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8/23 02:52:14
Name 포졸작곡가
Subject 악보 지옥.......ㅠㅠ (수정됨)
음악이란게 그렇지만 클래식 음악은 악보에서 시작해서 악보 해석으로 끝나는 분야이죠~
어쨌든 기라성 같은 선배님들의 작품들도 콩나물 끄적인 종이로 남아오니깐요....

악보의 역사를 하려니...
제가 아는 게 별로 없어서~크크
(음악사 분야인데 이런 건 시험 치고 까먹어주는 게 국룰입니다...!!)

악보는 작곡가가 작품을 남기는 방식이고
연주자와 소통하는 유일한 수단이죠~

그런데 곡을 발표하기까지는 콩나물 몇 개 그렸다고 무대에 올라갈 수 있는게 아니라는겁니다~~ㅜㅜ

////

포졸씨는 어느날 모 오케스트라와 계약하고 오케스트라곡을 모월 모일까지 보내기로 합니다.
그럼 그 오케스트라단은 모월 모일에 2가지 종류의 악보를 받게 됩니다...

바로,,

1.총보
2.파트보

총보는 말 그대로 지휘자가 보는 악보로써
모든 악기의 진행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든 악보입니다.
대충 요렇게 생겨먹었습니다...

Beethoven_Autograph.png

앗, 죄송합니다.
알아보질 못하겠군요~

0_full.jpg?v=1591278765000

이렇습니다...
여러개의 5선표가 쌓여있는 저걸 보고 모음보표라고 합니다.
사실 2개만 쌓여 있어도 모음보표라고 하죠~

베토벤 교향곡 5번은 12개의 5선표가 쌓여 있군요~

각 5선표 앞에는 악기 이름이 쓰여 있고,,
그 악기들이 어떻게 그려져 있는지를 보고 지휘자가 판단해서 지휘합니다..

물론 악기가 등장하는 순서는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일정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플룻-오보에-클라리넷-바순- 호른 -트럼펫- 팀파니 -바이올린1-바이올린2-비올라-첼로-더블베이스.

보통 4개의 그룹으로 묶이며 그 순서는 목관악기-금관악기-타악기-현악기 순입니다.

물론 처음에 봤던 베토벤의 원본은 그 순서가 다릅니다~^^
소프라노에 해당되는 악기 한 그룹 모으고, 앨토에 해당되는 악기 한 그룹...
테너에 해당되는 악기 한 그룹, 베이스에 해당되는 악기 한 그룹.....

지금은 악기가 발달하고 오케스트라에 추가된 악기들이 많아서 그렇게 못 합니다~^^

어쨌든 이건 지휘자가 보는 악보구요~

지휘자 밑에서 사시가 된 연주자들이 보는 악보는 다릅니다..
(한쪽 눈으로 악보 보고, 한쪽 눈으로 지휘자를 봄... 고인물일수록 사시임...!)

그게 바로 파트보죠~

maxresdefault.jpg

이건 바이올린 1의 파트보구요~
유난히 작은 음표로 되어 있는 악보는 큐노트라고 해서
쉬는 동안 남들이 뭐 연주하는지 보여줍니다...
넋 놓고 있지 말라는 작곡가의 배려이지요~


20039118_cover-large_file.png?sw=900&sh=1200&sm=fit

이건 호른 1의 파트보입니다...
큐노트 따윈 없는 파트보이죠~크크
암튼 12 밑줄 쫙~ 이렇게 되어 있으면 
"알아서 12마디 쉬고 니 타이밍에 잘 들어와라~
0.01초 라도 절었다간 내 호통을 듣게 될 거이야~!!!!"
이런 의미입니다....

긴장의 끈을 잡고 있어야 합니다....


이런 파트보를 악기별로 다 만들어주는 것 까지 작곡가의 의무입니다...
12개 파트면 12개, 16개 파트면 16개~~~

그렇지만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컴터 없던 시절엔 저거 다 손으로 그리고 앉아 있었습니다..)

컴터가 어느 정도 프로그래밍 돌려서 해줍니다...
물론 파트보를 위한 레이아웃은 다시 작업해야하죠~~
(물론 이것도 시간 꽤 잡아 먹습니다... 작편곡 시간 만큼은 아니지만요~)

/////

포졸씨는 음악적 능력을 인정 받아 모 오페라단과 계약을 하고 모월 모일까지 악보를 넘겨야합니다.
그럼 그 오페라단은 모월 모일에  3가지 종류의 악보를 받게 됩니다..

1. 피아노 반주보
2. 총보
3. 파트보

총보와 파트보는 위에서 설명 드렸고,
피아노 반주보가 추가 되었습니다...

대충 이렇게 생겨먹었습니다.

%EB%B2%A0%EB%A5%B4%EB%94%94,_%EB%9D%BC_%ED%8A%B8%EB%9D%BC%EB%B9%84%EC%95%84%ED%83%80_%EC%B6%95%EB%B0%B0%EC%9D%98_%EB%85%B8%EB%9E%98(Brindisi)_%EC%95%85%EB%B3%B4-1.png?type=w800
말하자면 피아노 반주에 노래 악보입니다~
왜 이걸 쓰냐구요?
총보가 무겁거든요~
사이즈도 큰 데다가 페이지 수도 5배는 더 많은....
성악가들 연습할 때마다 오케스트라가 다 따라와서 반주해 줄 건 아니잖아요~
그리고 피아노 반주자는 오케스트라 부분인 16단 악보를
즉흥으로 압축해서 반주해야하는데 그 정도 실력자가.....덜덜덜

63fbf3c9c0a783b7391b41b5aa2a8b19_1024x.png?v=1704815636
암튼 이런 악보를 위의 피아노 악보로 줄여 놓고 성악가들 연습하는 겁니다....

보통의 오페라단은 먼저 피아노 반주보를 받습니다...
성악가들 연습이 먼저라서요~
오케스트라 악보(총보+파트보)는 그래도 조금 여유가 있습니다...

오페라의 피아노 반주보는 보통 200페이지가 넘으니..
오케스트라 총보는 1000페이지를 훌쩍 넘습니다...
물론 파트보는 따로죠~

괜히 악보 지옥이 아니라능.....ㅠㅠ

아 물론 컴터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다 사람 손으로 필사해서 발표했습니다~덜덜덜
작곡가가 일일이 다 하지는 않고 파트보 정도는 문하생들 갈아 넣었죠~~~

작곡가가 마감에 쫒기면 첫번째 베토벤의 악보처럼 휘갈김이 심해지는거구요~
저런 악보를 보고 대학원생들(아 아니구나~) 문하생들이 파트보를 쓰고 앉아 있습니다...
바이올린 1 파트는 12명 정도 앉으니 12장을 복사.....가 아니고 그려야합니다..
아, 희소식~~ 현악기 파트는 2명이서 1악보를 보니깐 6장만 같은 거 그리면 되겠네요~

나머지 관악, 타악 파트는 알짤 없이 1인 1악보이므로 다 그려줍니다....

지금은 컴퓨터가 대부분 해줍니다.... 휴 다행....
하지만 레이아웃은 새로 해줘야하죠~
아티큘레이션, 다이나믹 표시 위치가 이상하면 조정해줘야합니다....
에이 그래도 다 손으로 그리고 앉아있는 것 보단 낫습니다..

오페라를 쓴다고 치면 더 헬이죠~
오케스트라로 곡을 완성하면 피아노 편곡을 해야하구요~(성악가들이 봐야해서~)
피아노로 곡을 완성하면 오케스트라 편곡을 해야하죠~(오케스트라가 봐야해서~)

협주곡도 마찬가지입니다..
협주자를 위한 피아노 반주보를 만들어줘야합니다....ㅠㅠ
(얘네도 총보 가지고 연습하는 거 아니에요.....ㅠㅠ)

///

소원이 있다면
제가 총보를 만들면 악보 AI가 파트보와 피아노 편곡 악보까지 깔끔하게 뽑아내 줬으면........

///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배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25-07-29 08:4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3 03:0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작은 연주를 위해서도 악보를 작곡가들에게 사더군요. 왜 익숙한 음악인데도 악보를 또 사냐고 하니까 상황에 따라 편곡이 되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 악보 가격이 또 작지가 않더군요.
포졸작곡가
24/08/23 03:05
수정 아이콘
그 덕에 제가 먹고 사는거라...^^
24/08/23 04:37
수정 아이콘
넵. 어지간한 연주들은 그렇게 악보 사고, 연주홀 대관하고, 반주자 돈 주고 나면 입장료 약간 받아도 나가는 돈이 훨씬 크더군요. 결국 클래식은 정부나 단체의 지원 없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구조긴 하더군요.
고등어자반
24/08/23 09:03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 지금 추세라면 AI가 총보에서 파트보로 바꿔주는 작업 정도는 머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아마도).
24/08/23 09:57
수정 아이콘
뻘생각인데 악보를 암호로 써도 좋을거 같습니다.
24/08/23 10:42
수정 아이콘
직업상 악보를 가끔씩 다루게 되는데 보통 오케스트라 악보를 사면 총보 하나에 파트보 20개~30개. 일반적으로 지휘자 선생님들은 총보만 빌리다 보니
나머지 20~30개는 그냥 노는 악보가 되는 경우가 많은... 연주자 선생님들은 또 자기 파트보랑 총보만 빌려가고...
그리고 같은 곡의 악보라도 카덴차가 어떠냐에 따라 또 악보가 바뀌더군요.
기적의양
24/08/23 10:59
수정 아이콘
현악기는 덜한데 관악타악은 정말 마디수 세는게 합주의 가장 큰 과업이에열
이거 스마트악보에서 해결해주면 참 좋을 듯열
안군시대
24/08/23 12:32
수정 아이콘
AI가 발전하더라도 대중적 수요가 많은 분야부터 발전해 갈 거라서... 좀더 고생하십쇼. 크크크..
그나마 악보 그려주는 프로그램들이 예전에 비해선 기능도 많아지고 쓰기도 편해진 편이긴 하죠. 미디로 미리 들어볼 수도 있고..
포졸작곡가
24/08/23 12:50
수정 아이콘
으악~ 안돼~ㅠㅠ
24/08/23 15:05
수정 아이콘
어제 쉬운 칼림바 숫자 악보를 한 소절도 못 외워서 다시 외우다 꺼억꺼억 쪼그리고 앉아 웁니다.
저런 복잡한 악보를 볼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십니다.
24/08/23 20:03
수정 아이콘
오 이 분야도 독해력이 중요한거 같아서 흥미롭습니다 크크
24/08/24 01:28
수정 아이콘
대부분 작곡가들이 피아노로 스케치하고 오케스트레이션 했다고 하던데 가사랑 음악 외워야하는 성악가들이 제일 먼저 연습에 들어갈테니 피아노 악보부터 출판하는게 제일 낫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40 [예능] 흑백요리사 감상문(스포 있음) [15] 라울리스타15513 24/10/14 15513
3939 『채식주의자』 - 물결에 올라타서 [18] meson14422 24/10/12 14422
3938 못생긴 흙수저로 태어나 천하를 제패하다 [29] 식별14849 24/10/07 14849
3937 [풀스포] 살아서 고짐고를 두번 당하다니 : 조커 2 폴리 아 되 [9] Farce14541 24/10/06 14541
3936 제가 태어났을 때부터 장애를 갖고 살아온 인생을 써봤습니다. [5] dhkzkfkskdl14773 24/10/03 14773
3935 오타니도 쓰레기 줍는데 내가 뭐라고 [99] 항정살18330 24/09/29 18330
3934 단편 여행기 - 몽골의 별 [14] 중성화16745 24/09/29 16745
3933 혐오 문학의 정수 [5] 식별17303 24/09/28 17303
3932 [역사] 유럽과 중국의 역사적 평행관계와 분기(divergence)에 대한 고찰 [22] meson16628 24/09/28 16628
3931 사람이 사람을 먹은 역사를 알아보자: 조상들의 식인 [4] 식별19758 24/10/03 19758
3930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의 순례길 [11] 식별21631 24/09/27 21631
3929 (삼국지) 조예, 대를 이어 아내를 죽인 황제(1) [18] 글곰21236 24/09/22 21236
3928 퇴사 후 세계여행 - [1] 카자흐스탄 [12] 중성화20556 24/09/22 20556
3927 로마제국의 멸망사 [22] Neuromancer22007 24/09/20 22007
3926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 [13] 항정살20336 24/09/17 20336
3925 취업이 끝이 아니구나 [43] 푸끆이16855 24/09/12 16855
3924 [역사] 천 원짜리가 다 씹어먹던 카메라의 역사 [15] Fig.115947 24/09/10 15947
3923 내 인생을 강탈당하고 있습니다. [107] 카즈하16676 24/09/09 16676
3922 산타할아버지가 없어? [30] Timeless15318 24/09/09 15318
3921 땡볕에서 KISS OF LIFE 'Sticky'를 촬영해 봤습니다. ㅠㅠ [1] 메존일각14493 24/09/07 14493
3920 [잡담] 똥꼬는 얼마나 소중한가.. [27] 언뜻 유재석17226 24/08/15 17226
3919 칸예 웨스트, 언니네 이발관, 프랭크 오션 잡담. [6] aDayInTheLife16456 24/08/26 16456
3918 악보 지옥.......ㅠㅠ [12] 포졸작곡가16388 24/08/23 163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