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6/09/20 16:29:25
Name 김연우2
Subject Who sad strong is nothing.
  


  Why? 어째서? 왜 당신들은 이네이쳐가 SK를 이긴것에 놀라워하고 STX가 CJ를 이긴것에 의문점을 갖는가? 개인적으로는 그런것에 놀라고 당혹스러워 하는 당신들에게 내가 더 놀랍고 더 당혹스럽다. 왜냐하면 그렇게 놀라고 당황해하는 당신들의 마음속엔 부정해도 이미 프로게임단을 강팀과 약팀으로 구분지었기 때문이리라.

  How sad it is... 얼마나 슬픈 일인가. 항상 약체팀으로 구분되어지던 그들이 우승후보팀을 이기면 그들은 이겨줘서 고맙다는 팬들의 격려보다는 오히려 이러이러한 점들이 더 부족했다거나 왜 내가 사랑하는 팀을 이겼냐는 등의 질책을 들어야만 했으니.. 물론 이건 주관적인 관점이긴 하지만, 주위의 많은 사람들은 분명 이네이쳐가 SK를 이겼을때 이네이쳐가 잘했던 점을 내세우지 않고 SK의 실책만을 들먹이며 아직도 이네이쳐는 멀었다고 바락바락 우겨댔으니, 이 얼마나 슬픈일인가.

  Oops,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지금 우승후보라 불리우는 SK나 CJ도 한때는 신생팀이었을테고, 또한 힘들고 팬(안티팬)들의 질책을 많이 먹었을때도 있었을 것이다.
그런의미에서 본다면 오히려 너희는 더 복받은 팀들 일지도 모른다. SK가 오늘의 팀이 되기전까지는 아직 프로리그의 제도화가 덜 되어있었고, 미숙했던 감이 없지않아 있었기에, 그렇기에 만약 너희들이 팬들의 바람을 딛고 다른 팀들을 다 때려부수고 한시즌한시즌 계단밟듯 올라간다면 너희들은 그땐 이미 사람들에 의해 강팀으로 불려질 것이다.

  So, how? 그래서, 어떻게? 어떻게 하면 너희들이 지금보다 더 강해질수 있냐고 물어보는 것인가? 물론 방법은 있다. 항상 초심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유지하도록 하자. 가장 가까운 예로 Lecaf 팀을 들 수가 있겠다. 팀의 에이스였던 박지호와 박성준까지 빠져나간 상황, 구 Plus는 누가봐도 침체된 분위기의 팀이었다. 하지만 Plus에서 사신토스 오영종을 키워낸 이후, 팀에서는 한동안 새바람이 불어왔었다. 마치 엄청나게 혹독했던 겨울의 찬바람을 맞으며 버티다가 봄이오자 산들거리는 봄바람에 기뻐하는 들판의 양을 보는듯한 기분이랄까. 더 나아진 팀의 분위기, 게다가 굳건한 팀의 에이스. 그들은 누구와 붙어도 두렵지 않았을 것이다. 게다가 팀의 새로운 창단이라는 경사까지 겹치면서 그들은 다시한번 강해지지 않을까, 많은 사람들이 예측을 했었다. 하지만 Lecaf가 창단 된 이후로 팀은 그렇게까지 기대받았던 성적을 내고 있지는 못했다. 지금은 다시 부활했지만, 그동안 팀의 주축이었던 오영종의 부진을 비롯해서 약점 팀플 등 많은 부분으로 지적을 당해왔기때문이다. 요즘에는 돌풍의 신예 이제동과 침묵하는 노련미 이학주에 의해서 요즘 상승세의 분위기를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가 매우 돋보이긴 하지만, 그렇게 정신을 차리기까지 그들은 새로운 팀 창단 이후 힘들어 했었다. 그 원인을 무엇으로 보는가? 바로 초심으로 돌아가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만약 이들이 구Plus 시절,좁은 방 몇칸에서 새우잠을 서가며 연습했던 그 시절을 복기했더라면, 팀 창단이후 그런 부진을 겪었을 리가 있었을까? 당연히 아니라고 본다. 현 프로리그에서 1패도 하지 않고 있는 Lecaf를 보면서 '아, 이제 이들이 다시 돌아가는구나, 가장 노력하고자했던, 가장 성실하고자 했던 그때 그 시절으로.' 라는 생각이 들었던건 비단 나뿐만이 아니리라.

  Ah, that's so difficult for us. 물론, 그게 너희들에게 매우 힘든 일이 될거라고는 알고 있다. 그렇다고 힘없이 축 늘어져있으면 안된다고 생각한다. 너희들이... 음... 상대적으로 다른 팀에 비해 인기가 없는 건 사실이지만, 분명히 너희를 응원하는 팬들이 옆에 있다는것을 알아주었으면 한다. 우리들을 생각하면서 연습도 하고, 노력도 하고, 경기할때도 우리가 지켜보고있다는것을 믿어준다면 너희들도 좋은 성적 거둘 수 있을거라고 우리도 믿어 의심치 않을테니.

  D-day, how much? 이제 프로리그가 끝날 날도 멀지 않았다. 처음 시작을 반이라고 생각하고 이 기세를 끝까지 유지하길 바란다. 이 프로리그가 끝나는 날엔 언제나 슬픔과 고통을 맛봐야만 했던 너희들이 이젠 더이상 그럼 상처를 받지 않기를 원한다. 마지막까지 승리하고 웃기를 약속해줘라. 명문 산왕공고를 기적같이 잡아냈던 북산을 떠올리며. 너희들이 할 일은 단 하나.

  우리들에게 이 게임판(모든 스포츠계를 통틀어서)은, 강한자가 살아남는게 아니라 살아남는자가 강하다는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눈으로만 보이는 강함은 아무것도 아니라는것을 증명해내거라.


  Who sad strong is nothing.



  by 김연우2


  p.s.  Who sad... 는 별 의미없이 쓴 말입니다. 중요한건 위에 쓴 말 그대로 눈으로만 보이는 강함은 아무것도 아니라는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쓴 표현일 뿐입니다.
* homy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9-21 11:1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9/20 16:30
수정 아이콘
후 새드...... 자꾸 그 동영상이 생각나네요
파벨네드베드
06/09/20 16:33
수정 아이콘
와우의 그동영상이 생각나는군요
체념토스
06/09/20 16:40
수정 아이콘
다른 걸 떠나서 정녕이게 중학생이 쓴글이란 말인가!! -_- who sad...
잘봤어요~
06/09/20 16:43
수정 아이콘
whoooo sad...
Toast Salad Man
06/09/20 16:43
수정 아이콘
so sad...
Eye of Beholder
06/09/20 16:49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필력도 좋구요.. '연우'라는 이름이 좋은 이름인가...
마술사
06/09/20 17:16
수정 아이콘
후새드 에만 눈이 가는...
먹고살기힘들
06/09/20 17:33
수정 아이콘
세드 저거 오타인가요 아님 의도한 것인가요?
honnysun
06/09/20 17:47
수정 아이콘
후새드 ^^ 와우생각이 나네요 저도 ^^
김연우2
06/09/20 18:05
수정 아이콘
/먹고살기힘들다
오타 아니에요 ^^ 강함은 아무것도 아니다라는것을 그저 '강조'하기 위해서 쓴 용법일뿐입니다.
06/09/20 18:18
수정 아이콘
와우 동영상 건을 모르시는 분에게 자꾸 그렇게 말씀하시면 오해하실 수 있으실텐데요.
06/09/20 18:25
수정 아이콘
who said 로 써야 하는거 아니에요 -_-?
말로센말로센
06/09/20 18:32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zboard4/zboard.php?id=humor&page=1&sn1=&divpage=4&sn=off&ss=on&sc=on&keyword=Who%20sad&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4783 후새드의 어원이 있었죠^^ 이글 참조하세여~
아, 그리고 연우님 글 잘읽었습니다~^^
06/09/20 18:40
수정 아이콘
who sad..
06/09/20 19:54
수정 아이콘
............-_-;
제가 김연우2님 나이때에는....
만화책만 팠던거같아 안구에 습기가 차네요 ㅠㅠ 후...새드하네
Help me!
06/09/20 20:13
수정 아이콘
후..슬프다. 강함은 아무것도 아니다.
뱀다리후보생
06/09/20 21:09
수정 아이콘
Why? 난그들의 팬이닌까...
headbomb
06/09/20 22:08
수정 아이콘
후 새드... 와우의 레전드리 코멘트. 드워프 여사제 힐받으면내남자 도 원츄
Peppermint
06/09/21 11:18
수정 아이콘
멋지네요. 팬을 선점당한 팀들의 아픔이 느껴지는듯.. 그래도 승리로서 강함을 증명할 수 있기를!!
06/09/21 11:18
수정 아이콘
후 새드.... 난 저 나이때 뭐하고 있었더라.. -_-a
엄청난 필력이십니다. 미래가 기대되는 청소년이시군요. (응?)
예아나무
06/09/21 13:29
수정 아이콘
요새두 후새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6 회(膾)의 문화.. [18] LSY10713 06/10/10 10713
355 Supreme의 엉뚱한 게임토론 [16] Supreme7578 06/10/09 7578
354 라면에 김치국물을 넣음에 관하여... [51] 이오리스11258 06/10/10 11258
353 '바바리안' and '레지스탕스' [7] legend8446 06/10/09 8446
352 [sylent의 B급칼럼] <파이터포럼> 유감 [55] sylent11266 06/10/08 11266
351 함께 쓰는 E-Sports사(7) - C&C 제너럴리그 본기. [20] The Siria9243 06/10/07 9243
350 밥통 신의 싸움 붙이기 [29] 김연우10036 06/10/07 10036
349 [만화 '식객' 이야기] '부대찌개' [21] The xian10426 06/10/06 10426
348 프로리그와 기록 이야기 2 [3] 백야7442 06/10/06 7442
347 [Kmc의 험악한 입담] 어쩌다가... [20] Ntka8440 06/10/05 8440
346 진압된 반란, 대장 박대만 [7] 세이시로9394 06/10/04 9394
345 스타크래프트의 논쟁,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가져야할 자세. [4] 김연우27389 06/10/04 7389
344 Forever SlayerS_'BoxeR' - 임요환의 836전 500승 336패 [31] Altair~★13592 06/10/04 13592
343 그녀와 나의 눈에 보인 슈퍼파이트 [11] Lunatic Love9902 06/10/04 9902
342 [sylent의 B급칼럼] MSL과 박대만, 그리고 요환묵시록 下 [94] sylent12477 06/10/04 12477
341 "어? 김양중 감독 말도 할줄아네" [62] 임태주13411 06/10/04 13411
340 정말 '잡담' [24] elecviva9839 06/09/27 9839
339 [sylent의 B급토크] 내가 임요환에게 기대한 것 [63] sylent15548 06/09/26 15548
338 흔들리는 신화, 새롭게 쓰이는 전설 [46] 김연우13790 06/09/25 13790
335 스타크래프트와 통계 [11] 순욱8677 06/09/23 8677
334 @@ 공식전적에 대한 기준과 관리가 필요한 시점 ...! [15] 메딕아빠7355 06/09/22 7355
333 <1 Min Thinking> 행복과 함께하다.. [2] Love.of.Tears.7037 06/09/21 7037
332 Who sad strong is nothing. [21] 김연우211693 06/09/20 116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