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4 10:46:37
Name codin
Subject [질문] 미래에 외국어공부는 과연 필요한가?
구글번역처럼 인공지능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지요.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많은 직업 중에 번역통역 쪽도 빠르게 포함될 것이라 보는 시각들이 있는데요.

미래에는, 일반인들은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어지게 될까요?
아니면 여전히 외국어 능력자의 이점은 유지되고, 영어유치원이나 토익이 유행하고 있을까요?

만약 전자라면, 얼마나 먼 미래일까요? 10년? 100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24 10:51
수정 아이콘
사실 그렇게 따져서 통번역이 대체될 정도면 이미 사무직,기술직은 80% 이상 대체될 것이기 때문에 더 적절한 질문은 뭘 공부해야 하는가?라고 봅니다. 안그래도 요즘 금융업계에서도 금융 관련 프로그래밍 세미나를 할 정도기 때문에;; 이보다 덜 지식집약적인 기타 사무직종들은 결딴난거죠 이미.
무무무무무무
17/03/24 10:53
수정 아이콘
번역의 질이 문제지 음성인식이나 발음은 지금도 지원되고 있으니....
외국 가서 사는 목적이 아니라면 아주 길게봐야 한 세대 안에 외국어 능력의 효용성은 사라지리라고 봅니다.

다만 외국에서 사는 게 목적이라면 바로바로 대화가 가능해야 하니까 중간에 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인공지능은 아무래도 걸림돌이 되겠죠.
Paul Pogba
17/03/24 11:05
수정 아이콘
외국어가 아니라 노동자 닝겐을 대체할 날이 머지 않았죠....
사나없이사나마나
17/03/24 11:05
수정 아이콘
번역기와 통역기의 수명은 좀 다를 것 같아요. 번역기는 생각보다 빠르게 대체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통역기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얼마나 간편하냐에 따라 달라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통역은 그리 쉽게 대체될 것 같지는 않아요. 통역의 속도나 정확도가 그렇게까지 정확할 수 있을까에 의문이 들어요. 또한 아무리 통번역이 된다고 해도 그걸 감수를 안 할 수는 없을테니 감수할 사람도 필요하긴 하겠죠. 어느 정도의 이점은 유지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17/03/24 11:16
수정 아이콘
10년 봅니다.
지금부터 10년전인 2007년에 아이폰 1이 나왔었고 2017년인 지금은 갤럭시 덱스 상용화 직전이죠.
아마존 슈퍼마켓도 그렇고, 1인용 드론, vr, 클라우드 상상도 못했던 일들이 현실화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기기의 성능을 발전시키던 성장기였다면, 앞으로는 생활을 대체하는 기술발전이 급속도로 발전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속도가 상상력을 뛰어넘으려는 수준입니다.
아만자
17/03/24 11:18
수정 아이콘
너무 당연하게도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어지고 단지 시간 문제라는건 누구나 인정할 겁니다.
100년까지 걸리진 않는 것 또한 너무 당연해 보이고요.
제 예상으로는 5년 후면 가시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우리나라 정규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번역을 훨씬 잘하는 수준)
10년 정도 후면 학교에서 영어 과목이 다른 과목으로 바뀌거나 바꾸는 준비를 하지 않을까 합니다.
17/03/24 11:32
수정 아이콘
번역기보다 고수준의 외국어능력을 가져서 번역기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입장에 서는 소수의 사람만 남을겁니다
그보다 아래 수준의 외국어능력은 그 가치를 점점 잃겠죠
RedDragon
17/03/24 11:40
수정 아이콘
요새 갓글번역기에 너무 익숙해졌어요.. 크크크 번역은 이미 실생활에 활용될 정도고 이게 사회 전분야에 들어오는 시기문제일 거라고 봅니다.
빨리 번역 기술이 더 발전되서 정발 안되는 게임들 다 해보고 싶네요 ㅠㅠ
이 짐승에게 먹이를 주지마세요
17/03/24 13:16
수정 아이콘
최소 20년봅니다. 개인적으론 빨라야 30년정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935 [질문] 가계부 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이슬먹고살죠3732 17/03/24 3732
99934 [질문] 아이클라우드 계정 변경질문입니다, [1] 하이띵크1878 17/03/24 1878
99933 [질문] 플스4 구매후 필요한 것들 질문 [18] 서랑6104 17/03/24 6104
99932 [질문] 건강이 뭔가요?(영양제관련) [3] roastedbaby1892 17/03/24 1892
99931 [질문] [LOL]전리품 정수 얻는 법? [17] 레이오네4865 17/03/24 4865
99930 [질문] 유튜브 저작권에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15] posharp3836 17/03/24 3836
99929 [질문] 부산에 ps4 슬림 이라도 파는곳 없나요? [6] D.레오3195 17/03/24 3195
99928 [질문] 국내에 서바이벌(생존훈련?) 같은거 하시는 블로거 아시는 분 있나요? [3] 1perlson1952 17/03/24 1952
99927 [질문] 산재 신청을 진행해 보신 분들께 여쭤봅니다. [4] 통풍라이프2276 17/03/24 2276
99926 [질문] 코딩 교육이 유행이라는데요 과연 필요할까요? [38] codin5411 17/03/24 5411
99925 [질문] 무좀연고 질문합니다. [9] 보아남편4465 17/03/24 4465
99924 [질문] 마지막으로 제주도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원스3486 17/03/24 3486
99923 [질문] 원드라이브 동기화 질문입니다. [4] 삭제됨2995 17/03/24 2995
99922 [질문] 직장 이동시 컴퓨터 정리 [1] dos2400 17/03/24 2400
99921 [질문] 미래에 외국어공부는 과연 필요한가? [9] codin3191 17/03/24 3191
99919 [질문] 데스크탑을 사려고 합니다. [5] LG.33.박용택2775 17/03/24 2775
99918 [질문] 초2 아들이랑 함께 할만한 게임 추천 부탁드려요 [51] Faker Senpai12022 17/03/24 12022
99917 [질문] [스타1] 역전승 게임 뭐가 있을까요? [33] 레너블3403 17/03/24 3403
99916 [질문] MLB 더쇼 2016 지금 사도 될까요? [4] Lv32251 17/03/24 2251
99915 [질문] 노트북 사려는데, 삼성 메탈 괜찮을까요? [4] 이청준3083 17/03/24 3083
99914 [질문] 기계식 키보드 질문드립니다. [6] 삭제됨2396 17/03/24 2396
99913 [질문] 지금 Wii U사는 거 어떤가요? [4] 전체일정안내3889 17/03/24 3889
99912 [질문] 긴 복무기간을 감수하고서라도 공군에 가는게 좋을까요? [101] 클램본13140 17/03/24 131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