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4 10:42:38
Name eosdtghjl
Subject [질문] 개헌하기전에 공무원공부를 해도 될까요?
당장 개헌하기전에 정권교체될때마다 공무원관련 법이 많이 바뀌고 있던데요
공무원연금개혁, 공무원9급 수학/과학 도입, 공무원 5급 필수과목에 헌법추가, 7급(9급) 영어는 공인점수로 대체 등등..

최근 기사에보면 7급 공채는 국어,영어,한국사를 빼고 특채처럼 PSAT으로 대체하는 법안도 검토중이라고 하고요.
또 어떤기사에서는 공무원 한국사도 이제 한국사 자격증으로 대체된다는 얘기도 있더라고요.

하.. 직장과 병행하며 3~4년동안 7급 특채랑 공채 노려볼생각인데 자꾸 법이 바뀌니까 괜히 쓸데없는것을 공부하게될것 같은 걱정이되고 그렇네요

문재인과 민주당은 2018년에 개헌관련 투표를 한다는데.. 그때 이후에 공부시작해야하는건지 이것참 아리송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꾼챱챱
17/03/14 10:57
수정 아이콘
시험과목이야 최소 몇 년 전부터는 고지를 하기때문에 당장 지금 바꾸겠다고 해도 3~4년 안에 바뀌진 않을겁니다.
그리고 뭐 연금개혁이니 이런거는 어쩔 수가 없죠.
하다못해 사짜 붙는 직업들도 미래변수(라고 쓰고 정책방향이라고 읽는다)에 의해서 한순간에 훅 가기도하고 확 펴기도 하고 그렇죠.
누가 변호사가 한 해 몇 천명씩 쏟아질거라고 예상이나 하고 변호사를 했겠어요?
의사들도 관련전공이 뜨고지는 것에 따라서 울고웃는 경우가 허다하고, 20년 전만 해도 교사 공무원 하다가 때려치고 회사들어가는 사람들 흔했죠.
개헌한다고 해서 공무원 관련법이 엄청 바뀌는 것도 아니고, 개헌 안한다고 해서 법이 안바뀌는것도 아니에요.
공무원들은 어차피 국가에서 볼때는 부하직원같은, 까놓고 말해서 호구들이라서 정권 바뀔때마다 뭐가됐든 어떻게됐든 한번씩 바뀝니다.
여태까지 계속 그래왔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꺼에요.
그러니까 뭐 개헌이니 정권교체니 그런거 신경쓰지 마시고 준비하셔도 됩니다.
eosdtghjl
17/03/14 11:10
수정 아이콘
음..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무무무무무무
17/03/14 11:04
수정 아이콘
시험내용이야 남들도 다 똑같이 보는거니까 상관없는데, 연금개혁은 당장 생활의 문제니까 고민 많이 하셔야 합니다. 직장인이시면 더더욱요.
직장 다니다 들어와서 첫 급여 받아보고 한숨쉬고 연금개혁안 보고 한숨쉬는 공무원들 정말 많습니다.
eosdtghjl
17/03/14 11:11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9급은 쳐다도 안보고 있습니다. 죽어도 7급 못붙으면 그냥 직장이나 계속 다니려고요.
5급은 논술이라 쳐다도 안보고 있습니다. 논술시험은 그냥 다른세계니까요.
객관식이니까 다들 나도 한번 해볼까? 하는거지 9급, 7급도 논술이었으면 경쟁률이 10분의 1토막 날듯
싸구려신사
17/03/14 12:24
수정 아이콘
글쎄요. 7,9급에 논술이 들어가도 그 수준이 떨어질뿐 경쟁률이 10분의 1토막나는건 말도안된다고 생각됩니다. 객관식이지만 취약과목이 있을것임에도 죽기살기로 공부하거든요. 논술 공략법 뭐 이런게 나오겠죠
무무무무무무
17/03/14 13:46
수정 아이콘
오히려 논술이니까 대충 소설쓰면 붙는 거 아니냐하고 더 지원할지도 모르죠 크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445 [질문] PS4 Pro 물량 아직 없나요? [14] 작은마음4605 17/03/14 4605
99444 [질문] 개헌하기전에 공무원공부를 해도 될까요? [6] eosdtghjl3489 17/03/14 3489
99443 [질문] iOS에만 있는 게임 뭐가 있을까요? [1] RookieKid1998 17/03/14 1998
99442 [질문] 개발 노트북 추천드립니다 ^^ [20] 곰비14766 17/03/14 14766
99441 [질문] 전소미가 영햑력 많은 연예인인가요? [26] 범일동5919 17/03/14 5919
99440 [질문] 여친이 신안으로 놀러가는데 별일없겠죠? [36] 짱짱걸제시카8922 17/03/14 8922
99439 [질문] 퀵차지충전기, 케이블추천부탁드립니다 [5] 몽유도원7771 17/03/14 7771
99438 [질문] 급질문. 우병우 인생 vs 정우성 인생 [96] 테란의로망6813 17/03/13 6813
99437 [질문] 레고 마인드스톰 질문드려요. [4] 외국어의 달인2484 17/03/13 2484
99436 [질문] 게임 중에 실시간으로 CPU,GPU,HDD 점유율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3] CoMbI COLa4349 17/03/13 4349
99435 [질문] 일반적인 연봉과 순자산은 어느정도면 평균일까요? [30] eosdtghjl14447 17/03/13 14447
99434 [질문] 마카롱 구입 질문 드립니다. [6]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2770 17/03/13 2770
99433 [질문] ps4 리모트 플레이 관련 엑스페리아와 듀쇽 연결 문제 질문입니다. [3] 화잇밀크러버3662 17/03/13 3662
99432 [질문] 서울 근교에 당일에 다녀올만한 곳 있을까요? [5] 성소3683 17/03/13 3683
99431 [질문]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영상? [2] 홉스로크루소2409 17/03/13 2409
99430 [질문] 서류 같은거 택배 보내는 방법? [1] 비둘기야 먹자2882 17/03/13 2882
99429 [질문] 연말정산 부양가족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설아2848 17/03/13 2848
99428 [질문] 핸드폰 와이파이가 연결이 안됩니다 [2] 초롱비5682 17/03/13 5682
99427 [질문] 아들 둘입니다. 셋째도 아들일 확률이 더 높을까요? [30] 희열6858 17/03/13 6858
99426 [질문] 사람얼굴 등을 못 알아보고 지나치는 이유는 무엇일지요...? [9] nexon2687 17/03/13 2687
99425 [질문] [The love]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6] 삭제됨2515 17/03/13 2515
99424 [질문] MRI는 얼마나 아플때 찍어야 하나요? [23] 오렌지망고7284 17/03/13 7284
99423 [질문] 공학수학 문제입니다 도와주세요 [8] 에스프레소2375 17/03/13 23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