent14228 07/06/03 14228
521 [곰TV 2 마재윤vs박태민 그 후] #3 두전성이(斗轉星移)의 굴욕 - 마재윤도 열받았다 [15] 점쟁이11949 07/06/03 11949
520 선수들 경기력 측정의 한 방법 : ELO Rating System [29] ClassicMild13741 07/05/31 13741
519 최연성과 이윤열. 그 둘의 미묘한 관계 [37] Yes17389 07/05/27 17389
518 그대의 길에 앞으로도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기를 감히 바랍니다. [31] The xian12830 07/05/27 12830
517 우리는 패배를 모르는 제로스(XellOs) 군단임을 기억하라! [18] 파란무테13587 07/05/27 13587
515 박성준, 마재윤. 그들의 스타일. [11] Leeka13436 07/05/26 13436
514 전부 다, 그냥, 이유 없이 고맙습니다^^ [7] 혀니11244 07/05/25 112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