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11/05 16:09:11
Name whoknows
File #1 KakaoTalk_20221105_160658387.jpg (38.1 KB), Download : 11117
File #2 KakaoTalk_20221105_160501383.jpg (320.8 KB), Download : 11091
Subject 야 너도 뛸 수 있어





안녕하세요, 런생아입니다.
(이 바닥에선 런린이 되기도 엄청나게 어렵더군요. 고인물의 세계란...)
달리기를 해보고 싶은데 시작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을 듯 해서 경험담 한 번 적어봅니다.

40 넘게 운동의 운자와도 거리가 멀었고, bmi는 25가 넘어버렸더군요.
국가공인 돼지가 된 것이죠.
거기에 저는 태생적으로 뇌성마비 장애도 있고,
6년 전엔 갑상선암으로 양쪽 갑상선을 다 떼어낸 전력도 있습니다.
100m 달리기는 고딩때도 16초가 넘었고,
오래달리기는 초등학교 5학년때 400미터 뛰고 목에서 쇠 맛이 난 이후로는
시도해본 적도 없습니다.
반에서 달리기 젤 못 하는 학생이 저였어요.
그야말로 최악의 조건은 다 가지고 있는 셈이죠.

그러던 어느날 런데이 어플을 보고, 8월 중순부터 매 주 3~4회 정도 달리기 시작했습니다.
누구나 30분을 연달아 달릴수 있다고 하길래
니가 틀렸단걸 증명해주고 싶기도 했고, 또 한편으론 나같은 운동고자도 뛸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고요.

처음엔 1분뛰고 3분 걷고, 그담엔 1분30초 뛰고 2분 걷는 식으로 점점 뛰는 시간이 늘어나더군요.
처음 3분 뛴 날은 그것도 힘들어서, 30분을 어떻게 뛸까 하는 걱정도 들었는데
의외로 천천히 느리게 뛰다보니 10월말쯤 30분을 연달아 뛸 수 있게 되었습니다. ㅠㅠ
(첨부된 그림은 처음 달리던 날과, 10월말을 비교한 내용이에요.)
운동에서 처음 성과란걸 냈다는 것 만으로 감격스러웠고, 눈물도 한 방울 난 것 같습니다. 크크
요즘은 어제 5km는 33분대로 들어왔고, 느리게 조깅하면 45분 계속 뛸 수 있습니다.
2월쯤 65분안에 10km 달려보는게 목표에요.

신발사고 옷 사느라 백만원 넘게 쓴 것 같긴 한데...
다 건강하게 살자고 하는 짓 아니겠습니까.

성과로는 살도 한 4~5kg 빠졌고, 얼굴 표정이 좋아졌다는 이야기를 회사에서 자주 듣네요.
아침에도 좀 덜 피곤하고요. 전반적으로 삶의 질이 좋아졌습니다.
달리기는 참 싫은데, 좋기도 한 양가적 감정을 저에게 던져줬어요.

남이 아닌 자신과의 비교를 통해 발전을 꾀하는 삶을 도모하는 쪽으로
정신적으로도 건강해져 가는 것도 커다란 수확이에요.

이런 저도 할 수 있다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현대인이라면 달릴 수 있지 않을까요.
모두 적당한 운동을 찾아서 지금보다 건강하게 지내보아요.

* 손금불산입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6-11 10:3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05 16:15
수정 아이콘
기록도 줄고 거리도 늘어서 젤 재밌을 때 안 다치도록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뭔가 불편하거나 아프다, 뭔가 평소랑 다르다 싶으면 바로 며칠 쉬면서 무리 안하는게 결국엔 연간 거리는 가장 긴 법이거든요.
하종화
22/11/05 16:17
수정 아이콘
가볍게 달리다가 무릎에 무리가 가는 느낌을 받아서 뛸 엄두를 못내고있는데 다시 뛰어볼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글이군요.
잘 읽었습니다.
22/11/05 16:44
수정 아이콘
멋지네요
저도 도전해보겠습니다 화이팅
22/11/05 16:50
수정 아이콘
저는 무릎과 발목이 좋지 않아서 달리기를 자주 못합니다. 그래서 달리기와 다른 걸 섞죠.
whoknows님도 달리기 하루, 팔굽혀펴기 하루, 달리기 하루, 윗몸일으키기 하루, 줄넘기 하루처럼 섞어보세요. 더 좋습니다.
여명팔공팔
22/11/05 17:01
수정 아이콘
대단하십니다! 저도 8월쯤부터 달리고 싶어서 달리기를 좀 했었는데.. 이틀밖에 안했는데 무리를 한건지 무릎이 나가서 돌아오질 않네요 ㅠㅠ

달리실분들은 모두 건강챙기면서 하세요~!
탑클라우드
22/11/05 17:09
수정 아이콘
저도 한창 살찌고 여기저기 문제 생겼을 때 달리기를 시작했었는데, 단기간 내 삶이 통째로 바뀌었죠. (좋은 의미로)

다만, 제 경우 사전 지식이 너무 부족해서 그냥 냅다 뛰기만 했던지라 무릎이 상하고 있었다는 걸 너무 늦게 깨달았었어요.
부디 무릎 조심하시면서 즐런 하시길.

저는 이후 자전거와 웨이트로 갔다가 베트남 오면서 자전거 팔고,
요즘은 가벼운 웨이트와 골프로 운동을 하는데,
일단 운동을 하면 확실히 컨디션 조절하기 용이해서 멈출 수가 없네요.
22/11/07 14:03
수정 아이콘
멋지시네요 너무 무리는 하지 마시고 건강하세요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
22/11/07 16:17
수정 아이콘
멋지십니다
제랄드
22/11/08 17:00
수정 아이콘
100m 달리기는 고딩때도 16초가 넘었고, 오래달리기는 초등학교 5학년때 400미터 뛰고 목에서 쇠 맛이 난 이후로는 시도해본 적도 없습니다.

... 난데? ㅡ,.ㅡ

보통 이런 글 보면 '안 될 거야 난...' 식으로 넘겨보기 마련인데, 글을 정갈하게 잘 쓰셔서 그런지 위의 공감가는 문장 때문인지 모르겠으나 없던 투지가 생기네요. 좁은 집이지만 구석에 바이크 운동기구가 있는데 그거라도 해 보려 합니다.

... 안 될 거야 난...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619 세계 인구 80억 육박 소식을 듣고 [6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11 22/11/14 1011
3618 [테크 히스토리] K(imchi)-냉장고와 아파트의 상관관계 / 냉장고의 역사 [9] Fig.1675 22/11/08 675
3617 [LOL]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25] 어빈702 22/11/06 702
3616 [LOL] 좌절감이 사나이를 키우는 것이다 [39] 마스터충달683 22/11/06 683
3615 [바둑] 왜 바둑은 남자기사가 여자기사보다 더 강한가? [154] 물맛이좋아요768 22/11/05 768
3614 사진다수) 1년간 만든 프라모델들 [27] 한국화약주식회사12923 22/11/05 12923
3613 야 너도 뛸 수 있어 [9] whoknows12295 22/11/05 12295
3612 [바둑] 최정 9단의 이번 삼성화재배 4강 진출이 여류기사 최고 업적인 이유 [104] 물맛이좋아요12650 22/11/04 12650
3611 이태원 참사를 조망하며: 우리 사회에서 공론장은 가능한가 [53] meson11906 22/11/02 11906
3610 글 쓰는 걸로 먹고살고 있지만, 글 좀 잘 쓰고 싶다 [33] Fig.111869 22/11/02 11869
3609 따거와 실수 [38] 이러다가는다죽어12832 22/11/02 12832
3608 안전에는 비용이 들고, 우리는 납부해야 합니다 [104] 상록일기12999 22/10/30 12999
3607 술 이야기 - 럼 [30] 얼우고싶다11988 22/10/27 11988
3606 [테크히스토리]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무빙워크 셋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은? [16] Fig.111808 22/10/19 11808
3605 어서오세요 , 마계인천에 . (인천여행 - 인트로) [116] 아스라이12050 22/10/21 12050
3604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조금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59] 김은동12960 22/10/21 12960
3603 술 이야기 - 위스키 어쩌면 1편? [80] 얼우고싶다12207 22/10/18 12207
3602 [과학] 2022 니콘 작은세계 사진전 수상작 소개 Nikon Small World Competition [17] AraTa_PEACE11859 22/10/17 11859
3601 40대 유부남의 3개월 육아휴직 후기 (약 스압) [28] 천연딸기쨈12047 22/10/12 12047
3600 [테크히스토리] 너의 마음을 Unlock / 자물쇠의 역사 [10] Fig.111497 22/10/05 11497
3599 [역사] 고등고시 행정과(1950~1962) 역대 합격자 일람 [20] comet2112980 22/10/10 12980
3598 [역사] 한민족은 어디에서 왔는가 [40] meson12872 22/10/03 12872
3597 내가 너를 칼로 찌르지 않는 것은 [24] 노익장13067 22/09/28 130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