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06/12/05 18:03:06
Name LikeWind
File #1 12345.jpg (122.0 KB), Download : 37
Subject [유머] 수표사기사건에 대해서 글하나 올려봅니다 ^^


이 문제에 대한 저의 결론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보석70만원 짜리를 사가시려고 수표 100만원을 내미셨습니다. 근데 지금 내 수중엔 현금 30만원을 거슬러줄수가 없습니다
2. 손님에게 받아온 수표로 빵집에 찾아가서 수표를 내밀고 현금 100만원으로 바꿔왔습니다.
3. 보석(70)과 거스름돈 30만원을 손님에게 드렸습니다
4. 제 손엔 70만원이 남았으니 물건을 제대로 팔고 오늘 거래는 성공한거지요
5. 갑자기 제과점 아저씨가 찾아오셨습니다
6. 지금 이수표가 100만원짜리가 가짜입니다. 이걸 주시고 저의 현금과 바꾸셨으니 제가 다시 돌려드리고 제 현금을 받아야겠습니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 중간확인 / 그 신사가 가고난후 신사가 냈던 수표가 가짜수표라는걸 알게된거에요 그래서 보석상 주인에 제과점에 100만원을 물어줬죠. 그럼 보석상 주인이 총 손해본 금액은 얼마인가요?(보석70만원으로침)

7. 지금 저에게 돈이 70만원 밖에 없습니다. (문제에서는100만원을 돌려드렸다고하니) 30만원을 집에서 가져오든 통장에서 가져오든빵집주인에게 드렸습니다


결론입니다

8.빵집주인 - 가짜수표를 받고 100만원을 주었다가 다시 100만원을 돌려받았으니 손해가 없습니다

9.도둑 - 가짜수표를 내고 보석(70만원)과 30만원을 받았으니 100만원을 이득봤습니다.

10.보석상주인 - 70만원짜리보석을날리고 30만원의 거스름까지 도둑에게 주었고 빵집주인에게 30만원을보태어 100만원을 만들어 드렸으니 70+30+30 으로 130만원을 손해본겁니다
(여기서 30만원에 대해서 해깔리신 분들이 있는데 빵집주인에게 줄 100만원중에 30만원이 모자라 은행이나 집에서 가지고왔으니 30만원이 추가된겁니다) 뭐 도둑에게 준30만원을 왜 다시계산 하냐느니 이런건 말이안되지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S 이래도 제말이 틀리셨다고 보신다면 일단 반론 글 먼저 쓰시지마시고
       지금 당장 지갑에서 현금천원짜리10장,가짜종이(수표대용),물건(보석)을
       준비하신후에 물건의 이동을 확실히 순서대로 해보신후에 결과적인
       보석상의 손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반론글의 조건을 지켜주시면 좋겠습니다. 반론전에 어떤 번호에서 제가 틀렸는지
적어주시고 그 설명을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  3번 반론 - 설명(어쩌고 저쩌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elblade
06/12/05 18:08
수정 아이콘
30만원은 하늘에서 가져가는 거였군요
06/12/05 18:09
수정 아이콘
이것저것 할것 없이 머리속에서 상상하면서 다시 생각해봤습니다.
10번을 자세히 보세요.
거스름돈을 주고 나서 70만원이 남았겠죠?
그런데 돌려달라고 하네요 우리 빵집양반..
그래서 30만원을 다른데서 채워다가 다시 드렸습니다.
괜한 자기돈 30만원을 날렸네요.
그럼 그 외의 손해는?
보석을 가져가셨네요...70만원(30+70=100만원)
그 외에 손해가 있습니까?;; 순서대로 잘 읽어보세요. 거스름돈을 줘버려서 없는돈을 집이나 은행에서 가져와서 빵집아저씨한테 준겁니다.
LikeWind
06/12/05 18:10
수정 아이콘
('' 반론이 틀리셨는데요 하늘에서 떨어지는게 아니고 100만원을 만들어드려야되니 은행이든 집에가서든 30만원을 찾아와서 준거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문제는 이미 벌써 빵집주인에게100만원을 돌려드린후입니다) 70만원밖에없는데 100만원만들어야되니 빌려온건지 찾은건지가 맞지요 반론을 하시더라도 글의 요지에 맞게 말을 조리있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06/12/05 18:10
수정 아이콘
3번 반론 - 이 거스름돈 30만원은 빵집 주인에게 받은 100만원에서 나온 돈입니다. 그러므로 한번 더 계산하신겁니다.

복잡하다면 중간과정 생각하지 마시고 결론만 생각해 봅시다.
위의 사기는 보석과 잔돈교환이라는 과정이 존재하지만 쉽게 생각하자면
사기꾼이 0원의 가치인 가짜수표를 통해 100만원의 가치를 갈취해간 것입니다.
8 ,9, 10번의 결론끼리 비교하자면
8. 빵집주인 0
9. 도둑 +100
10. 보석상 주인 -130
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총합이 -30이 나오지요. 0이 나와야 위의 사기 거래가 제대로 설명된 것일텐데 말이죠.

이렇게 생각해 보세요. 보석상인은 현재 가진돈이 한푼도 없는채 70만원짜리 보석만 갖고 있는 노점상이라고 말이죠. 만일 그렇다 하더라도 거래는 성립될 겁니다. 그렇다면 존재하지도 않는 30만원이 뿅하고 튀어나온 것일테니 130만원 손해는 틀린답이 되지요.
LikeWind
06/12/05 18:10
수정 아이콘
Ublisto // 도둑에게 주신 거스름돈 30만원을 빼먹으셨어요.
06/12/05 18:11
수정 아이콘
간단히 생각해봐도 30만원의 손해는 있는데 이득보는 사람이 없군요..
06/12/05 18:1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말씀드리면 이해가실려나..
빵집주인이 100만원을 현금으로 바꿔주지 않고 바로 신사에게 30만원을 지급하고 70만원을 보석상주인에게 줬다고 칩시다.
그럼 거스름돈 30만원은 보석상주인이 준게 아니기 때문에 손해가 되지 않죠.
그리고 돌려달라고 하자 30만원을 빵집주인에게 돌려줍니다..
결국 빵집주인 30만원. 신사 70만원 진주 포함 100만원이 됩니다
수달포스
06/12/05 18:12
수정 아이콘
10번이 틀렸죠.

이건 뭐 열역학 제 1법칙 " 에너지 보존 법칙"에도 위배 되는데요? ^^;;

빵집주인 변동사항없고, 도둑 100만원 이익봤으면 내가 100만원손해봐야죠. 이건 결론만 따진것이고 과정을 살펴보면

돈을 바꿔온후 30만원을 도둑에게 준 돈은 제돈 30만원이 아닙니다. 따라서 그 돈을 준 이후 나는 재산에 변동이 없는거죠. 손해를 보면서 장사하는사람이 어딨습니까. 중간에 돈을 바꾸는 과정이 있었지만, 결국 보석상은 70만원 상당의 진주목걸이를 70만원의 현금으로 바꾼것 뿐이지요.
해서 이까지의 보석상 손해액은 0이구요.

빵집주인에게 100만원을 줘야 하므로 100만원 손해입니다.
felblade
06/12/05 18:13
수정 아이콘
아 무슨말인지 알겠군요.. 아까 밑에 어떤 글에서 마지막 장면에서 돈이 부족해야되는데 100만원이 어떻게 맞춰져있냐 이런 내용의 글때문에 이러시는 것 같은데..꿔왔든 뭐든 그건 원래는 없던 돈이지 않습니까? 그게 왜 손해가 되는건지.. 이자를 친다면 손해가 되겠지만 돈을 빌린다던가 이런건 손해가 아닙니다
06/12/05 18:14
수정 아이콘
10번이 틀렸네요. 도둑에게 준 30만원을 보석상주인의 돈으로 생각하면 안되죠. 첨부터 보석상주인의 돈으로 거슬러준 게 아니니까 거슬러준 30만원을 손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팬이야
06/12/05 18:14
수정 아이콘
음.. 수표사기관련 다른글은 안보고 이글만 봤는데.. 저 그림으로는 확실히 100만원이 손해로군요.. 윗분들이 너무너무 쉽고 조리있고 머리에 팍팍 박히게 설명해 주셔서..
06/12/05 18:15
수정 아이콘
아..그리고 이해를 돕기위해 한번 LikeWind님도 물건을 이용해서 직접해보세요.
이런 문제는 자기자신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납득이 안되는 법입니다..
완성형폭풍저
06/12/05 18:15
수정 아이콘
글쓴이가 틀리신것 같네요...
사기꾼에게 100만원 받았고 30만원과 진주를 돌려주었습니다.
여기까지 보석주인이 손해 본것이 있나요...?
손해 본것이 없죠..?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돌려주었습니다.
여기서는 100만원 손해봤네요..
따라서 총 손해액은 100만원 같은데요...
06/12/05 18:16
수정 아이콘
오늘의 최고의 퀴즈왕은 "LikeWind"님을 이해시키는 분이 되겠네요...
삽마스터
06/12/05 18:16
수정 아이콘
저도 그림이라도 그려서 알려드리고 싶네요.
130만원이라는 말 듣고 조금 헷갈렸는데..
빵집 주인을 배제하고 보석상의 주인이 거스름돈을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해보면 손해가 백만원인것이 확실합니다.
빵집 주인의 손이익이 0 원이라면
결과적으로 손해본금액도 100만원이어야 맞겠지요.
LikeWind
06/12/05 18:17
수정 아이콘
쿨희 // 10. 보석상 주인 -130
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총합이 -30이 나오지요. 0이 나와야 위의 사기 거래가 제대로 설명된 것일텐데 말이죠. 라고 글을 쓰셨는데요 // 이 문제는 거스름돈 30만원이 없어서 시작된겁니다 만약 거스름돈 30만원이 있었으면 빵집에 가서 문제될일도 없고 100만원 손해보고 끝인거지요 // 결론에서 총합이-30이나오지요 0이나와야 위의 사기거래가 제대로 설명될것일텐데 말이지요 // -30은 은행이든 어디든 가지고 온겁니다 문제에선 100만원을 돌려주었따고 나왔습니다.


제가 지금 일나가야 되기때문에 갔다와서 자정되서 다 답글 달아드리겠습니다
06/12/05 18:17
수정 아이콘
10번이 틀렸습니다. 도둑은 100만원 재화를 얻었습니다.(보석과 30만원) 그러나 그 재화 중 보석은 보석상으로 부터 얻은 것이지만 30만원은 빵집 주인으로 부터 얻은 것입니다.

도둑이 떠나고 빵집주인이 수표가 가짜란 것을 알기 전 상황을 보면, 보석상은 보석을 팔고 70만원의 현금을 얻어서 금액 변동이 없고, 도둑은 100만원의 재화를 얻었고, 빵집 주인은 100만원을 잃었습니다. 여기서 빵집주인이 100만원을 돌려받을 때는 보석상은 보석 대금 70만원과 어떻게 구한 30만원을 합쳐서 주었겠죠. 그러므로 보석상은 보석과 30만원을 손해본 것이므로 총 100만원을 잃은 것입니다.
06/12/05 18:18
수정 아이콘
자신의 증명 중 8,9,10만 봐도 오류가 생기는데..
이걸 증명이라고 할수 있을까요?
06/12/05 18:19
수정 아이콘
거스름돈이 있고 없고랑 전혀 상관없습니다;
있다고 가정하고 풀어도 답은 같아요. 그래야만 하구요.(무이자로 빌렸을경우;;)
부디 지금까지의 글들에서 친절히 설명해주신 많은 분들의 설명을 들어보시고 차근히 의문점을 해결해나가셨으면 좋겠네요.
그럼 수고하세요.
06/12/05 18:19
수정 아이콘
30만원의 증발을 글쓴분의 증명으로는 설명을 할 수가 없지요..
06/12/05 18:22
수정 아이콘
1)보석상인의 입장
그림1. 가짜수표득(+0) = 0
그림2-1. 가짜수표빵집에 줌(-0) + 현금100만원 받음(+100) = 100
그림2-2. 손님에게 진주를 줌(-70) + 거스름돈도 줌(-30) = -100
그림3. 빵집주인에게 가짜수표 받음(+0) + 현금100줌(-100) = -100
결론 -100

2)빵집입장
그림2-1. 가짜수표받음(+0) + 현금100 보석상에 줌(-100) = -100
그림3. 가짜수표건네줌(-0) + 현금100 돌려받음(+100) = +100
결론 0

3)사기꾼 입장
그림1. 가짜수표건넴(-0) = 0
그림3. 보석받음(+70) + 거스름돈 받음(+30) = +100
결론 +100

---------------세명의 결론을 합치면
1)-100 + 2)0 + 3)+100 = 0

제 계산법입니다. 원글에 달았던 리플이죠.

직접 역할극을 한다면 130만원 손해인지 100만원손해인지 알 수 있습니다.

[[[[[[[[[[[[[[[[역할극 준비물]]]]]]]]]]]]]]]]]
]
]]]]]]]]]]
1. 사기꾼 : 만원짜리 한장(가짜수표 1장)
2. 보석상인 : 휴대폰 1개(보석 1개)
3. 빵집주인 : 천원짜리 10장(100만원)

위의 준비물만으로 거래가 성립된다면 100만원 손해입니다.
위에 적은 준비물 외에 무언가 더 필요하다면
그건 130만원 손해겠지요.
하만™
06/12/05 18:23
수정 아이콘
글쓴님이 쓴글을 제가 고쳐써보겠습니다
글쓴님의 글이 틀렸으므로....
----------------------------------------------------------------
1.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보석70만원 짜리를 사가시려고 수표 100만원을 내미셨습니다. 근데 지금 내 수중엔 현금 30만원을 거슬러줄수가 없습니다(이때 처음 가지고있었던 돈을 0이라 합시다.)
2. 손님에게 받아온 수표로 빵집에 찾아가서 수표를 내밀고 현금 100만원으로 바꿔왔습니다.(여기서는 100 이죠.. 아무것도 준 것 없이 100만원을 받은상태 입니다.)
3. 보석(70)과 거스름돈 30만원을 손님에게 드렸습니다(100만원을 손님에게 줬기때문에 0입니다.)
4. 제 손엔 70만원이 남았으니 물건을 제대로 팔고 오늘 거래는 성공한거지요(현금으로 70일뿐 여전히 0이죠)
5. 갑자기 제과점 아저씨가 찾아오셨습니다
6. 지금 이수표가 100만원짜리가 가짜입니다. 이걸 주시고 저의 현금과 바꾸셨으니 제가 다시 돌려드리고 제 현금을 받아야겠습니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 중간확인 / 그 신사가 가고난후 신사가 냈던 수표가 가짜수표라는걸 알게된거에요 그래서 보석상 주인에 제과점에 100만원을 물어줬죠. 그럼 보석상 주인이 총 손해본 금액은 얼마인가요?(보석70만원으로침)

7. 지금 저에게 돈이 70만원 밖에 없습니다. (문제에서는100만원을 돌려드렸다고하니) 30만원을 집에서 가져오든 통장에서 가져오든빵집주인에게 드렸습니다(이곳에서 100만원을 줬으니 -100이 됩니다)


결론입니다

8.빵집주인 - 가짜수표를 받고 100만원을 주었다가 다시 100만원을 돌려받았으니 손해가 없습니다

9.도둑 - 가짜수표를 내고 보석(70만원)과 30만원을 받았으니 100만원을 이득봤습니다.

10.보석상주인 - 최종적으로 손해본것은 집에서 가져온 30만원과 잃어버린 진주(70만원짜리) 입니다. 그러므로 총 손해액은 -100 인 것 이죠


이해가 되었으면 좋겠군요
수달포스
06/12/05 18:23
수정 아이콘
likewind님// 그렇다면 사기가 밝혀지기 이전까지는 보석상이 30만원 손해본것입니까? 사기가 밝혀진 이후에 100만원 손해본것이구요. 그래서 도합 130. 음....

상식적으로 30만원 손해보면서 왜 장사를 하죠? 윈드님께서는 이 부분에서 잘못생각하셨다는것을 직감적으로 알으셔야합니다.
Peppermint
06/12/05 18:24
수정 아이콘
"손해가 얼마냐"를 알려면 사건 이전의 보석상의 금고상태와 사건 이후 보석상의 금고상태를 비교해보면 되죠.
얼마나 +,-가 있었는지..

사건 이전 : 현금이 하나도 없었다는 가정하에 보석 70만원, 현금 0원 -> 총 +70만원

사건 이후 : 보석 0원, 현금 -30만원. (가게에 없었으므로 어딘가에서 조달해 왔겠죠) -> 총 -30만원

즉 결과적으로 사건 이전보다 -100만원이 된거죠.

굳이 말하자면 10번에 대한 반론이 되겠네요.
06/12/05 18:24
수정 아이콘
처음을 잘 생각해보세요.
도둑이 70만원짜리 보석을 사면서 100만원짜리 수표를 줬습니다.
그럼 그 순간에는 보석상은 30만원 이득을 본 셈이지요?
70만원짜리 물건을 팔면서 100만원수표를 받았으니깐요. (물론 그 수표는 가짜였지만 진짜라고 생각하면...)
그러니깐 다시 30만원 거스름 돈을 주는것이구요. 거스름돈은 보석상이 손해를 보면서 주는 돈이 아닙니다. 그냥 +30 - 30 이 되는겁니다. 나중에야 수표가 가짜였으니 100만원 손해를 보게 되는것이지요.
푸른매
06/12/05 18:25
수정 아이콘
간단히 생각해보자면..
도둑에게 100만원을 줬는데 그걸 빵집주인한테 빌려서 주고 나중에 갚았다는 이야기지요
결국 빌린돈 갚았고 도둑에게 100만원 준거니 최종 손해는 100만원 이지요
06/12/05 18:26
수정 아이콘
자.. 돈의 흐름은 위 이야기와 같지만 이야기를 한번 바꿔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사기꾼과 빵집 주인이 친하다고 가정해봅시다. 사기꾼이 보석상에게 보석을 구매했는데 빵집 주인이 대신 100만원을 계산을 했다고 생각해봅시다.(사준 걸로 보셔도 무방) 그래서 보석상이 사기꾼에게 반지와 거스름돈 30만원을 준걸로요.. 그러면 지금까지는 100받고 100준 것이 되지요?? 그런데 다시 빵집 주인이 계산하기 싫다고 100을 다시 돌려 달라고 하네요.. 그래서 100을 돌려줬습니다. 그럼 보석상은 100만원 손해가 맞지요? ^ ^;
팬이야
06/12/05 18:28
수정 아이콘
어디 커피숖에 자리잡고 각잡고 설명해드려야 할 듯..

그 보석상이 준 30만원은 빵집주인의 100만원에서 나온 것 아닙니까

님이 올리신 그림을 아주 잘 천천히 보세요. 분명 거스름돈 30만원이 없어서 빵집주인에게 100만원을 빌려서 거기서 30만원(빵집주인돈)을 주고, 70만원(보석상의돈)상당의 진주를 팔고, 빵집주인에게 빌린 100만원중 70만원(빵집주인의돈)을 자기가 가지고 있을 것 아닙니까.

자, 100만원을 돌려달라던 빵집주인에게 70만원(빵집주인의돈)과 '자신'의 돈 30만원(보석상의돈)을 돌려주었습니다.

보석상의 손해는 얼마입니까?
초보 토스
06/12/05 18:30
수정 아이콘
likewind 님도 지금 자리에 안 계시는것 같으니 잠시 쉬었다가....
12시 이후에 뵙겠습니다...
06/12/05 18:31
수정 아이콘
글쓰신분 표를 보시고 잘 생각해보세요. 30만원이 중복계산되었습니다
도둑 주인 약사 합계

원래가진것 0 70 100 170
돈빌려옴 0 170 0 170
도둑에게
보석과
30만원을줌 100 70 0 170
약사에게
100만원을 갚음 100 -30 100 170
NULL Pointer
06/12/05 18:31
수정 아이콘
이거.. 아무래도 낚시가 아닐런지...
원본글과 해답글에 달려있는 수많은 답변들중 한두개만 봤어도 이렇게 모를수가 없죠.
06/12/05 18:32
수정 아이콘
약사가 아니라 빵집주인이군요 ㅎ
06/12/05 18:33
수정 아이콘
이게 복잡한 문제인가 보군요.
일단 100만원 수표 손해 보고 70만원짜리 보석+30만원 거스름돈이니깐 200만원 아닌가요? 왜 난 간단해 보이지..?
yellinoe
06/12/05 18:33
수정 아이콘
빵집주인은 있느나 마나한 존재(보석상에게 줬던 백만원 다시 받은거뿐,,)... 보석상 100만원 손해 끝(도둑에게 돈안받고 자기돈 삼십만원이랑 보석 칠십만원 기부만 했음, ) 고민 하지마세요, 그냥 보석상은 백만원 손해만 봤어요,,,

원래 이 보석상이 잔돈있어서 그돈으로 삼십준거임.. (백만원은 그냥 빵집과 지폐교체만 서로 반복 한것임..빵집 주인이 백만원 그냥 줬다가 다시 찾은거뿐,,, 빵집주인과는 아무런 관랸없음,,, 삼십이 어디 날라가지도 않았고요,)
자기돈 삼십과 보석 칠십 만 손해일뿐,
LikeWind
06/12/05 18:41
수정 아이콘
Lunatic / 30만원의 손해가있는데 이득보는 사람이 없군요 라고 보시면 안되죠 이득은 이득따로 손해는 손해따로인데요. 30만원은 은행이던 집이던 거기서 가져왔으니 당연히 이득본사람이 없는30만원이지요.
Ublisto / 그렇게 가정을 하면 안됩니다. 상황을 이렇게 칩시다 라고 하면 답이 그게되는게 맞습니다 그러다 지금은 줬다고 칠수없는 바꾸어진 문제에 주어진상황입니다 여러분이 해깔리시는게 계산이 어렵다고 중간에 쉽게 생각해보자고 생략하시면 그게바로 부정답입니다 순서대로 돈의 흐름으로 가면 절대 그렇게 안나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후반부 결국 빵집주인30만원/ 신사70만원 / 근데 거스름돈 30만원은 왜 계산안하시지요?
수달포스 / 제말 똑똑히 처음부터 보셨나요? 수중에 70만원있고 100만원을 만들어줘야하니 집이나 은행에서 30만원 가지고와서 벌써 100만원을 만들어서 돌려주었습니다
달볓 / 아니지요. 당연히 위조수표인지 모를떄는 30만원이 손해가 아닙니다. 그러나 위조수표라는게 알려진후에는 그 거스름돈이 손해본돈으로 바뀌게 되는거지요
팬이야 / 제 글 조리있게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돌려주었습니다 여기서는 100만원 손해봤네요.. 따라서 총손해액은 100만원 같은데요 <- 틀렸습니다. 수중에 있는돈 70만원으로 100만원을 돌려주려만 30만원을 더가지고 와서 주면됩니다.
준이 / 제가 틀렸다면 나중에 모든분들에게 정중히 사과드리겠습니다
삽마스터 / 빵집주인을 배제하면은 당연히 손해본금액이 100만원입니다. 그러나 pgr21에 올라온 문제에는 빵집주인이 사기당한 부분이 있고 돌려주어야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부분을 넣어버리면 돈이 130만원 손해로 나옵니다.
Neo / 위에 분들에게 반론제가 해드린걸 자세히 매치시켜서 읽어보시면 같은 답변이 있을겁니다
오렌지
06/12/05 18:43
수정 아이콘
점점 화가 납니다.
LikeWind
06/12/05 18:43
수정 아이콘
중간에 한말씀드립니다. 이문제의 트릭은 가짜수표인지 알기전과 가짜수표인지 알고난후가 트릭입니다. 모든분들이 그냥 단순하게 산수 생략적으로 계산하고나니 그렇게 계산이 되는겁니다. 모든상황을 생략하시지마시고 쉽게 생각한다고 그냥 계산하지마시고 한상황이 이루어질때마다 그떄의 돈의 이동흐름을 직접옴겨보십시오. 한부분이라도 생략하신다면 다른분들처럼 100만원이나오게됩니다
이문제를 학교선생님이나 높은 분들에게 한번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어느정도 순서대로 차곡차곡 하시면 정답을 구할수있을겁니다. 쉬운문제같지만 이문제는 트릭이 아주 중요합니다
06/12/05 18:43
수정 아이콘
LikeWind// 이득따로 손해따로라고 생각하신다면 할말이 없군요 ㅡㅡ;; 그 30만원을 은행에서 빼왔던 거리에서 훔쳐왔던간에 30만원의 이득을 본 사람은 있어야 됩니다.. 이해하기 쉬운 리플들 많이 달렸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헤매시는가보네요..
06/12/05 18:44
수정 아이콘
가끔 이렇게 답답하게 사람잡는 분들이 있긴합니다만
너무 지나친 자기 확신은 결국 오답을 불러옵니다.
진리탐구자
06/12/05 18:45
수정 아이콘
10. 아니, 도둑에게 준 거스름 돈 30만원이 왜 보석상 주인의 손해입니까...............;;;;;;;;;;;;;;;;;;;;;;;;;;;;;;;;;;;;;;;;;;;;;;;;;;

그건 절대 손해가 아닙니다. 원래부터 그 돈은 보석상 주인의 돈이 아니라 제과점 주인에게 빌린 돈입니다. 즉, 제과점 주인에게 빌린 돈이 보석 상인을 거쳐 사기꾼에게 간 것이죠. 보석 상인은 거스름 돈에 대해서는 그냥 거쳐가는 지점일 뿐입니다.

결국 보석 상인은 진주를 사기 당했으니 진주값 70만원을 날린 거고, LikeWind님 말씀대로 제과점 주인에게 30만원을 더 줘야 하니까 도합 100만원을 날린 겁니다.

님 말씀대로 130만원을 손해 본 거면, 따로 30만원 이득 본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이득과 손해가 어떻게 따로입니까. 손해 보는 사람이 있으면 그에 따라 이득 보는 사람이 생기는 건데. 돈을 따로 가져 오는 거라고 하셨는데, 그래도 그게 누구 아가리에 들어가야 할 것 아닙니까? 누구 아가리에 안 들어가면, 보석 상인이 뭐하러 30만원을 더 가져옵니까? 자기가 갖지요.
LikeWind
06/12/05 18:45
수정 아이콘
보석상에게 준 돈은 빵집주인에게서 나온돈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이문제는 바로 가짜수표 인지전과 인지후가 중요한겁니다. 정말 같이모여서 소주한잔씩 기울이면서 토론해보고싶네요.
06/12/05 18:47
수정 아이콘
10번에 명백한 오류가 있습니다. 보석상 주인은 100만원을 받았다가 도둑에게 현금 30만과 보석 70만을 빵집주인에게는 현금 100만원을 주었으니 100만원 손해입니다.. 답답해지는군요 ㅠ.ㅠ;;
06/12/05 18:48
수정 아이콘
가짜수표인지 시점과는 돈의 흐름과는 전혀 상관 없습니다. 오히려 그것이 헷갈리게 하는 이유이지요.. ㅡ.ㅡ;;
yellinoe
06/12/05 18:48
수정 아이콘
가짜수표 인지전,,, 셋다 아무런 손해와 이득 본사람 없습니다.. 아무도 이득 손해 없습니다.

가짜수표 인지후,,, 도둑은 백만원벌었고 보석상은 백만원 손해...
진리탐구자
06/12/05 18:49
수정 아이콘
그냥 간단하게 사건 전과 사건 후에 보석 상인의 돈이 어떻게 되었냐만 보면 됩니다. 사건 전에 얼마였나요? 진주만 가지고 있었으니 70만원이지요? 사건 후에는 어떻게 되었나요. 보석과 거스름돈의 합 100만원은 사기꾼이 가져갔고 여기서 보석상인은 0원이 되지요? 그 다음에, 보석상인은 가게 주인에게 30만원 주었지요? 그럼 -30만원이 되지요? 그럼 처음에는 +70만원이고 사건 후에는 -30만원이니 -100만원이 되는 것이잖습니까.

님 말마따나 직접 하시면 답이 나오실 듯. -_-;;
RREQ-RREP
06/12/05 18:51
수정 아이콘
길게 쓸것도 없고 ..
30만원이 왜 두번 계산됩니까.
보석상 주인이 첨에 100만원 가지고 있었다고 계산하면 편합니다.
(이 문제에서 빵집 주인은 아예 등장을 안해도 상관없습니다.)
06/12/05 18:51
수정 아이콘
한마디로 간단히 설명해 드리면요.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돌려줄때. 30만원이 모자라는건 손해가 아닙니다
100만원 빌려서 130만원을 갚아준다면 30만원 손해지만
100만원을 빌려서 100만원을 갚는다면 손해가 아니겠지요.

어쨌든 결과적으로 비상금에서 30만원이 나와야 하는것이고
총 보석상주인의 손해금액은 보석 (70만원)+ 비상금 30만원 해서 총 100만원입니다. 부디 글쓰신분이 이해하셨으면 좋겠군요.
이디어트
06/12/05 18:51
수정 아이콘
대충 생각해봤는데..
30만원이 중복되서 그런것같은데..
그냥 간단하게.. 첨부터 100만원을 받아서 30만원을 거슬러 줄수있다고 생각하고.. 생각하면 빵집주인과 트러블이 생기는거랑 크게 문제가 없을것같은데..

예전에 중3때던가?? 이 비슷한.. 여관문제였습니다. 그땐..
그걸 푼적이 있는데..
첨엔 뭔소린가?? 했는데.. 나중에 직접 -_- 돈을 만들어서 해보니깐 알겠더군요. 혹시 글쓰신분 헷갈리시면 직접 돈 만들어서 친구2명과 같이 3명이서 하면 결론이 틀리셨다는걸 알수있으실거에요.
어디서 틀렸는데? 라고 물어보신다면..
그거까지 생각하며 찾기는 힘들지만.. 아마 빵집주인과 겹치면서 오류가 생긴듯..
=)
LikeWind
06/12/05 18:53
수정 아이콘
보석상 70만원 보석날렸쬬 현금 바꿔온거에서 30만원줬쬬 도둑에게 // 도둑은 100만원이익보고 도둑에게 30만원을 줬으니 가지고있는돈은 70만원입니다 근데 빵집주인에게 30만원을 보태서 100만원을 만들어줬습니다. 30만원은 집에서 가져온거라고 칩시다 // 도둑에게 30만원과 보석70만원을 주엇으니 100만원손해 // 원래 있던 70만원 그걸 30만원보태서 빵집주인에게줬으니 빵집주인에게 30만원손해 틀립니까? //
06/12/05 18:54
수정 아이콘
이런 문제에 왜 이렇게 댓글이 많아 하고 봤는데 재밌네요.
저도 아무생각없이 200이라고 적었는데 글 보고 한번 종이에 써서 계산해봤습니다. 100만원 손해군요 -_-;
아 그리고, 위에 두분은 그냥 MSN이나 이런데서 두분이 채팅하시거나 전화번호 공유하셔서 같이 얘기하셨으면 하네요.
재밌긴 하지만 한분이 너무 자기 무덤을 파시는듯..
06/12/05 18:54
수정 아이콘
답글안다시는줄 알고 그냥 올렸는데.
선생님이나 높은사람.. 이야기를 하는걸 봐선..
정말 소주한잔 할 수 있는 나이나 되는건지 궁금해지는군요 ㅠㅠ
부디 잘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06/12/05 18:55
수정 아이콘
사기꾼에게 거슬러준 30만원은 빵집주인에게 받은 30만이라는 사실만 인지하시면 되실듯 하네요.
LikeWind
06/12/05 18:55
수정 아이콘
근데 왜 ㅠㅠ 제머리론 도저히 이해가 안되죠? 그래도 지금 나름대로 한나라에서 손에꼽는대학을 나왔는데 말이지요. 많은분들이 예스라고 할때 노라고말한후 바보가될래요. 저는 100만원이 도저히 이해가안갑니다 제머리의 한계인가봅니다.
진리탐구자
06/12/05 18:56
수정 아이콘
LikeWind님//일단 이득과 손해가 따로따로라는 것부터가 오류입니다.
손해를 130만원 봤다고 합시다. 그럼 130만원을 가져가는 사람이 있어야 할 것 아닙니까. 100만원은 사기꾼이 가져갔습니다. 그럼 30만원이 은행에서 나왔든 집에서 나왔든, 가져가는 사람이 있어야 할 것 아닙니까. 주는 사람은 있는데, 가져 가는 사람이 없다면 말이 안 되죠. 그럼 30만원을 땅에 묻게요? 빵집 주인이 가져갔다고요? 그럼 빵집 주인은 30만원 이득 봤게요?
RREQ-RREP
06/12/05 18:56
수정 아이콘
허허허.. 님 논리대로라면 빵집주인은 30만원 이득본건데요.
06/12/05 18:56
수정 아이콘
그러니깐 말이죠 현금은 총 130만원 쓴거지요. 보석 70만원하면 총 200만원 쓴것이구요.. 그런데 가짜수표를 주면서 100만원의 이익이 미리 발생했지요?? 그러니깐 100만원 손해라구요... ㅠㅠ 낚시 아니죠??
탈로아둔
06/12/05 18:57
수정 아이콘
1. 신사 수표 100, 보석상 진주 70, 빵집 현금 100
2. 신사 0 , 보석상 100 70 , 빵집 현금 100
3. 신사 0 , 보석상 100 70 , 빵집 수표 100
4. 신사 70 30 , 보석상 현금 70, 빵집 수표 100(0)
5. 신사 100 , 보석상 70 30 , 빵집 0
6. 신사 100 , 보석상 0 , 빵집 100
7. 신사 +100 , 보석상 진주-70 빵집주인에게 준돈 -30 빵집 0
결과적으로 보석상 100손해..

보석상 주인이 빵집에 돈을 빌렸을 시점에 가진돈은 총 170입니다.
신사에게 100을 줬으므로 남은돈은 70 입니다.
빵집 주인이 보석상 주인에게 100 돌려달라고 했을때 보석상의 손해는 -30 입니다. 결국 보석상은 진주70 와 생돈 30을 날렸습니다.
결과적으로 100손해-_-
firewolf
06/12/05 18:58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설명해드리죠.

도둑에게 손해본 돈은 일단 100만원입니다.
가짜 수표 100만원을 받고 (실제가치 0원),
진주 70만원 + 현금 30만원 (실제가치 100만원)을 줌.

100만원을 주고 0원을 받았으니 사기꾼에게 100만원 손해.

그 다음 빵집주인 과의 거래.
가짜수표를 주고 (실제가치 0원), 100만원을 받고, 다시 그 100만원을 돌려줌.

0+100-100. 총 거래금액 +-0원

글쓴 분은 원래있던 70만에 30만원 보태서 빵집주인에게 30만원 손해 하시는데 원래있던 70만원 이건 아무 상관도 없습니다.
LikeWind
06/12/05 18:59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 100만원짜리 수표를받고 가짜수표인지알고 100만원만 거슬러 받았는데 왜 30만원을 이득본거죠? (보석상의 판매돈70만원 과 집에서가져온돈30만원합쳐서 받은건데요) 빵집에게 30만원을 손해본거라고 말한거는 돈의 흐름상 그렇게 된다는겁니다/ 직접적으로는 도둑이 +100의 이득을 보고 / 빵집주인은 돈만바꿔줬으니0 인데 / 보석상이 70만원밖에 없는데 30만원을 만들어줘서 빵집주인에게 주게되었으니/ 간접적으론 도둑이 빵집주인에게 30만원을 주게 만든거지요/ 만약 이날 보석상주인이 30만원의 거스름돈이 있었으면 100만원 손해가 맞습니다
진리탐구자
06/12/05 18:59
수정 아이콘
LikeWind님//
보석상 70만원 보석날렸쬬(네 날렸습니다.)
현금 바꿔온거에서 30만원줬쬬 도둑에게(네 줬습니다.)
도둑은 100만원이익보고 도둑에게 30만원을 줬으니 가지고있는돈은 70만원입니다.(네 현재 시점에서 보석상인은 70만원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에 가지고 있던 돈과 똑같죠? 그러니까 여기까지는 한 푼도 손해 본 것 없습니다.)
근데 빵집주인에게 30만원을 보태서 100만원을 만들어줬습니다.(네 100만원 만들어 줬죠. 그러니까 100만원 손해죠.)
30만원은 집에서 가져온거라고 칩시다(네 어디선가 가지고 왔겠죠.)
도둑에게 30만원과 보석70만원을 주엇으니 100만원손해
원래 있던 70만원 그걸 30만원보태서 빵집주인에게줬으니 빵집주인에게 30만원손해 틀립니까? (근데 왜 보석상인의 재산은 - 30만원이 된 걸까요? 130만원 손해 보려면 문제 시작 전에 재산이 +100만원이었어야 하는데요.)
06/12/05 19:00
수정 아이콘
다시 답글 다시기 전에 한번 직접 해보시라니깐..
이미 혼자 술한잔 걸쳤습니다 -_-;;
가정은 오류가 아닙니다.
수학에서도 가정을 들어서 증명을 하게되고 가정에 모순이 없음을 증명함으로 명제도 증명이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든 가정(빵집 주인이 30만원을 대신준것으로하자)에 모순이 있습니까? 그렇게 되면 보석상주인은 70만원만 빌린것으로 해도 틀린점은 없습니다. (빵집주인이 대신 내준 30만원도 빌린것으로 해도 상관없지만 중간과정을 이해하기 편하시라고 한 가정입니다.)
어차피 도둑에게 준 30만원도 빌린돈 100만원에서 낸겁니다.
그리고 100만원을 채워서 갚게되고 이 때 30만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합니다.(거스름돈은 손해가 아닙니다.)
결국 보석값 70만원에 도합 100만원 손해가 되는것이죠..
감히 낚시냐 아니냐 라는 식으로 매도하고 싶지 않습니다만 자기 생각에 틀린점을 지적받았을때 한번 생각해보고 말씀해주세요.
아니면 제 생각의 틀린점을 구체적으로 이러이러하다고 말씀해주시던가요. 같은 얘기 반복하게 하시네요..

그리고 저 셋사이에서의 일어나는 금전관계는 그 안에서 결국 0이 되어야 합니다.(말하자면 여기 이 계-_-;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에너지는 없습니다.)
0이 되도록 생각해보시면 오류를 발견하실 것이고 그 오류를 설명하기위해 다른 분들의 설명을 찾아보시게 될겁니다..
수달포스
06/12/05 19:01
수정 아이콘
도둑에게 30만원을 주다니요. 도둑이 100만원 준돈 대신 보석 70만원짜리 주고 30만원 거슬러 준것 뿐입니다. 100 받고 100준것뿐(70보석 + 30현금) 이과정에서 손익계산 하면 안되죠. 30을 왜 손해를 봅니까 여기서.

자꾸 다른 분들께서 이부분을 지적하시는데, 생각을 안하시고 자기 의견만 주장하시니.. 정말 낚시가 아닌가 의심이 드네요.
06/12/05 19:02
수정 아이콘
저도 LikeWind님 이해시키는 시도 해봅니다.
천원짜리 열장 준비
열장 보석상인이 가져와서 "3장"(a) 신사에게 주고
빵집주인와서 남은 7장에 "3장"(b) 을 자기가 채워 주었으니
보석상인 손해는 보석70 + (a) 30 + (b) 30 이라고 생각하고 계시죠?
여기서 중요한 것이 (a)를 계산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a)는 빵집주인에게 빌린 돈입니다. 빌린돈을 (b)로써 갚은 것이지요
실제로 이짓을 하려면 천원짜리 13장이 필요한 것을 느끼셨을 텐데요
사실 그래봤자 실제 손해는 보석 70과 나중에 채운 30 (b) 밖에 없습니다.
보석 주인이 지불한 금액을 생각하지 마시고 연극이 끝나고 각자의 +-를 생각해보세요 ^^
창해일성소
06/12/05 19:02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70만원짜리 보석을 70만원으로 치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초기자산
신사 : 0원(위조수표)
보석상 : 70만원(진주)
빵집주인 : 100만원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빌림
신사 : 0원
보석상 : 170만원
빵집주인 : 0원

진주 구매 후
신사 : 100만원(진주 70만원 + 거스름돈 30만원)
보석상 : 70만원(신사에게 100만원치 줌)
빵집주인 : 0원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지불 후
신사 : 100만원(그대로)
보석상 : -30만원(70만원에서 100만원을 빼면? -30만원)
빵집주인 : 100만원(이 사람은 손익계산에 아무 상관없다)

보석상의 초기자산은 70만원, 현재는 -30만원.
고로 손해는? 100만원.
오렌지
06/12/05 19:03
수정 아이콘
★거스름돈은 손해가 아닙니다!거스름돈은 손해가 아닙니다!거스름돈은 손해가 아닙니다!
06/12/05 19:03
수정 아이콘
likeWind님 학교선생님한테 물어보자구요?
저 현직고등학교 수학교사입니다.
수학적으로 볼 것도 없고 100만원 손해 맞습니다...
설명은 워낙 많은 분들이 자세히 달아 주셨으니 따로 말하지 않겠습니다.
이렇게 진지하게 답글다시는거 보니까 일부러 이러시는 것은
아닌 것 같은데요....참..이거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댓글 2개를 합쳤습니다.

굳이 저도 설명을 하자면....
님은 보석주인이 신사한테, 진주70, 현금30, 빵집주인한테 현금30
이래서 130 손해다! 라고 주장하시는데요.. 이렇게 보면 안되고,
거스름돈이 없어서 빌려온 돈(내 돈아님!) 30 신사한테 줬다가
나중에 부도수표인줄 알고 내 돈!!!! 30 이 빵집 주인한테 나간겁니다.
그리고 내!!!! 보석 70 그냥 나갔구요. 그래서 내꺼!!!!는 100 손해죠
FreeComet
06/12/05 19:03
수정 아이콘
10번에 대한 반론입니다.

본문중에 "30만원의 거스름까지 도둑에게 주었고" 이부분을 보석상의 손해라고 계산하는것이 오류입니다. 조금 쉽게 생각하시려면 빵집주인이 사기꾼에게 직접 100만원을 현금으로 바꿔줬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래도 결과는 전혀 바뀌지 않습니다. 현금 100만원이 생긴 사기꾼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보석을 샀으므로 둘 다 아무 손해가 없고, 가짜수표를 받고 100만원을 내준 빵집주인만 손해인거죠. 그런데 빵집주인이 보석상에 손해배상을 요구해서 100만원을 받았으므로 복구되고, 최종적으로는 보석상주인이 100만원손해인것입니다.
06/12/05 19:04
수정 아이콘
리플이 많길래 공부하다가 뭔가 해서 봤다가 순간 헷갈렸는데..
여기서 트릭은 수표의 가치와 제과점 주인에게 받아온 100만원의 가치입니다. 수표의 가치는 0, 하지만 받아온 100만원은 리얼이죠. 그러니까 +100인겁니다. 애시당초에 보석상에게 있던 돈이 아니라, 꿨던 어쨋던 간에 일단은 공돈으로 생긴 이득 100인 것이죠.

거기서 진주 -70, 거스름돈 -30 = -100이죠.
그리고 수중에는 현금 70이 남아있죠.

여기다가 진짜 자기돈 30을 더해서 제과점 주인에게 변상하는 겁니다.
+100이라 생각하시고 생각하셔도 되고, 애초에 없던 것으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거슬러준 돈 30은 100-30 이지 0-30이 아닌 겁니다.^^;
홍성훈
06/12/05 19:04
수정 아이콘
창해일성소 님이 잘 정리해주셨네요...저도 이해되길 빕니다T_T
06/12/05 19:06
수정 아이콘
사실 총 손익이 0이 되어야 한다느니 여러가지 구차하게 얘기할 필요가 없는 문제입니다.
가짜수표 인지전과 인지후가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결국 문제 트릭에 걸린것 밖에 안됩니다. 그걸 인지하고 인지안하고는 금전관계에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문제는 유명대학이든 뭐든 장사조금만 해보신분들..아니 하다못해 손익계산이라도 해본 알바생들은 금방 풀어낼 문제입니다.
한번만....직접 해보세요...제발
테란뷁!
06/12/05 19:07
수정 아이콘
보석상이 진주(70만원)과 현금 30만원을 신사에게 준걸로 100만원 손해로 끝입니다. 신사는 100만원어치 챙긴거고 빵집주인은 줬다가 돌려받았으니 0원이죠.
Peppermint
06/12/05 19:07
수정 아이콘
성지가 될 것만 같은...;;
근데 남들 다 이해되는게 유독 나만 이해안되는 경우도 있죠. 대학 어디 나오고 이런거와는 상관없이요.
회계개념까지 도입해야 되려나?? 아무튼 이해되시길 빕니다.
창해일성소
06/12/05 19:08
수정 아이콘
사실 아주 간단한데...
그렇게 설명하면 이해 못하실까봐 한 단락씩 설명해 드렸습니다 -0-;
이것도 잘 이해가 안가시면...
저는 GG.
firewolf
06/12/05 19:10
수정 아이콘
간단하게 말하면 이건 글쓴분이 문제가 노린 함정에 제대로 걸려든 것이죠.

이 퍼즐은 제가 가지고 있는 퍼즐책에서 '넌센스' 코너란에 있는 문제입니다. (금액이 약간 다를뿐, 똑같습니다.) 산수 계산으로 사람들을 틀리게 하려는 문제가 아니죠.
06/12/05 19:10
수정 아이콘
계산이 어렵다고 쉽게 마음대로 하지 말라니요....
다 설명시킬려고 쉽게 가정을 해서 쓴건데...
아만자
06/12/05 19:14
수정 아이콘
LikeWind// 몇가지 방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다 같은 말이니 잘 읽어보세요~
- 4번까지 보석상의 손익은 0입니다. 그 후에 보석상이 지출한 돈은 빵 집 주인에게 준 100만원 뿐입니다. 손해 100만원이구요. 4번 이전의 돈은 다시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 빵집 주인이 가짜 수표인걸 계속 몰랐다면, 신사는 100만원 이득, 빵집 주인은 100만원 손해, 보석상은 0원이라고 아실 줄로 믿습니다. 그렇게 오랜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런데 10년 후 빵집 주인이 가짜 수표라고 밝혀졌으니 100만원 내놓으라고 합니다. 그렇게 되어 보석상이 100만원을 주면 보석상은 100만원 손해, 빵집 주인은 0원 이렇게 되겠죠? 설마 100만원을 건넨 순간 130만원 손해가 되어버리는 것은 아니겠죠?
- 보석상이 원래 금고에 30만원이 있었는데 손님있는 곳에서 돈 꺼내기가 뭐해서 빵집주인에게 수표를 현찰로 바꿨다고 합시다. 자.. 이 때 도둑은 보석 70+현찰 30 = 100만원 이득, 보석상은 70만원 현찰 + 금고 30만원 보유 - 70만원짜리 보석 즉, 처음과 같은 30만원 보유한 셈이고, 빵집주인은 바꿔준돈 100만원 손해 + 0원짜리 수표 를 갖고 있는 셈이죠. 이 때 빵집 주인이 돈 돌려달라고 요구하면 손익이 없구요, 보석상은 갖고 있는 현찰에 금고에서 30만원 보태서 줬으니 결국, 처음과 달라진게 무엇입니까? 바로 70만원짜리 보석과 금고에 있던 30만원 현찰이 없어진 것이 달라지지 않았습니까? 결국 100만원 손해지요.

이젠 제발 그만하세요 -_-;
LikeWind
06/12/05 19:14
수정 아이콘
자 이렇게 다른분들이 다 100이라고 하는데 저만 130이라고 하는거보면 제가 틀린거 같기도 한데요 ㅡ,.ㅡ.. 아무리 읽어봐도 이해가 될듯될듯하면서 아 ! 100만원맞구나? 근데 이거는? 하면서 다른게 튀어나오네요/ 이머리로 이제껏 뭐하고 살아왔나 하고 한심스러움과 동시에 이머리로 뭐가될려나라는 생각도드네요 -_-.. 근데 정말 이해가 안되는데 어쩌죠 제발 절 이해시켜주세요 ㅠㅠ ~~~ 이거원 술이라도 한잔사드리면서 까지 이해받고싶은심정
06/12/05 19:15
수정 아이콘
자! 이제 LikeWind님을 위해 동영상으로 역할극을 찍어올려야 합니다. LikeWind님도 모두다 100만원이라고 하는데 얼마나 답답하실지;; (그런 경험 누구나 한두번씩 있죠)
06/12/05 19:16
수정 아이콘
끙... 그렇게 마구잡이로 생각하시지 마시고 차분히 한단계 한단계를 생각해 보세요 ㅠㅠ
06/12/05 19:18
수정 아이콘
이해안될때는 누가머라고 해도 안되겠죠.. 뭐 시간을 갖고 천천히 생각해보는 것 밖에는.. --;; 그런데 이 게시물 진짜 성지 될 것 같습...?
LikeWind
06/12/05 19:19
수정 아이콘
후후 이러다 제가 토론으로 추천글 가게되는건 아닌지 // 고등학교 수학교사님 ~ 물어본적은 없고 물어보는게 어떨까요 ~ 라고 말했는데 선생님께서 나타나신거보니 ㅡㅡ;.. 맞는거같은데// 이러다가 저때문에 진짜 동영상 출현할지도
수달포스
06/12/05 19:20
수정 아이콘
역할극 준비물: 100만원 수표 1매, X표시된 100만원수표 1매 , 70만원 수표 1매,30만원수표 2매, 진주목걸이 1개

캠코더 들고 해봅시다. -_-;;
LikeWind
06/12/05 19:20
수정 아이콘
머리는 아니라고하는데 마음은 100만원이다 라고 말하는거같은-_-.. 뭔드라마도아니고..
06/12/05 19:20
수정 아이콘
음..이건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고가 터널효과를 받고 있는 겁니다^^; 잠시 이 문제를 놓았다가 다시 생각해보세요. 한 번 이해가 되시면, 왜 130이라고 주장했을까? 라며 이해를 못하실껍니다^^;;;

원래 보석상에게 100만원이라는 돈은 없던 거잖아요. 그걸 포인트로 다시 생각해보세요^^;
06/12/05 19:20
수정 아이콘
이렇게도 한 번 생각해 보세요
제가 수중에 현금이 있었으면 돈 빌릴 일이 없었겠죠?
그럼 수표 받고 진주와 내 돈 30 줬으면 100만원 손해죠....

그럼 돈이 없어서 빌려서 줬다고 해도 100만원 손해가 되야 맞지 않나요?
06/12/05 19:21
수정 아이콘
workbee님이 말씀하신것처럼 신사한테 준 돈은 내돈!!!!!!이 아닙니다.
빵집아저씨한테 가져온 돈을 갚을때 모자라서 쓴 30만원이 내돈!!!!!!이죠.
그러므로 나는 30만원을 두번이 아니라 한번!!!!!!!!!! 손해봤고,
보석을 손해봤으니 100만원을 손해본겁니다.
거의 2시간동안 이렇게 말씀드려도 이해가 어려우신 것 같네요;
06/12/05 19:22
수정 아이콘
그냥 머리비우고 한숨 푹주무시고 내일 다시 생각해보세요..
특히나 자신만 이렇게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면 그 생각을 버텨낼려고 머리속에서도 어지간히 노력할겁니다..지금 생각하실때 당연시하는 부분이 맹점일 수가 있어요...
다음에 다시 생각해보시면 아실 듯 하네요..
06/12/05 19:25
수정 아이콘
그냥 간단하게 플래쉬로 만들죠-_-;;
06/12/05 19:25
수정 아이콘
그냥 쉽게 도둑한테 거슬러준 돈을 손해본거라고 생각안하시면 되는데;;
보세요. 빵집주인에게 바꾼 100만원은 그냥 손님돈을 보석상이 대신 잔돈으로 바꾸어 준 것일뿐 원래부터 보석상 돈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니까 바꾼 돈으로 도둑은 보석상에게 70만원을 준 것이 된셈이죠. 여기까진 보석상이 손해가 없다가 나중에 위조수표인 걸 알고 빵집주인에게 100만원을 돌려주게 됨으로써 손해는 100만원..
이래도 이해가 안되신다면...ㅠㅠ
06/12/05 19:28
수정 아이콘
설마 이글의 댓글수가 90이 될줄은 몰랐습니다. 대단하네요.
06/12/05 19:29
수정 아이콘
사실 이정도 되면 몰라서 이해를 못하는게 아니라 이해하기가 싫은거죠 무의식적으로... 그러면 내가 틀린게 되는거니까...
자고 일어나서 다시 생각해보면 '내가 왜그랬지?'할 문제인데 말이죠..
리쿵아나
06/12/05 19:29
수정 아이콘
친절한 pgr.
한분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름처럼 몰려는 회원분들
그런데 이 게시물 진짜 성지 될 것 같습...?(2)
06/12/05 19:29
수정 아이콘
한분을 이해시키기 위한 처절한 리플들.. -_-;;
06/12/05 19:30
수정 아이콘
글쓴이분께
이야기 파라독스 책 추천해드립니다.

이런건 문제도 아니죠.
06/12/05 19:31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에는 아래 댓글이 가장 명쾌하고 명확하게 설명한 댓글 같습니다.
----------------------------------------------------------------------------------------------------


창해일성소 (2006-12-05 19:02:37)
간단하게, 70만원짜리 보석을 70만원으로 치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초기자산
신사 : 0원(위조수표)
보석상 : 70만원(진주)
빵집주인 : 100만원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빌림
신사 : 0원
보석상 : 170만원
빵집주인 : 0원

진주 구매 후
신사 : 100만원(진주 70만원 + 거스름돈 30만원)
보석상 : 70만원(신사에게 100만원치 줌)
빵집주인 : 0원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지불 후
신사 : 100만원(그대로)
보석상 : -30만원(70만원에서 100만원을 빼면? -30만원)
빵집주인 : 100만원(이 사람은 손익계산에 아무 상관없다)

보석상의 초기자산은 70만원, 현재는 -30만원.
고로 손해는? 100만원.
창해일성소
06/12/05 19:31
수정 아이콘
2번에서 빵집주인에게 100만원 받고, 7번에서 다시 100만원 주죠.
그 말은 빵집주인은 결국 손익과 전혀 관계없다는 소리가 되겠죠.
빵집주인을 빼고 생각해 보세요(보석상이 잔돈이 있었다는 전제하에)

신사는 보석상에게 위조수표(0원)를 주고 진주(70만원)와 거스름돈(30만원)을 받아갔습니다. 총 100만원.
보석상은 신사에게 진주(70만원)와 거스름돈(30만원)을 주고 위조수표(0원)을 받았습니다. -100만원.
06/12/05 19:33
수정 아이콘
글쓴분의 지금 상황은 뭔가 주관이 객관을 구축해버린듯한 상황인데요^^;
06/12/05 19:36
수정 아이콘
도둑은 보석상한테서 70만짜리 보석을,
빵집아저씨한테서 30만원을 가져갔습니다.

결과적으로 빵집아저씨의 30만원의 손실은 보석상이 자기돈으로 메꿔줬구요. 도둑이 거스름받은 30만원은 절대!! 보석상한테서 나온돈이 아닙니다. 빵집아저씨한테서 나온거죠.

이렇게 도둑은 100만원 이득보고 보석상은 보석1개와 빵집아저씨한테 값아야 하는 돈 30만원 해서 100만원을 손해보고 빵집아저씨는 도둑한테 30만원을 빼앗겼다가 보석상한테 30만원을 받아서 손해본게 없어진 겁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06/12/05 19:37
수정 아이콘
이런분들은 대게 자세히 설명을 해줘도 이해를 못한다죠...자기 주장이 워낙에 강해서..... 다들 왜케 어렵게 생각하는지..참....
도둑이 얼마 손익이 있죠? 100만원 이득이죠?
빵집은? +-100이니 그사람은 손익이 없죠?
그럼 남은 사람은 보석상...도둑의 100만원 이득이 어디서 났겠습니까..
보석상은 100만원 손해.... 이렇게 간단한걸...
빌리고 이런거 다 따질필요 없어요
LikeWind
06/12/05 19:40
수정 아이콘
다들 수고하셨습니다 / 어느정도 이해하는데 도움을 많이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아까 채팅까지하신분들 수고하셨습니다.
라캄파넬라
06/12/05 19:40
수정 아이콘
4번까지의 과정에 위조수표인지 몰랐을때
사기꾼 100만원 이익(보석70만+제과점주인돈 30만원)
보석상은 제과점집 돈 70만원을 가지고 있습니다.(가지고 있는 돈 70만원-손해본 진주70만원=손익 없음)
제과점 주인은 돈을 빌려주고 위조수표(0원)를 가지고 있으니 100만원 손해 입니다. (보석상한테 그 30만원이 있는 것이죠)

위조수표인지 알았을때
제과점집 100만원 다 받습니다. 손해 없음
보석상 가지고 있는 돈 70만원과 30만원을 언저줘서- 100만원 손해

부연설명 70만원 가지고 있을때가 손익이 없고 거기다가 30만원까지 제과점 주인에게 총 100만원을 줬으니 손해가 100이 되는 것이죠.

쓰고보니 1분 차이로 헛짓이 되 버렸네요 -_-;;
가시다
06/12/05 19:42
수정 아이콘
ty 님 말씀이 정확하네요..
사기꾼에게 거슬러준 30만원은 빵집주인에게 받은 돈이죠.
창해일성소
06/12/05 19:43
수정 아이콘
100플이 넘어갔군요 결국 -0-;
탈로아둔
06/12/05 19:46
수정 아이콘
이곳은 이제 성지군요..
될대로되라
06/12/05 19:47
수정 아이콘
대학 다닐 때 동기녀석에게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라는 명제와 "계절은 태양-지구의 거리보다 공전에 의한 태양광입사각의 변화에 의해 생긴다"명제를 설명할 때와 비슷한 상황이군요. 결국 실패했습니다. 엔트로피는 감소하는 것이 맞고(결국 교재가 틀렸고), 북반구가 겨울일 때 남반부가 여름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는 자신의 거리이론을 끝끝내 고집하더군요. 자기 이론을 증명해서 자기 이름 붙일거라고 상당히 고무된채로 말이니다.
likewind님이 일단 이익의 총합과 손해의 총합이 제로섬이라는 전제에 동의하셔야 문제가 해결됩니다.
먹고살기힘들
06/12/05 19:50
수정 아이콘
글 밑에 적힌 PS는 개그겠죠?
분명 보석상이 손해본건 100만원인데...
06/12/05 19:51
수정 아이콘
이곳은 이제 성지군요.. (2)
이디어트
06/12/05 20:01
수정 아이콘
직접해도..100만원 손해일건데..
06/12/05 20:07
수정 아이콘
이곳은 이제 성지군요..(3)
쩝 열역학 제1법칙 제2법칙이 다 나오는군요...
화학도인 저로서는 즐거울 뿐... (????)
율리우스 카이
06/12/05 20:11
수정 아이콘
첨에는 LikeWind님이 사람들가지고 장난하는줄알고 화났었는데, 읽다보니까 그게 아니군요.. LikeWind님, 살다보면 갑자기 자기도 모르게 이상할때가 있어요. ^^;; (저도 예를들어 리모컨을 냉장고에 넣는다거나, 안경쓰고 안경찾는다거나.. 음, 또 9시간 시간 느린 지역이 18시간 시간빠른 지역보다 시차적응이 쉽다고 생각한다거나 하는 것들요 ^^;;)
06/12/05 21:04
수정 아이콘
이곳은 이제 성지군요..(4)
저도 리플 보기전엔 아리송;;;했습니다..
정건희
06/12/05 21:14
수정 아이콘
엄청쉽게 생각하면
위조수표 받고 잔돈이 없어서 100만원을 빌렸죠?
근데 그걸 그돈을 그대로 냅두고 자기돈에서 30만 채워서 진주랑 같이 줬다고 생각하면 쉽네요. 그다음 다시 자기가 빌렸던 100만을 갔다 주고.

이렇게 생각하면 뭐 해깔릴것도 없겠네요.
06/12/05 21:17
수정 아이콘
likewind님,,
크크크 10번 잘못쓰신것 같습니다.
크크크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파이팅..!!
06/12/05 22:09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청춘예찬
06/12/05 22:28
수정 아이콘
성지 순례왔습니다.
살다보면 이해하실 날이 오겠죠.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체게바라형님
06/12/05 23:11
수정 아이콘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럴 수 있고 말구요. 이렇게 토론제기라도 하시고 이해가 안될때는 이해가 안된다고 솔직히 말하며 자기주장을 펴시는게 바람직한겁니다. LikeWind님 화이팅입니다!^^
즐거운하루
06/12/05 23:54
수정 아이콘
저도 당연해 보이는 게 이해가 안 되어서 고생할 때가 많아요. 특히 이런 류의 돈 계산이 한번 헷갈리면, 다음에 제대로 생각해도 그 때 헷갈렸던 게 뭐 때문이지? 하면서 다시 한번 헷갈리기도 해서 골치가 아프죠.
LikeWind
06/12/06 00:31
수정 아이콘
으흐흐('' 저는 나름대로 다른분들 말을 잘듣고 했는데도 130만원이 나온게 틀에 박혀서 계산이 된거같네요. 나름잘들어보고 그대로 이행했는데도-_-.. 바보처럼 이제는 저도 100만원이 나오네요 ('' 답변달아주신분들 모두감사하고 즐거운하루되세요 ~ 아시아겜하시는분들 한번씩 귓주세요 겜해요 으흐흐~
풀업프로브@_@
06/12/06 07:01
수정 아이콘
마무리 차원에서 제가 가능한한 가장 간단하게 정리해 볼께요.

보석상은 제과점에서 동전 2개를 빌려서 이 중에 1개를 신사에게 멋대로 주었고,
덕분에 제과점에 동전 2개를 돌려줘야 할 때는 자기 동전 1개를 넣어줘야 합니다.
LikeWind님은 이 때 보석상의 손해가 동전 2개라고 말하신 것과 같습니다.
예상되는 손해(원인)와 실제 손해(결과)를 중복해서 더하신 거죠.

보석상이 신사에게 동전 1개를 속아서 주는 시점에서 보석상의 손해는 없습니다.
그 동전 1개는 제과점의 것이므로 오히려 제과점의 동전 1개 손해입니다.
다만 나중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보석상의 동전 1개 덤태기가 예상될 뿐....

이 이야기의 핵심은
'신사에게 30만원 뜯기고, 제과점에게 30만원 또 뜯겼다' 가 아니라
'신사에게 속아서 제과점 돈 30만원을 건네주는 바람에 제과점에 내 돈 30만원 뜯겼다' 인거죠.

깔끔하게 정리하시는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06/12/06 12:14
수정 아이콘
수고하셨습니다. 어려운 미션이였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92569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33853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6494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24370
502169 [게임] 던파 모바일 중국섭 6월 매출 [3] 굿럭감사1111 24/07/01 1111
502168 [유머] 아재력 테스트 [10] 무딜링호흡머신1143 24/07/01 1143
502167 [유머] 아이 발에 생긴 수상한 검은 반점이 걱정된 사람 lemma2486 24/07/01 2486
502166 [서브컬쳐] 30여년 전에 일반적인 것보다 제로가 더 좋음을 예견한 작품 [4] 된장까스2349 24/07/01 2349
502165 [유머] 어제자 슈카월드에서 나온 드립 수준 [7] Myoi Mina 4240 24/07/01 4240
502164 [기타] 좋아쓰 고양이 근황 [5] Lord Be Goja2858 24/06/30 2858
502163 [음식] 곧 나올 제로 아이스크림.jpg [31] Pika484009 24/06/30 4009
502162 [기타] [밀덕계층] 미군의 놀라운 철통기밀 [6] Lord Be Goja2301 24/06/30 2301
502161 [스타1] 김지성 상대로 21연승중인 장윤철 [8] Pika482124 24/06/30 2124
502160 [기타] 여름에만 맘 편히 할 수 있는 것 [23] 묻고 더블로 가!5232 24/06/30 5232
502159 [방송] 러시아 여성분이 한국에 와서 좋다고 느낀 점 [28] 무딜링호흡머신6867 24/06/30 6867
502158 [기타] 21년간 1억엔을 모은 일본인 [30] 껌정7840 24/06/30 7840
502156 [유머] 야드파운드법의 매력 [23] ELESIS4945 24/06/30 4945
502155 [유머] 지금 이 상황이 너무나 이상하다는 르노 직원.blind [77] 궤변10093 24/06/30 10093
502154 [음식] 현실적인 자취남의 주말 늦은 점심상 [32] pecotek5263 24/06/30 5263
502153 [기타] 참 찝찝한 상황 [17] lasd2416375 24/06/30 6375
502152 [유머] 수십 수백 명이 죽어가며 끝내 완성하는 클리셰 [31] 길갈6801 24/06/30 6801
502150 [유머] 프랑스 환경부 의원이름이 유머 [21] Croove7995 24/06/30 7995
502149 [게임] 7월의 핵심 신작들 [28] 묻고 더블로 가!6278 24/06/30 62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