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4 07:27:29
Name 범일동
Subject [질문] 전소미가 영햑력 많은 연예인인가요?

제목이 이상하지만.. 전소미가 정말 그렇게 인기 많고 대세인 여자인가요?
프로듀스 첫화부터 마지막화까지 볼때도 거품이 좀 끼어있다고 생각했는데..

인터넷 반응 보면 jyp 차기 걸그룹은 전소미를 주축해서 이미 성공했다는 여론이 많이 보이고..
전소미 개인에 대한 평가가 다들 좋길래.. 어느 정도의 파워를 가진 아이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14 07:39
수정 아이콘
남자같이 생겼던데.... 정말 이해하기 힘든 시장인것 같습니다
17/03/14 07:45
수정 아이콘
수지 속한 그룹도 망했는데 이미 성공하긴 뭘 성공해요;
eosdtghjl
17/03/14 08:35
수정 아이콘
미쓰에이는 대상까지 받았는데 망하긴 뭘망해요;;
계약기간 끝나서 해체하는건 전부다 마찬가지인데
17/03/14 07:47
수정 아이콘
서양혼열 아이돌 경쟁력이 있는거죠 이쪽이 워낙 블루오션이라
17/03/14 08:00
수정 아이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두 번을 거치면서 개인 팬덤을 크게 가지고 있으니까요
외모도 괜찮고 끼도 넘쳐서 아이돌로서 경쟁력있죠
차기 걸그룹이 이미 성공했다는건 좀 오버이긴 합니다
개인과 그룹의 성공은 별개라 ioi 멤버가 속한 걸그룹들 중에서도 대세가 된 그룹은 아직 없으니까요
배주현
17/03/14 08:00
수정 아이콘
다음 걸그룹 런칭때까지 그냥 놀게만 냅두면 (방송활동이 없으면) 몰라도 지금처럼 활동을 꾸준히 한다면 시작점이 다른건 맞죠. 이미 팬층이 확보되어있으니까요

다만 이미 성공이라고하기에는...
멸천도
17/03/14 08:04
수정 아이콘
연습생치곤 탑클래스 인기긴 합니다만 이미 프로젝트그룹에서 데뷔를 했었으니 이제 연습생이라고 불러도 되나 싶긴하네요
eosdtghjl
17/03/14 08:36
수정 아이콘
IOI데뷔때 아티스트로 계약해서 이미 연습생 졸업했습니다.
연습생이면 무조건 매달 월말평가 받아야되는데 이제 안해도되죠.
17/03/14 08:10
수정 아이콘
식스틴에서 트와이스에 뽑혀도 손색없었고 (사실상 어려서 탈락) 그후 101에서 1등으로 스타성을 인정받은거죠. 거기다 제왑 차세대 걸그룹 리더롤은 거의 확정적입니다. 제왑 걸그룹은 다 성공적으로 데뷔했고 트와이스이후 기대감은 엄청나다고 보여집니다.
17/03/14 08:20
수정 아이콘
팬은 많아요. 근데 제가보기엔 걸그룹멤버치고 여성팬이 훨 더 많은 느낌이라. 대세로 가기엔 약간 무리같아보이긴 합니다.
eosdtghjl
17/03/14 08:38
수정 아이콘
모~ 든 연예인은 거품이 있습니다. 연예인은 실력과 스탯만으로 평가받는게 아니라서 거품이 있는게 당연하죠.
그래서 연예계는 물들어올때 노저으라라는 말이 있는거죠. 특히 CF찍을 정도면 충분히 흥한거죠.
영향력 있는 셀레브리티냐? 그건 설문조사 순위에서 확인할 수 있겠죠.
17/03/14 08:44
수정 아이콘
좀 그래도 특이한 매력이 있지않나요? 뭐 그렇다고 대단한건 아니고 그냥 걸그룹멤버..
17/03/14 08:49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도 프로듀서때만 해도 쟤가 1위할 정도야? 별로 안이쁜데? 나이 알았을 때도 그렇게 안어려 보이는데... 정도로 생각했는데,
오히려 방송 활동하고 지난번 마리텔 나오는거 보니 역시 어리긴 어리구나, 그리고 끼도 있고 매력도 있고 착하게 잘 큰 아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 다시 보게 됐습니다.
앞으로 데뷔하게될 그룹은 데뷔도 안한 상태에서 판단할 수 없겠지만 소미 개인은 뭘하든 견고한 팬층이 유지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17/03/14 08:58
수정 아이콘
아이오아이 시절이긴 하지만 단독CF도 찍었고, pgr에서 본 것 같은데 걸그룹 개인 브랜드 순위가 17위인가 27위인가? 그랬죠. 프듀때면 몰라도 지금 대세라고 하긴 어렵긴 하나 그래도 충분히 인기 많은 아이돌이죠.
그리고 jyp 차기 걸그룹이 무조건 성공한다는 건 단순히 전소미 한 명 때문이 아니라 jyp 자체적으로 원더걸스+미스에이+트와이스 걸그룹 3연타를 냈고, 게다가 세 팀 다 무려 연간 1위곡 및 대상을 하나씩 갖고 있을 정도죠. 거기다 인터넷에서 떠도는 전소미와 같이 데뷔가 유력한 연습생들 풀이 괜찮아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실패경험 無의 걸그룹 명가 jyp+전소미+함께 할 연습생들이 괜찮음의 시너지 효과로 다들 이건 실패하기가 어렵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7/03/14 09:00
수정 아이콘
비글미, 서양혼혈, 여아이돌 포지션이 블루오션이죠. JYP이기도하고요.
물론 여팬비율이 많긴하나 파이 빼먹는 아이돌시장이다보니 특별합니다.
치토스
17/03/14 09:49
수정 아이콘
이미 나 자신 말고 다른 다수의 사람들이 다 인정하고 있다는 자체가 거품이 아닌 인기의 반증이죠.
17/03/14 10:00
수정 아이콘
언슬2 보니까 상당히 예뻐졌던데요
17/03/14 10:05
수정 아이콘
매력이 넘치죠.
피지알중재위원장
17/03/14 10:27
수정 아이콘
현재 소속 그룹도 없는 반연습생(아티스트로 계약했다지만 소속팀이 있는 것도 아니니...)이
공중파 예능 고정으로 뛰고 있으면 말 다한거죠 뭐.
이미 성공이라 하기엔 좀 그렇지만 여타 데뷔 걸그룹에 비하면 출발점 자체가 다른것이니...
게다가 jyp 걸그룹은 지금껏 실패한적이 없어서 더 그렇고요.
17/03/14 10:34
수정 아이콘
전소미가 누구에요?
비역슨
17/03/14 11:26
수정 아이콘
프듀도 안보고 별다른 애정은 없었는데 에릭남이랑 같이 부른 유후 노래도 좋고 뮤비도 참 귀엽더라고요.. ㅠㅠ
방과후티타임
17/03/14 11:52
수정 아이콘
보통 그룹은 성공하려면 홈런쳐야하지만, 전소미가 포함되면 이미 주자가 3루에 가있는 상황 정도랄까.....
17/03/14 13:34
수정 아이콘
이미 소미정도면 성공한거죠;;; 공중파 고정에 단독cf에 마리텔도 나가고 데뷔하고도 이정도 되는 아이돌 별 없어요
오늘보다 나은 내일
17/03/15 10:37
수정 아이콘
그 아이가 올 해 중학교를 졸업했단 이야기를 듣고,
연습생 생활이 많이 힘든가보다 했습니다
17/03/15 13:00
수정 아이콘
전소미 개인파워도 있지만 회사가 jyp죠. 걸그룹 성공은 소속사가 반은 먹고 들어간다고 생각하기에..(yg에 블핑만 봐도)
jyp+전소미+jyp내에 엄청난 인재풀을 더하면 망하기도 힘든 상황이겠죠.
17/03/15 19:44
수정 아이콘
누구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445 [질문] PS4 Pro 물량 아직 없나요? [14] 작은마음4741 17/03/14 4741
99444 [질문] 개헌하기전에 공무원공부를 해도 될까요? [6] eosdtghjl3577 17/03/14 3577
99443 [질문] iOS에만 있는 게임 뭐가 있을까요? [1] RookieKid2074 17/03/14 2074
99442 [질문] 개발 노트북 추천드립니다 ^^ [20] 곰비14991 17/03/14 14991
99441 [질문] 전소미가 영햑력 많은 연예인인가요? [26] 범일동6133 17/03/14 6133
99440 [질문] 여친이 신안으로 놀러가는데 별일없겠죠? [36] 짱짱걸제시카9051 17/03/14 9051
99439 [질문] 퀵차지충전기, 케이블추천부탁드립니다 [5] 몽유도원7924 17/03/14 7924
99438 [질문] 급질문. 우병우 인생 vs 정우성 인생 [96] 테란의로망7002 17/03/13 7002
99437 [질문] 레고 마인드스톰 질문드려요. [4] 외국어의 달인2540 17/03/13 2540
99436 [질문] 게임 중에 실시간으로 CPU,GPU,HDD 점유율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3] CoMbI COLa4461 17/03/13 4461
99435 [질문] 일반적인 연봉과 순자산은 어느정도면 평균일까요? [30] eosdtghjl14567 17/03/13 14567
99434 [질문] 마카롱 구입 질문 드립니다. [6]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2847 17/03/13 2847
99433 [질문] ps4 리모트 플레이 관련 엑스페리아와 듀쇽 연결 문제 질문입니다. [3] 화잇밀크러버3746 17/03/13 3746
99432 [질문] 서울 근교에 당일에 다녀올만한 곳 있을까요? [5] 성소3777 17/03/13 3777
99431 [질문]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영상? [2] 홉스로크루소2477 17/03/13 2477
99430 [질문] 서류 같은거 택배 보내는 방법? [1] 비둘기야 먹자2943 17/03/13 2943
99429 [질문] 연말정산 부양가족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설아2945 17/03/13 2945
99428 [질문] 핸드폰 와이파이가 연결이 안됩니다 [2] 초롱비5822 17/03/13 5822
99427 [질문] 아들 둘입니다. 셋째도 아들일 확률이 더 높을까요? [30] 희열6920 17/03/13 6920
99426 [질문] 사람얼굴 등을 못 알아보고 지나치는 이유는 무엇일지요...? [9] nexon2773 17/03/13 2773
99425 [질문] [The love]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6] 삭제됨2603 17/03/13 2603
99424 [질문] MRI는 얼마나 아플때 찍어야 하나요? [23] 오렌지망고7444 17/03/13 7444
99423 [질문] 공학수학 문제입니다 도와주세요 [8] 에스프레소2443 17/03/13 24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