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07 13:50:00
Name 이비군
Subject [질문] 롤 대각선으로 스킬쓰면 범위가 넓은 이유?
요번 iem중계때 클템해설이 쉔 도발얘기를 하면서도발을 대각선으로 그어야 잘 들어가는 느낌이다 라고 말을 했더니 동준좌가 2d 3d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당연히 그럴 수 밖에 없다, 격투게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등등 얘기를 하셨었는데 아직까지도 전혀 이해가 되지 않네요.
검색으로 잘 못찾겠고..
이걸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슬먹고살죠
17/03/07 14:22
수정 아이콘
롤은 2.5d게임이라고들 하는데요, 2차원 면에서는 이동이 자유로운데, 3차원인 높이에서는 이동이 자유롭지 않아서 그렇게 부릅니다.

아무튼 뭐 그게 중요하진 않고... 격겜을 하면 히트박스란 게 있습니다. 발차기를 했을 때 보기에는 곡선인 다리모양이지만, 실제로 시스템은 다리모양을 몇 개의 길다란 직사각형으로 구분하죠.

https://namu.wiki/w/%ED%8C%90%EC%A0%95%EB%B0%95%EC%8A%A4

나무위키 히트박스 항목입니다. 보면 바로 이해가 되실 겁니다.
사각형의 특징 상, 세로 혹은 가로로, 사각형의 네 변중 하나와 평행하게 이동하는것보다 대각으로 이동하는게 판정영역이 넓어집니다.
그래서 대각선 이동을 해야 판정이 좋아집니다.

다만 이건 격겜의 문제고, 롤에서도 이게 적용이 되는지, 아니면 그냥 기분탓인지는 확실하게는 모르겠습니다.
즉 위에서 설명한 내용중
격겜부분 -> 팩트,
롤에 적용 -> 확실치않음

입니다.
이비군
17/03/07 14:35
수정 아이콘
우오 정말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바로 이해됬어요.
김동준 해설님이 확신하시듯 말하시는걸 보면 롤에도 그게 적용되는듯 하네요
MirrorShield
17/03/07 14:32
수정 아이콘
스타1도 대각선으로 때릴떄 사정거리가 길어지죠.

과거 연산능력이 부족한 컴퓨터로 원형 판정하기가 오래걸려서 썼던 꼼수....
이비군
17/03/07 14:37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많은 게임에 통용되던 기술이였군요..
MirrorShield
17/03/07 15:01
수정 아이콘
사실 롤도 그렇게 판정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롤이 만들어지던 2009년에도 이미 거의 안쓰일정도로 연산능력이 충분했기때문에요.

그런데 롤의 클라이언트는 워낙 아마추어적이라 (태생이 동인게임이기때문) 그렇게 했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은게 함정일뿐이죠..
방민아
17/03/07 15:10
수정 아이콘
기분탓입니다. 시점이 대각선 사선으로 보는거라서요. 예전에 아래보다 위가 스킬 사거리가 더 길다는 말도 있었는데 라이엇에서 다 해명했습니다. 패치를 했던가... 아무튼 지금은 안 그럴거에요.
17/03/07 15:23
수정 아이콘
쿼터뷰 시점 때문에 발생하는 일 아닌가요?

싸이오닉 스톰도 걸쳐서 맞을경우
다리쪽은 안맞고 대갈통 쪽에만 맞는다거나 하는 그런류가 아닐지 싶은데..
가나초코렛v
17/03/07 17:03
수정 아이콘
거상온라인 생각나네요 몹의 발밑에 스킬시전을 해야 중앙에 스킬쓴걸로 판정되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133 [질문] 롤 대각선으로 스킬쓰면 범위가 넓은 이유? [8] 이비군4556 17/03/07 4556
99132 [질문] 랜섬웨어 관련 질문입니다 [7] 코왕3125 17/03/07 3125
99131 [질문] 생일 선물 추천 받습니다!! [22] 부들부들7478 17/03/07 7478
99130 [질문] [노래] 음역대 질문 있습니다 [9] 파핀폐인7117 17/03/07 7117
99129 [질문] 안드폰 백업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2] LEADA2136 17/03/07 2136
99128 [질문] 민사사건 통합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2] fRtJ2095 17/03/07 2095
99127 [질문] 여행지 추전 좀 해주세요~ [24] 김성복3109 17/03/07 3109
99126 [질문] 자동차 구매에 대한 질문입니다.(중고차/신차) (수정) [25] 이선빈4972 17/03/07 4972
99125 [질문] 노트북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6] 오늘보다 나은 내일2828 17/03/07 2828
99124 [질문] DLSR 카메라 싸게 사는법있나요? [3] Han Ji Min4581 17/03/07 4581
99123 [질문] 티볼리 오너 분들에게 질문 드립니다. [1] allin132404 17/03/07 2404
99122 [질문] [리니지2레볼루션] 실버레인져(활)인데 크리스(단검) [8] 클래시로얄5188 17/03/07 5188
99121 [질문] 원룸 관련 질문입니다 ^^ [8] 곰비5500 17/03/07 5500
99120 [질문] 회사 20대 중반 여자사원 생일선물 뭐 사주는게 좋을까요. [16] 알팅이10156 17/03/07 10156
99119 [질문] 중고거래 질문입니다. [5] 하만2846 17/03/07 2846
99118 [질문] 라이젠 아직 시기상조인가요? [15] 전체일정안내4965 17/03/07 4965
99117 [질문] 미래에 대부분의 직업이 로봇으로 대체 되면 보통 사람들은 더 넉넉하게 사는건가요? [15] 미뉴잇3994 17/03/07 3994
99116 [질문] 텝스시험 보신분 계신가요?? [2] NoelLiam.G2458 17/03/07 2458
99115 [질문] 프로토 분석하고 공부하는 법이 궁금합니다 [14] 새강이6553 17/03/07 6553
99114 [질문] (과학) 밀도와 비중의 차이 [5] 동전산거9161 17/03/07 9161
99112 [질문] 너무도 심심합니다. [11] 빙신3100 17/03/06 3100
99111 [질문] 바이올린 입문 질문드립니다 [10] 트와이스정연20477 17/03/06 20477
99110 [질문] 차는 수입의 얼마정도가 적절할까요? [24] 밍밍밍4235 17/03/06 42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