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19 11:57:33
Name 득이
Subject [질문] 누님 자전거를 사드려야 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몇달 전 부터 누님께서 자전거 전국 일주를 하시겠다며 자전거를 알아봐달라고 하십니다.  (참고로 누님은 자전거는 완전 초보이고, 몇년 전에 혼자 서울 부산 걸어서 갔다오셨습니다.)
전 혼자서는 걷는 것과 달리 위험하니 말리는 상황이었지만,  본인의 강한 의지+한방 종주가 아닌 몇회에 나누어 하는 것으로 합의를 하고 제가 자전거는 사주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어제 간단히 입문용 로드 정도 검색해보고 (자이언트 scr2 , 스컬트라100 등) 샵에 가봤습니다.
샵 사장님께 현재 상황을 말씀드렸더니 단체 라이딩 아닌 혼자 설렁설렁 탈거라면 자세 불편한 로드보단  하이브리드가 낫지 않겠냐고 하셨습니다.

피지알 질게에서도 하이브리드 추천글을 많이 봤는데 대부분 운동용, 출퇴근용이라 저가형을 많이 추천하시던데 저희 누님의 상황에서도 30만원 밑의 제품 상관없을까요?

요약하자면 한방에 가는게 아닌 하루정도씩 목표지점을 찍고 돌아오는 국토종주에서 초보자가 탈만한 자전거와 가격대를 추천 부탁드립니다.

ps.가격대는 합리적이었으면 하는 것이.. 누님 성격 상 이번 자전거 한번 타시고 나면 다른 용도로는 안타실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그렇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19 12:34
수정 아이콘
2~30만원대면 충분한거 같은데, 자전거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하이브리드나 MTB 계열로 가셔야 할거 같네요.

자전거보단 부가용품이 더 중요한 상황으로 보여요. 자전거 안타다 이런 식으로 장거리 가려면, 엉덩이> 손바닥 순으로 정말 아프다 하네요. 장갑이나 헬맷 같은 안전용품도 그렇고, 자전거 타이어 구멍 났을 때 때울 기술이 가장 중요해 보이는데...

국도에서 나뭇가지만으로도 MTB 타이어가 구멍나고(안 빼면 몇키로 어거지로 갈 수 있지만, 결국 체력과 더 큰 문제로 다가와서) 혼자서 타이어 빼고 구멍 찾아 떼우는게 해봐야 가능한걸 알거든요(일단 타이어 고무가 생각보다 튼튼해서 잘 안 빠지고, 강한 충격으로 인해 림에 찍혀서 난 구멍은 뱀눈이라고 두군데 나기 때문에 둘 다 때워야 하고, 정 안되면 튜브를 그냥 교체하는게 더 쉬울수도 있고). 관련 용품은 휴대용 펌프나 요즘 유행하는 건 co2캡슐 같은게 2~3만원에, 비상용 튜브가 만원 정도 할테고요.

정리하면 가격 20만원대 이상의 알루미늄 프레임에 뒷쇼바 같은거 없는 깔끔한 모델이면 전부 다 가능하고, 기타 부가용품에(안장을 여성용으로 바꾼다거나, 장갑, 헬맷, 펌프, 튜브 등) 5-7만원, 나머지는 경험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17/02/19 12:46
수정 아이콘
정확히 루트가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는데 그 도장 찍어주는 자전거 도로로 간다고 한거 같습니다.(무슨 여권 같이 생겨서 스탬프 찍는거도 벌써 샀더라구요)
잘할지 모르겠지만 간단한 자전거 리페어 기술은 가기 전에 알려주려구요...
17/02/19 13:05
수정 아이콘
아 크크크 5대강 따라서인가 보네요. 전 서울 부산 왕복 하셨다길래 국도나 오프로드 상상이 가서 놀랐거든요. 여긴 오히려 속도가 더 중요해서 로드도 타실줄만 안다면 나쁘지 않을거 같아요. 사람도 많고, 펑크나도 좀 걷거나 손들고 있음 고쳐주실 장소나 사람도 꽤 있는 곳이거든요. 험한 직진 루트에서 우회하지만 길은 좋아져요. 가본 길이 많진 않지만, 오히려 걷는것보단 안전할거 같아요. 여긴 자전거 관련 기술보다 자전거 관련 어플(어디까지 얼마나 남고 시간 얼마나 걸릴지, 주변 자전거샵이나 먹거리 정보 등)잘 활용하는게 더 편할 듯 싶네요.

그리고 자전거 내구성이 일정 수준 넘어가면 가격에 비례 하는게 아니라,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되세요. 하이브리드가 생활용이긴 한데, 더 높은거 타시려면 유사 MTB 계열에서 타이어만 블록 없고 얇은 걸로 바꿔끼시면 똑같은 효과에요(교체비 2만원?). 의외로 타이어 제외하면 혼자 타는 일반인 속도에서 로드나 mtb나 그리 차인 없을 거에요. 너무 레져로 가면서 가격이 부풀려 져서 그렇지, 2~30만원대면 넘치는 성능과 안정성이에요. 주로 투어러 모델이라고 하는데, 대체로 무겁고 튼튼한게 목적이라 유명브랜드도 50만원대 주변으로 과하지 않은데 오프로드 감안한거라 여기선 전혀 상관이 없네요.

위에서 언급을 잊었는데, 선택이지만 짐받이 2~3만원대 하나 다시면(자전거 모델 따라 못 달수도) 어깨랑 허리 부담이 정말 줄어드시고, 핸드폰 거치대 달면 속도나 지도 보면서 재미가 생기는 식으로 자전거 자체보단 부가용품으로 인한 효익이 처음엔 더 크실거에요. 관련 비용도 생각보다 많이 들어서 처음에 다 갖추기 보단 예산 내에서 필요성에 따라 찾으시는게 좋을테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397 [질문] 예의바른 신입 vs 친화력좋은 신입 [32] Genius8406 17/02/21 8406
98396 [질문] 층간소음이 있는데 어찌처리하는게 현명할까요? [4] 콩콩지3172 17/02/21 3172
98395 [질문] 허리디스크 때문에 도수치료 해보신분 계신가요? [21] fRtJ14607 17/02/21 14607
98394 [질문] 광주 상무지구 숙박 문의 [5] 그리움 그 뒤3841 17/02/21 3841
98393 [질문] 일상 생활 하면서 나이 많으신 분들의 반말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50] 삭제됨10699 17/02/21 10699
98392 [질문] 엠티 장소 및 프로그램 질문드립니다. [7] 프리템포3682 17/02/21 3682
98391 [질문] ps vita와 단간론파 질문입니다 [9] RookieKid6929 17/02/21 6929
98390 [질문] 부모님 자전거 추천부탁드려요. [3] OneDayMore3113 17/02/21 3113
98389 [질문] 보드게임 뱅 규칙 질문입니다. [11] 회전목마6384 17/02/21 6384
98388 [질문] 혹시 카톡설정 잘아시는분 계시나요? [2] 날건지다6618 17/02/21 6618
98387 [질문] Wunderilst 완벽 대체 프로그램 있을까요? [6] SaiNT3271 17/02/21 3271
98386 [질문] 펀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민트초코우유3501 17/02/21 3501
98385 [질문] [운동기구] 에어바이크 질문입니다. [1] 재입대3732 17/02/21 3732
98384 [질문] [섀버] 진로상담 [11] 으컁/3601 17/02/21 3601
98383 [질문] 눈 다래끼 났을때 대처법 [9] Luv (sic)7117 17/02/21 7117
98382 [질문] 4인용 보드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24] 크랜베리10549 17/02/21 10549
98381 [질문] 컴퓨터 본체 소음 원인의 순서는 어떻게 되나요? [9] 이슬먹고살죠6830 17/02/21 6830
98379 [질문] 초보가 PC에서 게임패드를 써보고 싶습니다. [7] OPS9058 17/02/21 9058
98378 [질문] 할인율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4] 삭제됨4385 17/02/21 4385
98377 [질문] 세대원이 임대료 납부할 경우 소득공제 될까요? [3] jh63503856 17/02/21 3856
98376 [질문] 파이널판타지 할인중.. 추천부탁드려요! [3] MagicMan3809 17/02/20 3809
98375 [질문] 완제품(?) 조립 pc 질문입니다. [4] Rorschach4306 17/02/20 4306
98374 [질문] 듀얼모니터 색상이 다릅니다. [2] PEPE4482 17/02/20 44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