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2/06 15:16
김광현 연봉 81억, 한유섬 24억, 문승원 16억, 박종훈 18억, 추신수 27억 (...) 등 연봉을 저 해에 모조리 몰아넣었습니다. 추신수야 그렇다 치더라도 다른 선수들은 다년계약이였기 때문에 셀캡 전에 몰아넣었죠.
+ 25/02/06 15:50
상한선이 필요한 이유와 동일하죠.
상한을 둔 이유는 한 팀이 많은 돈으로 전력불균형을 만드는 것을 막고자 하는 것인데, 반대로 한 팀이 적은 돈으로 전력불균형을 만드는 것도 막아야 하니까요.
+ 25/02/06 15:59
키움이 3년 연속 연봉 최하위지만 22년은 준우승했고 23 24년은 최하위 했지만 전력불균형이 심한 정도는 아니라.. 샐캡 하한선 이야기가 나올 이유가 없는것 같아서요.
+ 25/02/06 16:23
똑같은 논리로 샐캡 상한선 넘었다고 우승 다 하는 거 아니고 전력 불균형도 심하지 않아서 상한선 이야기가 나올 필요가 없죠.
사실 샐캡은 구단이 돈 더 쓰기 싫다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명분이 전력 불균형이면 상한선 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하한선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25/02/06 16:38
그래서 저는 샐캡이 굳이 있어야 하나 싶긴한데 구단들이 원하는거니…
크보의 샐캡은 타 리그의 샐캡제도 보다는 크보의 용병연봉 상한선제도와 비슷하다고 생각되고, 전력 불균형이라는 명분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 25/02/06 16:44
키움이 투자에 비해 성적이 좋아서 덜 티나는 거긴 하지만, 사실 탱킹 제도에 대한 지적은 국내나 해외나 매번 끊임없이 나오긴 했었습니다.
존버하는 기간동안 팀성적은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세금이 아닌 팬들의 소비로 유지되는 구단의 입장에서 "꼬우면 보지 말던가" 로 일관할 수는 없는 문제죠. 포스트시즌 진출 좌절됐다고 이렇게 된거 꼴지해서 드래프트 순위나 먹자면서 고의패배를 할 수 없듯이요. 탱킹하는건 자유인데 팬들을 위한 최소한의 예의는 지키자는거죠.
+ 25/02/06 15:54
샐러리캡 취지에 대해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툭까고 말해서 상한선이 구단주들 돈 아끼려고 만든 것이 가장 본질에 가깝다고 본다면 하한선은 대놓고 투자 덜하면서 팬들 속 터지는거 덜 보려고 만드는 것에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 25/02/06 15:44
샐러리캡 상한선이 120%이니까 하한선도 80%로 해야죠.
21-22 평균금액이 95.2억이고 상한이 120%인 114.2억이니까 80%는 76.1억입니다. 키움 빼면 모두다 충족시키네요.
+ 25/02/06 16:03
차라리 연봉 1위 팀과 최하위 팀을 제외하고 8개 팀의 평균으로 샐러리캡을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요.
굳이 하한선이 필요해보이지는 않습니다.
+ 25/02/06 16:24
기준을 정하는 거야 알아서 정하면 된다고 봅니다.
다만 상한의 기준이 있다면 반대의 하한의 기준도 똑같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상한이 20%면 하한도 20%, 상한이 50%면 하한도 50% 이런 식으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