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1/08/05 15:41:01
Name 계층방정
Subject 預(맡길 예)는 일본제 한자다. 예언은 '맡기다'와는 무관했다. (수정됨)
豫(미리 예)와 預(맡길 예)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뜻이 있는 한자입니다. 豫는 '미리, 사전에'라는 뜻으로 예비, 예고, 예상 등에 쓰이고, 預는 '맡기다' 즉 '어떤 물건을 보관하게 하다'라는 뜻으로 예금, 예탁 등에 쓰입니다. 삼국지에 나오는 삼국통일을 이룩한 장군 두예(杜預)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고전 한문을 다루고 한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옥편인 단국대 《한한대사전》에서 豫와 預의 설명을 보면 이 두 개의 한자가 같은 한자가 아닌가? 싶게 풀이합니다.

우선 豫는
1)  큰 코끼리.  2)  안락하다,  편안하다.  3)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4) 천자(天子)가 가을철에 제후국을 순행(巡行)하는 일. 5) 게으르다, 태만하다. 6)  싫어하다, 귀찮아하다. 7) 주저하다,  망설이다. 8) 속이다,  기만하다.  9)  예비하다.  10)  미리,  사전에.  11)  변하다,  변동하다. 12)  ‘與’와 통용 :  ①참여하다.  ②관계하다.  13)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14)  나무 이름.  15)  땅 이름 :  ①구주(九州)의 하나.  ②하남성(河南省)의 약칭.  16)  성(姓)

그리고 預는
1) 미리, 사전에, 또는 미리 준비하다. 2) 참여하다. 3) 간섭하다, 관여하다.  4)  관계되다,  연관되다.  5)  안락하다.
로 나와 있습니다. 預의 모든 뜻이 다 豫에 나와 있고, 정작 널리 쓰이는 '맡기다'라는 뜻은 없습니다. 중국어 사전에서 預나 预를 찾아보면 역시 '맡기다'라는 뜻은 나와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미리, 사전에'라는 뜻으로 預를 쓴 용례를 보면, 豫와 완전히 동일합니다. 사실 고전 한문에서 豫와 預는 서로 통하는 글자로 쓰입니다. 그리고 현대 중국에서도 '미리'라는 뜻으로 豫보다는 预를 더 많이 씁니다. 豫는 '편안하다'라는 뜻으로 더 많이 씁니다. 이는 중국뿐만이 아니고, 조선왕조실록을 봐도 고종실록 전까지는 '미리'라는 뜻으로 預를 사용하는 경우가 豫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많습니다.

그렇다면 預를 '맡기다'라는 뜻으로 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일본어에서 預의 의미를 찾아보면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일본어 사전에서 預를 찾으면 뜻으로는 'あずける', 'あずかる'가 나오는데, 각각 '맡기다', '맡다'라는 뜻입니다. '미리'라는 뜻의 あらかじめ도 있지만 표외, 즉 상용한자 표에서는 빠진 의미입니다. 즉 일본어에서는 預를 고전 한문과는 무관하게 '맡기다'라는 뜻으로 쓰고 있었던 것입니다. 조동원(2020)에 따르면 이런 용례는 이미 헤이안 시대(794-1185)까지 거슬러간다 하니 아주 오래되었습니다.

이렇게 원래 한자에는 없는 뜻을 중국이 아닌 나라에서 부여해서 쓰는 것을 '국의자'라고 합니다. 중국이 아닌데 한자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한자를 '그 나라 고유의 한자'라는 뜻으로 '국자'라고 하는데 이와 비슷한 것입니다. 한국에서 국자로 유명한 한자는 인명의 '돌'을 나타내는 돌(乭), 논을 나타내는 답(畓) 등이 있고, 일본에도 일본만의 국자가 있는데 신목을 나타내는 사카키(榊), 밭을 나타내는 하타케(畠) 등이 있습니다. 국의자로는 콩 태(太)가 대표적입니다. 원래 한자는 클 태고 중국에선 이거에 콩이란 뜻 없습니다. 預(맡길 예)는 본래 일본의 국의자였던 것이지요.

그러다 보니 중국에서는 예금 대신 다른 말을 씁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구한말부터 일본의 영향을 받아서 預를 맡기다는 뜻으로 쓰게 되었고,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미리'로는 豫를, '맡기다'로는 預를 쓰는 것으로 용법을 정리했습니다. 다만 옥편의 뜻풀이는 보수적이다 보니 預에 '미리'라는 뜻이 아직까지도 남아 있습니다.

그러면 기독교에서 많이 쓰이는 예언은 豫일까요 預일까요?
사실 답은 뻔합니다. 왜냐하면 성경 번역은 중국을 거쳐서 했거든요. 그렇다면 한자를 뭘 쓰든 '미리'라는 뜻으로 쓴 것일 따름입니다. 豫든 預든 중국에선 '미리'라는 뜻으로는 같은 뜻이며, 預에 따로 '맡기다'라는 뜻은 없습니다. 현대 한국의 용례라면 豫言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預(맡길 예)가 일본제 한자라는 것을 다들 까먹고 살았던 것이지요. 그러다 보니 일본에선 預言으로 번역된 성경을 보고 이것을 '미리 예'가 아닌 '맡길 예'로 착각하는 경우가 생겨났습니다. 이는 현대 일본어에서 豫言과 預言을 구분하기에까지 이르렀습니다. 대개의 현대 일본어 사전에서, 豫言은 보통의 예언으로 해석하고 預言은 '그리스도교에서, 신탁을 받아 전하는 말'로 달리 해석하게 되었습니다. 앞서서 '예탁'이란 말을 소개했듯이 탁은 '맡기다'는 뜻의 예(預)와 통하며, 신탁을 받았다는 것은 결국 신의 말씀을 받아 맡았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런 엉뚱한 이해가 자리잡은 데에는 예언의 본질에 대한 기독교의 해석의 변화도 영향을 끼쳤습니다. 예언은 그리스어 προφητεία(prophēteíā)를 번역한 것인데, 이 단어를 이루는 어근 προ-(pro-)의 뜻은 영어로 before, 즉 전(前)을 가리킵니다. 이 pro가 시간의 전(前)이라면 미래를 그 이전(前)에 미리 말하는 것으로 통상 말하는 예언에 해당하며, 대중의 전(前)이라면 신의 말을 맡아서 대중 앞에서 전하는 것으로 신탁에 해당합니다. 예언의 본질이 미래를 미리 말하는 것이냐, 신탁을 전하는 것이냐는 논쟁에서 최근에는 신탁 쪽이 우세해지지만 미래의 뜻도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이런 신탁으로서의 예언을 가르치는 신학자나 목사들은, '맡기다'라는 의미의 예(預)에 주목하고 예언을 豫言이 아닌 預言으로 해석하는 시도를 하게 됩니다. 그런 가르침은 인터넷에서도 쉽게 찾을 수가 있습니다.

https://www.clsk.org/bbs/board.php?bo_table=gisang_preach&wr_id=1056&main_visual_page=gisang {기독교사상 성서와설교 2020년 9월 - 사역자의 설자리: ‘강’(講)과 ‘예’(預)}
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196197 (뉴스앤조이 2014년 2월 24일 기사 사회 개혁 하는 교회, 분기탱천한 엘리야를 보라)
http://christian.nocutnews.co.kr/news/4600372 (크리스천 노컷뉴스 2016년 5월 30일 기사 [CBS주말교계뉴스] "예언에 심취하지 마세요")

제 생각에는 이것이 일본어의 직접적인 영향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보다는 예언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견해와, 預(맡길 예)라는 일본제 한자의 도입이 결합한 결과일 것입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성경 번역은 중국을 통해서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것은 나중에 재해석한 결과일 뿐이지, 원래 번역할 당시에 預言은 豫言과 같은 '미리 말함'의 의미로 썼음이 명백합니다.

한국에서 고전 한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預(맡길 예)가 일본의 국의자임을 까먹었다는 것과 성경 번역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성경을 중국을 통해서 번역했다는 것을 까먹었다는 점 이 두 가지가 없었다면 예언의 한자를 '신의 말씀을 맡았음'이라고 재해석하는 것이 이 정도로 일반적으로 통용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는 인문학적 기반이 부족해서 나온 해프닝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기독교계만 이렇지는 않을 겁니다.

그러나 언어는 변하는 것이며, 꼭 원의에만 집착할 필요는 없다는 관점에서는, 일본제 한자를 끌어와서라도 예언에 대한 새로운 신학을 평신도에게 쉽게 소개할 수 있다는 점은 좋은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조동원: 〈‘豫言’과 ‘預言’ - 성서한역과정을 중심으로 살펴 본 ‘예언’의 한자어 -〉, 《가톨릭신학》, 2020년, 37권, 179-221

(가톨릭신학이라 개신교인에게는 불편할 수도 있겠지만, 제가 이 논문을 읽어본 바로는 개신교 신학에서도 통할 수 있는 논문입니다.)

요약
1. 預는 원래 한문에선 '미리 예'였다. 지금의 '맡길 예'는 일본제 한자다.
2. 기독교의 예언은 원래는 '앞날을 미리 말함'이다. '신의 말씀을 맡아서 말함'이 아니었다.

추신
미처 빼먹은 점이 있는데, 한국어에서 예언은 한자로 豫言으로 쓰는 게 표준입니다. 預言으로 쓰는 건 비표준입니다. 다만 일본어 預言(그러니까 맡아서 말한 신의 말씀)의 뜻도 있다는 게 함정이죠.

* 손금불산입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8-22 01:3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26 도서관에서 사서들은 무슨일을 하고 있나요? [85] 너랑나랑10843 21/08/10 10843
3325 술핝잔 먹고 쓰는 잃을 가치가 없는 만취글 [14] noname118813 21/08/08 8813
3324 [역사] 술 한잔 마셨습니다... 자전거 역사 하나만 기억해주세요 / 자전거의 역사 [40] Its_all_light7951 21/08/10 7951
3323 전쟁을 이기지 못하는 방법: 봉황 계획 [38] Farce11221 21/08/08 11221
3322 預(맡길 예)는 일본제 한자다. 예언은 '맡기다'와는 무관했다. [28] 계층방정6977 21/08/05 6977
3321 [감상] 시간이 치유해주길 기다린 끝의 사랑. 메종일각 [38] 라쇼11725 21/08/03 11725
3320 금융위기를 이끌었던 마법의 공식 [27] 모찌피치모찌피치12559 21/08/01 12559
3319 6년만에 만난 친구랑 축구 본 이야기 [11] 及時雨7805 21/08/01 7805
3318 (삼국지) 정보, 손씨 세력의 큰형님 [23] 글곰7197 21/07/28 7197
3317 [일상글] 딩크 VS 육아: 비교해보자 [47] Hammuzzi8284 21/07/28 8284
3316 아아 들립니까. 여기는 분만실 앞 [103] 다리기9372 21/07/23 9372
3315 조종사를 대하는 철학의 차이 (보잉 vs 에어버스) [31] 우주전쟁8612 20/06/27 8612
3314 메리야쓰 바람으로 빗길을 울면서 달리던 40대 탈모인 [13] 79년생6171 20/06/25 6171
3313 황제의 구혼을 거절한 여자는 어떻게 되었을까. [15] Love&Hate10769 20/06/25 10769
3312 공대생 공부법 [46] 가라한14025 20/06/19 14025
3311 (주식) 미국 주식 입문자들을 위한 ETF 간단 소개 [39] 길갈11573 21/07/21 11573
3310 코로나 시국에 기증한 조혈모세포 [42] bluff7369 21/07/20 7369
3309 드디어 잘랐습니다! (feat 어머나 운동본부) 긴머리 주의! [26] 예쁘게 자라다오9201 21/07/20 9201
3308 [역사] 미원과 다시다, 전쟁의 역사 / MSG의 역사 [43] Its_all_light10390 21/07/20 10390
3307 오늘, 이유 없이, 그 친구가 생각난다 [8] 프리템포7113 21/07/19 7113
3306 아서왕 창작물의 역사, 또는 '아서왕이 여자여도 별로 상관 없는 이유' [149] Farce9829 21/07/19 9829
3305 미군의 아프간 철수가 불러 올 나비효과 [80] cheme14557 21/07/15 14557
3304 백수생활 두달째 [91] 녹용젤리8524 21/07/19 85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