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04 11:00:06
Name 새강이
Subject [질문] 공대 선배님들 취업하고나서도 전공 교재들 많이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새강이입니다.

이번에 기계공학과 2학년에 올라가게 되는데요. 전공교재 값이 만만치 않아 부담이 살짝 됩니다.

그런데 선배들 중 일부는 최대한 제본 구할 수 있으면 구해서 써보라고 하고
몇 명은 나중에 또 찾아보니까 어차피 사야하는거라서 좋은 최신판 사라고 하네요.

나중에 취업하고나서든지 아니면 더 위에 학년에 올라가서
역학 교재나 공업수학, 전산수학 혹은 설계 교재를 봐야하는 일이 많이 생기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04 11:01
수정 아이콘
취업하고나서 한번도 안봤습니다. 후배 다 줬어요.
근데 그건 사람마다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새강이
17/03/04 14:3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17/03/04 11:23
수정 아이콘
봅니다. 기계 쪽 일을 계속 하신다면 기본 역학책은 어떻게든 다시 볼 일이 생기게 됩니다. 물론 다시 안 봐도 될 정도로 공부를 열심히 해놓으시면 됩니다. (찡긋)
Notorious
17/03/04 11:26
수정 아이콘
점심때 큰웃음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_ ^)
새강이
17/03/04 14:35
수정 아이콘
크 다시 안 봐도 될 정도로 제가 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기에..교재 사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17/03/04 11:35
수정 아이콘
그냥 대충 설렁설렁 일할거 아니면 언젠간 볼일이 생깁니다.
새강이
17/03/04 14:36
수정 아이콘
일하다보면 필요한가 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Sentient AI
17/03/04 11:49
수정 아이콘
나중에 보는 거랑 최신판 사는 거랑은 조금 다른 문제입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는 판본 바껴도 내용면에서 개선되는 건 별로 없구요.. 대신 순서나 문제같은게 달라져서 강의 듣기랑 문제 풀어오는 과제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강의에 맞는 최신본을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네요.

새책은 나중에 볼 생각 없으면 학교 내에서 중고로 팔 수 있긴 합니다. 판본 바뀌면 안 사겠지만 1년만에 바뀌는 경우가 잘 없어서요. 반대로 꼭 책으로 보관해두고 싶고 최신판이 올해 나온게 아니라면 글쓴님이 중고책을 사셔도 되겠구요.
새강이
17/03/04 14:36
수정 아이콘
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중고책으로 구할수 있는것은 선배들한테 최대한 구해보고 안 되면 책 사야겠네요
17/03/04 12:03
수정 아이콘
공대라고 뭉뚱그리기에는 분야마다 다른데... 일단 책은 있는게 좋고요
엄청나게 첨단분야로 진출할거 아니면 꼭 최신판일 필요는 없어요
어차피 진짜 완전 최신지견은 책이 아니라 따로 찾아봐야 되는거고

근데 이거 솔까말 '학교수준'에 따라서 정답이 크게 달라질 문제 같은데요
새강이
17/03/04 14:37
수정 아이콘
음 저는 중시인아홍 5개 대학 중 하나를 다니고 있는데..일단 책은 사는 쪽으로 하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려요!
싸구려신사
17/03/04 12:11
수정 아이콘
다시볼일이 아에 없지는 않기때문에 서적을 사서 보관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새강이
17/03/04 14:3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냥 조금 밥값 아끼고 책 살게요!
17/03/04 12:28
수정 아이콘
한번도 본적없네요...
어차피 회사에 더 정리잘 된 최신자료들이 더 많고, 메이커 및 협력업체에서 추가로 관련된 자료를 받을 수 있어서 전공서적 본적이 없어요
아.. 전공은 신소재공학입니다.
새강이
17/03/04 14:3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학기가 끝나고 그 과목에 자신있을지 없을지 생각해봐야겠군요
17/03/04 12:56
수정 아이콘
회사가서 뭘 할지 모르니깐요. 저처럼 사업관리나 하면 볼 일 0 입니다.
새강이
17/03/04 14:3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교재 사는쪽으로 하겠습니다
회전목마
17/03/04 13:12
수정 아이콘
설계과 졸업 설계직이었는데
열역학은 좀 보게 되더라고요
새강이
17/03/04 14:3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이번에 열역학 배우는데 걱정이 앞서네요 ㅠㅜ
17/03/04 15:01
수정 아이콘
기계과 나오고 차량 제어쪽 업무하고 있는데 전공책은 한번도 안봤습니다. 일하면서 필요한 것들은 관련 논문이나 사내 자료들에 더 잘 정리되어 있고 도움이 되네요.
새강이
17/03/04 17:1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같은 과 나오신 만두님이 안 보신다고 하니 고민되기 시작하네요
나이스후니
17/03/04 15:17
수정 아이콘
기계과인데 안봅니다. 어차피 개념적인부분이 필요하고, 인터네스로 보는게 더 빨라요. 오히려 토익이나 오픽책이 필요합니다
새강이
17/03/04 17:1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오히려 필요한게 영어라니..답변 감사합니다
17/03/04 15:26
수정 아이콘
전 전산 쪽인데 안 봐요. 워낙 빨리 바뀌는 분야이기도 하고 위키피디아만 봐도 상당히 설명이 잘 된 경우가 많아서요.
새강이
17/03/04 17:1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요새 변하는 속도가 원체 빨라서 전공교재가 필요없을수도 있겠네요
세종머앟괴꺼솟
17/03/04 21:00
수정 아이콘
컴공인데 한번도 안보게 되네요 크
새강이
17/03/04 22:29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실전지식이..
17/03/04 22:10
수정 아이콘
나노공학과 → 품질경영팀에서 일하는데..
오히려 남의 전공책 보게되네요..............
새강이
17/03/04 22:2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어느 직무를 맡을 지 모르니 그런일도 생기네요 흐흐
푸르미르
17/03/06 20:01
수정 아이콘
저도 기계 공학 전공해서 장비 설계하는데, 전공책은 볼 일은 없더라고요.
요즘은 구글에서도 필요한 자료가 다 있으니까요.
직종마다 다르긴 한데 기본 역학 책들은 갖고 있으면 집에 장식하기도 좋죠.
전 다 버리고 재료역학, 유체역학, 기구학, 기계제도 이렇게 4권 있네요.
새강이
17/03/06 23:27
수정 아이콘
많이 지나간 질문인데도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저도 딱 역학 책들이랑 기구학 책 정도만 사서 소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답변 고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005 [질문] 하루권장 나트륨과 도쿄음식 [4] 무릎부상자4113 17/03/04 4113
99004 [질문] [해축]브라질 역대 국가대표팀 명단 질문입니다 [8] 가나초코렛v3552 17/03/04 3552
99003 [질문] 정말 쓸데없는 생각이지만 사드로 반드시 양자택일 한다면 다음중 어느게 그나마 나을까요. [7] Time of my life2918 17/03/04 2918
99002 [질문] [LOL] 선진문물, 숨겨진(+재미있는) 꿀챔 없나요? [22] Paul Pogba5752 17/03/04 5752
99001 [질문] 서울에서 대게 먹으려면? [3] 박현준3525 17/03/04 3525
99000 [질문] [건축, DIY관련] 시멘트 벽돌조 건물에 앙카볼트 박을수 있나요? [6] 니가가라하와��7811 17/03/04 7811
98999 [질문] [다이어트]식단 관련 질문 [5] RyuDo3030 17/03/04 3030
98998 [질문] 트위터 재생할 수 없는 미디어입니다 질문이요. 스터너11733 17/03/04 11733
98997 [질문] 겜덕 커뮤니티 추천해주세요. [4] 편두통2767 17/03/04 2767
98996 [질문] 자전거 이거 살려는데 괜찮나요? [2] hk11613977 17/03/04 3977
98995 [질문] 장례식에 가지 못할 때 부조는 어떻게 하나요? [6] KUN4014 17/03/04 4014
98994 [질문] 도배할 때 기존가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6] 대발4439 17/03/04 4439
98993 [질문] 스테레오 잘 느낄 수 있는 음악 추천해주세요. [2] 이슬먹고살죠3383 17/03/04 3383
98992 [질문] [로건][스포있음] 개인적인 궁금점 [8] pk3568 17/03/04 3568
98991 [질문] 능력물이나 모험물 애니 추천해주세요. [3] 레너블6189 17/03/04 6189
98990 [질문] 골드코인 유나이티드와 매라 근황에 대하여.. 질문합니다 [2] 알콜부이4416 17/03/04 4416
98989 [질문] 남녀공학과 남고,여고중 어디가 더 교육적인 효과가 높을까요? [9] 허무와환상5129 17/03/04 5129
98988 [질문] 자녀가 있으신 유부남 콘솔게임 유저분들께 묻습니다. [23] 키이나3159 17/03/04 3159
98987 [질문] 이런 경우 제가 취할 수 있는 법률적 조치가 존재할까요? [27] tannenbaum3829 17/03/04 3829
98986 [질문] 듀얼 모니터/모니터암 쓰시는 분 계신가요? [3] StillAlive6269 17/03/04 6269
98985 [질문] 광화문에 세월호 리본을 받거나 살수있는 곳이 있나요? [2] 레일리2443 17/03/04 2443
98984 [질문] 소개팅 애프터 상황 질문입니다. [8] 바밤바4773 17/03/04 4773
98983 [질문] 충북혁신도시에서 서울 오는방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4] 삭제됨3020 17/03/04 30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