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11/12 01:59:52
Name 필리온
Subject 바뀌어가는 것.
양신, 프로야구 선수이지만 '신'으로 불리는 선수가 있다. 삼성의 팬이라면 한번쯤은 누구나 불러봤을 이름. 양준혁.
나는 93년인가 94년인가, 중학생 때 신문에서 읽었던 양준혁의 1차 지명 기사를 기억한다. 삼성은 걸출한 왼손 거포 양준혁을 지명할 가능성이 높다고.
그 신문을 보았던 때로부터 벌써 13년인지 14년인지가 지났다. 양준혁은 선수협으로 트레이드되는 아픔이 있었지만, 결국 삼성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14년이 지난 지금도, 삼성의 주축 타자로 활약하고 있다. 내가 삼성이 지면 훌쩍거리던 코흘리개 아이일 때 야구를 시작했을 양준혁은, 내가 서른을 바라보는 지금도 그라운드에서 누구보다 최선을 다해 뛰고, 슬라이딩하고, 다이빙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양신'이라고 부른다.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나온 것은 내가 대학교 1학년 때였던 걸로 기억한다. 왜 그렇게 스타크래프트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는가, 그것은 나도 잘 모르겠다. 수많은 외부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겠지. 아무튼, 그 뛰어난 게임은 플레이를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재미를 줄 수 있는 전략 게임이었고, 그에 따라 처음으로 게임 방송이라는 것이 생겨난다. 그것이 자리를 잡고, 활성화되고, 시간이 흐르고...
내가 스타리그를 처음으로 (열심히) 본 것은 홍진호와 서지훈의 올림푸스 결승전이었다. 저그 유저인 나는 홍진호를 응원했지만 결과는 서지훈의 3:2 승. (그게 그 험난한 응원 세월의 시작이리라고는 그땐 미처 알지 못했지..) 신예 서지훈은 퍼펙트 테란이라는 닉네임을 얻으며 테란 진영의 최강자 중의 하나로 떠올랐다. 그 경기를 시작으로 나는 스타리그를 보기 시작했다.

얼마 전, 서지훈과 김택용의 준결승전을 보았다. 서지훈은 이미 중견 게이머, 아니 차라리 올드 게이머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의 위치에 서 있었다. 서지훈은 결국 그 경기에서 패했다. 그리고 두각을 드러낸 지 얼마 되지 않은 김택용의 결승 상대는 김택용보다도 어린 신예였다. 그 신예는 단 2년 전만 해도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최연성을 격파하고, 1년 전만 해도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마재윤을 격파하고 결승에 올라왔다. 충분히 그럴 만한 실력이었다. 결승전이 기대되는 경기력이었다.

그러나 나는 단지 게임을 보려고 스타리그를 보는 것이 아니다.

너무, 빨리 변화하고 바뀌고 잊혀져 간다.

5년 전에 16강을 이루던 그 많은 선수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홍진호는 다시 스타리그 무대에 오를 수 있을까? 이윤열이, 최연성이, 마재윤이 도저히 질 것 같지 않았던 시절이 었었고, 그 시절은 눈깜짝할 사이에 바뀌어간다. 6개월만 스타리그에서 눈을 떼고 있으면 그새 판은 언제 그랬냐는 듯 완전히 바뀌어 있다. 모든 스포츠에 세대 교체가 있다지만 이건 너무 빠르다. 2년? 1년? 6개월? 3개월? 스타크래프트 방송을 본 지 불과 5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5년 전의 게이머는 이미 아득한 옛날의 전설적인 프로게이머가 된 것 같다. "올드 게이머" 라고? 하지만 임요환조차도 나보다 나이가 많지 않다. 나는 올해 공채로 취직해 인생의 첫 발걸음을 내딛은 사람인데. 마치 스타리그라는 스포츠에서만, 원래부터 서른까지 살고 죽는 사람인 것처럼, 너무도 숨가쁘게 변해간다.

물론 어쩔 수 없겠지만,

다만,

게임을 플레이하는 그 선수들을, 좋아할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정들 만하면 사라져버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는 양준혁을 좋아한다. 그 정든 시간만큼.

* 메딕아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7-11-16 22:5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12 02:05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요샌 매일 프로리그다 개인리그다 해서 게임이 있다보니.. 사실 다 챙겨보지도 못하고 묻히는 게임도 많고, 관심도 게임수가 적었던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지기도 합니다. 그냥 좀 유명한 선수나 스토리가 있어보이는 이슈가 될 게임을 위주로 보게 되고 관심을 가지게 되죠.. 저도 그게 아쉽긴 합니다. 수많은 올드 게이머들.. 그리고 강력했던 본좌들.. 지는 모습이 넘 안타깝기도 하구요.
다시금 올드의 힘을 보여줬음 하네요. 마재윤선수도 온겜이 남았으니 선전했음 좋겠구요.
목동저그
07/11/12 04:38
수정 아이콘
저도 양신 팬이라는^^; 이스포츠는 확실히 선수들의 수명이 짧은 편이죠.
박지성&호날도
07/11/17 16:35
수정 아이콘
저도요 임요환이 안잊혀지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70 정글 속 x와 단둘이.avi [22] 만렙법사16312 24/03/30 16312
3869 탕수육 부먹파, 찍먹파의 성격을 통계 분석해 보았습니다. [51] 인생을살아주세요15402 24/03/25 15402
3868 [역사] 가솔린차가 전기차를 이긴 이유 / 자동차의 역사 [35] Fig.115683 24/03/19 15683
3867 [역사] 페리에에 발암물질이?! / 탄산수의 역사 [5] Fig.115359 24/02/21 15359
3866 [잡담] 북괴집 이야기 [5] 엘케인15375 24/03/12 15375
3865 자동차 산업이 유리천장을 만든다 [69] 밤듸16362 24/03/11 16362
3864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1. 들어가며 [7] meson14765 24/03/10 14765
3863 토리야마 아키라에게 후배들이 보내는 추도사 [22] 及時雨14986 24/03/08 14986
3862 바야흐로 마라톤 개막 시즌 입니다. [31] likepa14236 24/03/06 14236
3861 [역사]이걸 알아야 양자역학 이해됨 / 화학의 역사 ③원자는 어떻게 생겼을까? [31] Fig.114607 24/03/05 14607
3860 삼국지 영걸전, 조조전, 그리고 영걸전 리메이크 [30] 烏鳳16144 24/02/22 16144
3859 설날을 맞아 써보는 나의 남편 이야기 [36] 고흐의해바라기15186 24/02/12 15186
3858 열매의 구조 - 겉열매껍질, 가운데열매껍질, 안쪽열매껍질 (그리고 복숭아 씨앗은 일반쓰레기인 이유) [21] 계층방정14472 24/02/08 14472
3857 향린이를 위한 향수 기초 가이드 [76] 잉차잉차14975 24/02/08 14975
3856 [역사]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 화학의 역사① [26] Fig.114425 24/02/06 14425
3855 회사에서 설사를 지렸습니다 [154] 앗흥16772 24/02/08 16772
3854 [LOL] 53세 할재(?) 에메랄드 찍기 성공 [41] 티터14988 24/02/07 14988
3853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3 최고의 앨범 Best 15 [12] 김치찌개14198 24/02/04 14198
3852 [역사] 손톱깎이 777 말고 아는 사람? / 손톱깎이의 역사 [29] Fig.114514 24/01/23 14514
3851 구조적 저성장에 빠진 세계, AI는 이 한계를 뚫을 수 있을까 [34] 사람되고싶다14568 24/01/21 14568
3850 조선의 젊은 아베크족들이 많은 걸 모르셨나요? - 1940년 경성 번화가를 걸어보다. [12] KOZE16971 24/01/13 16971
3849 2023년 영화 베스트 25 - 주관 100% [23] azrock15944 24/01/12 15944
3848 과학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 과학철학의 역사 [32] Fig.115820 24/01/09 158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