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17 13:55:0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경제력 관련 뻘질문.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17 14:00
수정 아이콘
그냥 자산 10억 가지고 있으면 상위 1%네요.
그것도 유산 등이 있을 테니 순전히 본인이 직접 벌어서 10억 모으면 0.01 아닐까요? 만명중에 한두명?
박지성&호날도
17/02/17 14:05
수정 아이콘
맞벌이 대기업or전문직이면 가능하려나요
17/02/17 14:07
수정 아이콘
부동산 대박 같은거 아니면 상위 1%도 어렵죠
17/02/17 14:10
수정 아이콘
맞벌이 전문직도 어려울 것 같긴합니다.
-안군-
17/02/17 14:15
수정 아이콘
일단 남자라고 가정하고, 군대 갔다오고 졸업하면 대략 27세죠.
그럼 마흔까지 13년입니다. 대충 3년간은 사회생활 배운다 치고, 10년동안 평균적으로 1년에 1억씩 모아야겠네요.
...음 일단 왠만한 직장으로는 불가능하겠군요. 의사/변호사 등의 전문직은 더 힘든게, 여긴 제대로 시작하려면 5년 정도 더 걸리거든요.
게다가 의사/변호사의 수입이 생각처럼 많지도 않고요, 연소득 1억 이상 되려면 상위 0.01% 정도??

제일 가능성 높은 방법으로, 20대에 톱스타 연예인이 되는게 가장 확실할 것 같습니다.
공짜요플레
17/02/17 16:25
수정 아이콘
10억 모으는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서도... 의사/변호사 중에 연소득 1억 이상이 0.01%라는건 과장이 아니신지.
의사가 한국에 10만명 좀 넘는데 말씀하신대로라면 연소득 1억 이상 버는 의사가 전국에 10명 뿐이라는 얘기잖아요.
-안군-
17/02/17 16:25
수정 아이콘
아... 전체 국민 중에서... 라는 뜻이었습니다;; 과장 맞고요.
공짜요플레
17/02/17 16:33
수정 아이콘
아하 그런 의미셨군요.
cadenza79
17/02/18 04:50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전국민을 기준으로도 0.01% 안에 들려면 10억 넘게 벌어야 합니다.
근로소득자가 1700만쯤 되거든요. 10억 이상이 2000명 수준이고, 1억 이상은 50만 명 수준입니다.
사실 1억 정도 가지고는 전체 근로소득자를 기준으로도 3% 수준이라는...
소독용 에탄올
17/02/17 14:18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임노동자 상위 10%평균임금이 1억 언저리인데 약 10여년간 10억은 1억대 연봉을 받는 사람이 생활비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저축했을때나 달성가능한 수치입니다.
공평한 1/8,145,060확률에 의존하는게 가장 확률이 높지 않을까 합니다....
Paul Pogba
17/02/17 14:20
수정 아이콘
진짜 완전 대충 널널하게 써서
대학 나와서 30살에 대기업 일반적으로 초봉 실수령 5천에 들어간다쳐도 숨만쉬고 10년 5억이네요
학자금이니 주거자금이니 빚도 없어야함
걸어다니고 밥도안먹고 여가 취미 다 포기

전문직은 실상 돈벌기 시작하는 시간이 더 늦으니
숨만쉬고 실수령으로 1억벌어도 10년인데 시간이 모자르죠

진짜 소수의 초고액연봉직이나(연봉 2-3억이라도 세금 어마어마해서 생활비같은거 다 빼면 빠듯할듯요)
사업대박이어야....
예쁜여친있는남자
17/02/17 16:11
수정 아이콘
전문직들도 보통 30살 전후해서 커리어 시작하는 경우 많아요.. 저도 20대 중반에 시험 붙고 졸업하자마자 바로 진입했는데 동기들 중에 그런친구 꽤 있었습니다.
Paul Pogba
17/02/17 18:25
수정 아이콘
네 그러니까 최대한 대충 널널하게 써'도' 저렇다는거죠
17/02/17 14:22
수정 아이콘
재테크 없는 순자산 10억이 마흔전에 달성 되려면 최소 실수령 연봉이 안쓰고 안먹고 숨만 쉬어도 경제활동 가능 나이를 20살로 봐도 연에 5천인데요..
17/02/17 14:26
수정 아이콘
제가 방법 하나 아는데요. 대기업 건설사 가서 27부터 해외현장 오지만 골라서 13년 돌면 됩니다. 크크
17/02/17 14:45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bj 추천합니다
CathedralWolf
17/02/17 14:51
수정 아이콘
현재 만 31세인데 전세금 집에서 지원받은거 빼고 한 1.3 정도있군요.
근데 변호사면 가능할것 같네요.
Aragaki Yui
17/02/17 15:03
수정 아이콘
사업성공,주식대박,아이돌,유명bj,로또,카지노
전문직으로는 전문직내에서도 또 상위1퍼는 찍어야될듯...
17/02/17 15:55
수정 아이콘
빚 없이 시작하고 맞벌이 전문직이면 가능은 하겠네요.
예쁜여친있는남자
17/02/17 16:13
수정 아이콘
얼마나 버냐보다 얼마나 쓰냐가 관건일듯.
빚 없고 와이프도 제 직업에 최소합으로 생활하면 가능할듯 그러나 삶의질은 약 일개미급
파랑파랑
17/02/17 16:28
수정 아이콘
10억......크
바닷내음
17/02/17 17:23
수정 아이콘
일단 마흔 되기 전에 총수령급여가 10억이 되느냐 묻는거부터가 예의입니다 ㅠㅠ
IRENE_ADLER.
17/02/17 17:53
수정 아이콘
페이로는 어렵고 여성이면서 조기개원한 의료인의 경우가 제일 먼저 떠오르긴 하는데 그 수가 많진 않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264 [질문] 아이폰7을 사는 가장 좋은방법이 뭘까요? [6] Kaga3709 17/02/18 3709
98263 [질문] 일본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후쿠오카, 교토) [3] 현실적인3334 17/02/18 3334
98262 [질문] 술에 안 취하는 게 몸엔 더 해로운걸까요? [4] 알토이스3300 17/02/18 3300
98261 [질문] 10만원권 지폐가 나온다면 지폐에 넣고싶은 인물이 있으십니까..? [34] 삭제됨5137 17/02/18 5137
98259 [질문] 안드로이드 태블릿 추천좀 해주세요 [2] 최초의인간4514 17/02/18 4514
98258 [질문] 핸드폰 구매 궁금한점이있습니다.. [24] Artanis4104 17/02/18 4104
98257 [질문] 서울 노원구 쪽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중계, 상계, 하계) [11] Neo4286 17/02/18 4286
98256 [질문] [NBA] 샤킬오닐+노비츠키면 조던을 제칠 수 있을까요? [16] 엄마를화나게하는방법5318 17/02/18 5318
98255 [질문] [스타1] 빅파일 4강 이영호 vs 정명훈 [10] 껀후이4939 17/02/18 4939
98254 [질문] 보도자료 쓰는것 관련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6] 소금염2426 17/02/18 2426
98253 [질문] [컴알못] pc를 와이파이로 연결하고싶은데 잘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7] 토요일에만나요12477 17/02/18 12477
98251 [질문] [건강] 간이 안좋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4] 별풍선5206 17/02/18 5206
98250 [질문] 구형전자기기들 어떻게 처분하시나요? [4] moqq4136 17/02/18 4136
98249 [질문] 무기자차 선크림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챙이5137 17/02/18 5137
98248 [질문] 여행자 보험 관련 질문입니다. [2] 김철(32세,무직)2523 17/02/18 2523
98246 [질문] 디스아너드1 할만한가요? [10] 삭제됨6543 17/02/18 6543
98245 [질문] [영화] 재심 재밌나요? [5] 아스날3288 17/02/18 3288
98244 [질문] [유부] 애기 세탁기 [24] 사신아리4318 17/02/18 4318
98242 [질문] 밀크시슬이랑 아르기닌은 휴식기를 어떻게 가져야 하나요? [1] 버스를잡자7193 17/02/18 7193
98241 [질문] 남자 니트를 추천했다가 욕을 먹었는데 옷고수님들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8] 프리템포4739 17/02/18 4739
98240 [질문] 생각보다 키가 크시네요? [13] 나른한오후5269 17/02/18 5269
98239 [질문] 군산에 숙박 할 사우나 있을까요? [2] 정 주지 마!3132 17/02/18 3132
98238 [질문] 하드를 샀는데 어떻게 끼나요? [2] 레너블3237 17/02/18 32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