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03 23:55:13
Name 콰트로치즈와퍼
Subject [질문] 포커 플레이어로써의 임요환과 홍진호는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요환과 홍진호 둘 다 프로게이머를 은퇴하고 나서 포커 플레이어에 도전한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임요환 선수는 간간히 포커 대회 참여/순위 소식이 들려오긴 했는데 대회 수준이나 명성을 몰라서 어느 정도의 활약인지 잘 모르겠고,
홍진호 선수는 제가 들은 바가 없는건지 아니면 실제로 아무것도 없었는지 포커 소식을 들어본 적이 없네요.

그래서 질문은

1. 임요환 선수는 어느 정도 수준의 포커 플레이어인가요?
2. 홍진호 선수는 포커 플레이어라고 부를 만한 경력이 있나요? (방송 엄청 많이 했던거 생각해보면 바빠서 포커 못했을 것 같은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isZero
17/03/03 23:57
수정 아이콘
홍진호는 꽤 일찍 그만 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은 전업 방송인이라고 봐야 될 거에요.
킹보검
17/03/04 00:22
수정 아이콘
홍진호는 지니어스 나올때 이미 포커 접은상태였던걸로 압니다. 시즌1때는 제닉스 팀 감독이었고 그 이후로는 방송인이라고 봐야
래쉬가드
17/03/04 02:15
수정 아이콘
간단히 이야기해서 아직 임요환 선수는 포커 플레이어로서 수준을 논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성과가 미미합니다.
때때로 들려오는 입상소식도 자그마한 대회들입니다. (2016년에 우승한 토너먼트는 스무명 정도 참가한 대회고 상금이 500만원 남짓이었던거로...)
세계 최고 수준의 포커대회는 WSOP 나 WPT 가 있는데 이 대회의 메인 이벤트 토너먼트에서 우승은 못해도 파이널 테이블(최종9명)에 들어간다던가 해도 엄청난 성과겠죠
그게 아니더라도 포커플레이어는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참가하는 대회로 벌어들인 상금으로 흔히 평가되는데 임요환 선수는 딱히 내세울게 없다 싶은 정도입니다.

그런 대외적인 대회 참가 말고 아마 임요환 선수의 주수입원은 온라인 포커룸일 겁니다.
인터넷에서 수십개의 테이블을 한꺼번에 돌리면서 수익을 올리는거죠. 그 수익은 얼마나 내는지 알수는 없죠.
17/03/04 05:25
수정 아이콘
포커 플레이어의 커리어에서 일반인이 알법한 뉴스에 나오는 대회가 차지하는 비중은 극히 미미합니다. 대부분의 포커 플레이어들은 포커 커리어의 중심이 되는 게임으로 대회(토너먼트)보다는 캐쉬게임을 많이 플레이하기도 하거니와 현대 포커의 중심은 온라인으로 옮겨진지 오래이기 때문입니다. 임요환 선수가 토너먼트 올인 선수인지, 혹은 캐쉬와 토너먼트 둘 다를 플레이하는 선수인지 잘은 모르지만 사실상 입상을 하든 못하든 의미가 별로 없다고 봐야죠. 포커 선수의 커리어는 일반인이 짐작하기 어려운게 일반적이니까요.
싸가지
17/03/04 08:33
수정 아이콘
포커 산업에 대해서 기본적인 사항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현재 포커로 먹고살 수 있는 방법은 크게 온라인과 라이브로 나뉩니다. 온라인은 온라인 포커사이트에서, 라이브는 마카오나 베가스 등의 카지노 포커룸에서 플레이를 하죠. 물론 국내 포커룸에서 라이브로 전업을 하는 분도 있습니다.. 불법이지만요.. (대다수 유럽 국가에서는 겜블이 합법이고 온라인도 합법 사이트가 운영됩니다.)

또 게임의 종류로도 나뉘는데 크게 캐쉬와 토너먼트(이하 토너)로 나뉩니다. 캐쉬는 말그대로 자기돈 가지고 하는 일반적인 게임이고 토너라는 것은 특정 참가비를 내고 '칩'을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겁니다. 예를들어 100명이 100불씩 가지고 참가해서 1~10등까지 그 참가비(1만불)을 나눠 가지는 거죠. 월드시리즈오브포커(WSOP) 같은 대회에서 메인이벤트 우승상금이 8백만불에 육박하는 이유는 참가비가 1만불이나 되는데 수천명의 플레이어들이 참가하기 때문입니다.
즉 포커플레이어는 온라인캐쉬,온라인토너,라이브캐쉬,라이브토너 등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고요. 임요환은 여기서 라이브토너 플레이어에 해당합니다. 캐쉬게임 보다는 토너먼트 참가에 주 목적을 두고있죠.

그래서 결론적으로 임요환의 실력은?

전혀 검증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코 좋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들리는 소문에는 그다지 특출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고 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임요환은 온라인으로 먹고살 수 있는 실력이 되질 않습니다. 온라인으로 대기업 직장인 수준 이상의 수익을 내는 사람은 국내에서는 손에 꼽을 정도 적습니다. 굉장한 레드오션이죠. 라이브캐쉬도 마카오 같은 해외생활 할 거 아니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라이브토너 선수로서는 훌륭한가? 토너먼트라는게 워낙에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큰 대회에서 1등을 한번 찍는건 거의 로또급 운이 좋아야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중소규모 대회라도 꾸준히 우승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실력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인데. 임요환은 아직 그런 모습을 전혀 보여주질 못했습니다...
사실 라이브토너 플레이어는 토너 참가비나 항공비, 호텔 숙박비 등 비용이 굉장히 많이들기 때문에 스폰이 없으면 성공하기 힘듭니다. 임요환은 스폰이 있는데도 아직 성공하지 못한거고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아직 '프로'라고 부를만한 수준의 포커플레이어는 아닌거 같습니다. 프로냐 아니냐는 오로지 포커만 쳐서 먹고살 수 있느냐 아니냐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임요환이 과연 포커로 먹고살 실력이 되는지 의문입니다. 포커 기술적인 디테일한 측면에서는 온라인 플레이어보다 떨어질 것이고요.. 라이브에서도 그닥 잘친다는 소문은 듣지 못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989 [질문] 남녀공학과 남고,여고중 어디가 더 교육적인 효과가 높을까요? [9] 허무와환상5127 17/03/04 5127
98988 [질문] 자녀가 있으신 유부남 콘솔게임 유저분들께 묻습니다. [23] 키이나3156 17/03/04 3156
98987 [질문] 이런 경우 제가 취할 수 있는 법률적 조치가 존재할까요? [27] tannenbaum3827 17/03/04 3827
98986 [질문] 듀얼 모니터/모니터암 쓰시는 분 계신가요? [3] StillAlive6265 17/03/04 6265
98985 [질문] 광화문에 세월호 리본을 받거나 살수있는 곳이 있나요? [2] 레일리2442 17/03/04 2442
98984 [질문] 소개팅 애프터 상황 질문입니다. [8] 바밤바4769 17/03/04 4769
98983 [질문] 충북혁신도시에서 서울 오는방법 아시는분 계신가요? [4] 삭제됨3019 17/03/04 3019
98982 [질문] 약의 효능은 어떻게 특정부위 별로 작용하는건가요? [5] legend2960 17/03/04 2960
98981 [질문] LOL 밤의 끝자락 아이템 사용시 이상할 때가 있습니다... [5] 지로3915 17/03/04 3915
98980 [질문] 요새 옷들이 좀 크게 나오는 추세인가요? [5] 삭제됨4836 17/03/04 4836
98979 [질문] 모니터와 컴퓨터 hdmi만으로 사용 가능한가요? [2] 박래혁3516 17/03/04 3516
98978 [질문] 바지를 매일 입으면 빨리 상하는지요...? [10] nexon3766 17/03/04 3766
98977 [질문] 영화 더킹의 류준열 [12] codin5371 17/03/04 5371
98976 [질문] 회사 컴퓨터를 ftp 서버로 이용해서, 집에서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4] 동네꼬마4631 17/03/04 4631
98975 [질문] 이사로 인한 에어컨 이전 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5] Rocket4115 17/03/04 4115
98974 [질문] 집, 연구실과 학교 중 어디에 잡는게 좋을까요.. [2] 스핔스핔2839 17/03/04 2839
98973 [질문] 갤럭시 S7 엣지 블루 코랄 구매했습니다. 잘 산 걸까요? [20] k`3664 17/03/04 3664
98972 [질문] 스팀 멀티게임 질문입니다. [7] 송하나3691 17/03/04 3691
98971 [질문] 취업 상담 올립니다. [2] 호풍자3245 17/03/04 3245
98970 [질문] 슈퍼로봇대전V 1회차 클리어 질문 [4] 하얀사신7230 17/03/04 7230
98969 [질문] 롤 기본적인 질문 [4] 지진2355 17/03/04 2355
98968 [질문] 연애관련 질문드립니다 [5] 소금염3204 17/03/04 3204
98967 [질문] 공대 선배님들 취업하고나서도 전공 교재들 많이 보시나요? [31] 새강이4866 17/03/04 48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