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14 23:23:55
Name 박현준
Subject [질문] 연말정산시 돈을 토해내는 경우도 있나요?
이제 4년차 직장인 입니다. 이번 연말 정산후에 70만원 정도를 오히려 내야 한다는데 이런 적이 처음이라 질문 올려 봅니다. 항상 이삼십만원 정도 돌려 받았는데 이번년도는 갑자기 돈을 내라니 그것도 70만원이나... 당황 스럽네요. 재산이 따로 생긴것도 없고 소비도 거의 버는만큼 썼는데 그냥 내야하나요? 아니면 어떤 조취를 취해야 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7/02/14 23:33
수정 아이콘
전년에 비해 연봉이 급작스럽게 오른 경우 토해내게 됩니다..
박현준
17/02/14 23:40
수정 아이콘
네 그렇군요... ㅠ
유유히
17/02/15 08:03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ㅠㅠ
아드오드
17/02/14 23:34
수정 아이콘
네 그게 바로 접니다. 30만원 토해냅니다.
타츠야
17/02/14 23:36
수정 아이콘
1. 이전에 연말정산 공제가 되었던 금액이 공제가 더 이상 안 되면 과세대상 금액이 올라가니 더 낼 수 있습니다.
2. 윗분 말씀데로 연봉이 많이 올라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3. 혹시 중간에 이직을 하셨다면 이직 과정에서 벌써 중간정산이 되니 거기에서 돌려받은 금액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4. 재심 청구는 없고 혹시 공제 받을 항목이 있는데 빠뜨렸다면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기간에 추가로 신고하시면 됩니다.
박현준
17/02/14 23:40
수정 아이콘
아 연봉이 많이 오르긴 했는데 그만큼 다 써도 의미가 없나 보네요. 감사합니다. 그럼 매년 이렇게 추가로 내야 하나요? 아니면 전년대비 많이 오른 다음해에만 많이 내는건가요?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7/02/14 23:48
수정 아이콘
'16년도 소득세는 '15년도 기준으로 '추정'해서 월급받을 때 납부했기 때문에, '15년에 비해 '16년에 연봉이 많이 올랐다면 원래 내야할 소득세보다 적게 낸 셈이 되어, 그 차액분을 연말정산으로 추징해가는겁니다.

따라서, '17년 연봉이 '16년 연봉에 비해 크게 오르지 않았다면 올해처럼 많이 토해내는 일은 발생할 확률이 높지 않습니다.
박현준
17/02/15 00:0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스웨트
17/02/15 00:17
수정 아이콘
저 좀 이해가 안가는게 연봉이 오르는데 왜 연말정산시에 토해내는지 모르겠네요?
16년에 연봉이 인상한다고 소득세를 15년 기준으로 내는것도 이해가 안가구요.
16년에 연봉이 인상되는경우에 인상되는만큼 소득세를 매기는데, 다른 곳은 예전에 내던 소득세 그대로 내나요???
사랑과전쟁
17/02/15 00:31
수정 아이콘
오른 연봉을 바로 적용하여 원천징수를 하니 설명이 조금 잘못된거 같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건보료에 가까운 내용인거 같네요
타츠야
17/02/14 23:52
수정 아이콘
아시겠지만 매년 연말공제대상이 바뀌거나 연말공제금액이 바뀌기 때문에 내년 것을 미리 예측하긴 어렵습니다.
다만 오른 연봉만큼 달마다 월급에서 떼가는 세금이 늘어나니 연말정산 후, 토해내더라도 지금만큼 많이 내진 않을 겁니다.
절세 및 저축 효과 있는 연금 저축 금액을 늘리거나 부모님의 조건이 부양조건을 충족한다면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돌리거나 하는 다양한 절세 방법이 있으니 미리 알아보세요.
박현준
17/02/15 00:06
수정 아이콘
좋아요 버튼이 절실하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아만자
17/02/15 00:00
수정 아이콘
간략하게 말씀드리면 세금은 1년간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서 책정되며, 책정된 금액과 매월 낸(월급에서 공제된) 금액을 비교해서 덜 냈으면 더 내고 더 냈으면 돌려받는 것입니다. 결국 매월 세금을 냈어야할 금액보다 덜 내셨기 때문에 연말 정산 후에 더 내게 되시는 겁니다.

중간 답변 중에 '연봉이 많이 오르긴 했는데 그만큼 다 써도 의미가 없나 보네요' 등으로 말씀하신 것으로 보아 세금이 책정되는 방식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하시는 것 같습니다. 4년차 직장인이라면 세금이 책정되는 방식과 연말 정산을 왜 하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셔야 좋을 것 같습니다.
박현준
17/02/15 00:08
수정 아이콘
아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보네요. 월급낼 때 소득에 대한 세금을 미리 냈기 때문에 소비를 할 때 세금이 중복으로 발생해서 소비를 많이 하면 그만큼 돌려 받을게 많게되는 식이라 대충 이해 했었습니다. 관심이 별로 없었는데 막상 큰돈이 나가게 되니 갑자기 관심이 생기네요 ㅠ
아만자
17/02/15 00:19
수정 아이콘
소득에 대해서는 직접세를 내고요, 소비에 대해서는 간접세(부가가치세... 크흡)을 내게 됩니다.
신용카드나 현금 영수증의 사용금액에 대해서 일정 부분 소득공제를 해주는 이유는 현금 거래 등으로 인해 불분명한 자영업자 등의 소득을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현재 상당부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상태이기 때문에 신용카드 소득 공제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cadenza79
17/02/15 00:59
수정 아이콘
소비의 액수와 소득세는 관계가 없습니다.
소비 중에서 근로에 필수적인 비용만 공제가 될 뿐입니다.
예컨대 건강보험료 같은 경우에는 무조건 떼는 것이고 아프면 혜택을 받으니까 건강보험료는 안 번 걸로 쳐준다 / 국민연금은 나중에 늙어서 받을 때 세금을 뗄 예정이니까 지금 내는 연금보험료는 안 번 걸로 쳐준다 이런 식이 되는 것이지요.
또 사람이 병으로 고장나면 일을 못 하니까 소득의 3%가 넘는 치료비를 지출한 큰 병이 나면(3%까지는 정상범위내로 보는 것입니다) 그 초과한 치료비 부분은 돈을 안 번 걸로 쳐준다 이런 식인 것이지요.
나머지 내용은 아만다님 댓글대로이구요.

달마다 떼는 것이 바로 원천징수입니다.
원래 소득세는 1년 단위로 계산하는 것이고 실제로 사업소득자들은 5월에 전년도 세금을 한번에 몰아서 냅니다.
그런데 근로소득자들에게까지 1년치를 한꺼번에 내라고 하면 다 쓰고 막상 세금낼 돈이 없어서 체납자를 양산할 가능성이 높으니 사용자에게 원천징수의무를 부과해서 약식으로 계산되어 있는 원천징수표에 따라 달마다 미리 세금을 떼어 내도록 하는 것입니다.
물론 제대로 된 세금 계산은 다음해 5월에 다시 하는 것인데요.
근로소득만 있는 사람은 5월까지 갈 필요 없이 2월의 연말정산으로 때우고 끝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연말정산에서 실수한 것이 있으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하여 다시 고칠 수도 있습니다.
토폴로지
17/02/15 00:33
수정 아이콘
120만원 토해냅니다.
cadenza79
17/02/15 00:54
수정 아이콘
사실 더 내든 돌려받든 그건 별 의미가 없습니다.
결정세액란의 금액이 중요하지요.
원천징수 때 적게 떼면 더 내는거고 원천징수 때 많이 떼면 돌려받을 확률이 올라가는 거죠.
다만 이 원천징수는 대략 계산해서 떼는 거라 독신자 같은 경우에는 연말정산 때 더 낼 확률이 높아지고, 다자녀 세대주 같은 경우에는 연말정산 때 돌려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원천징수는 본인이 80%나 120%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무 요청도 안 하면 100%로 떼구요.

즉 원천징수를 적게 할수록 경제적으로는 이득입니다. 아주 미미하지만 이자 차액이 발생하니까요.
하지만 원천징수를 적게 해서 나중에 정산결과 더 많이 내게 되면 2월 월급이 사라지는 기적을 볼 수도 있게 됩니다.
남편이 몇 년 전 2월에 실수령액 12만 원을 받아온 적이 있습니다.
사실 더 내야 하는 세금이 2월 월급보다 더 많았는데, 그건 너무하니까 나머지는 3월 월급에서 떼기로 하고 상징적으로 12만 원만 남긴 거죠. 한 달 월급이 사라지니까 어벙벙하더랍니다.
그 다음부터는 원천징수를 그냥 많이 하라고 했다더군요.
17/02/15 01:09
수정 아이콘
요즘은 토해내는 금액을 3개월에 분납할 수 있는 방법도 있던데, 부담되는 금액이시라면 한 번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17/02/15 07:23
수정 아이콘
토해내는 사람 많을껄요..
40대 유저
17/02/15 10:16
수정 아이콘
지지맨님 오랜만이네요. 인적공제로 돌리는것이 제일 현명하다고 어깨너머로 배웠습니다. 올해 잘 연구 해 보시면 내년에는 돌려 받으실수도..?
박현준
17/02/15 12:19
수정 아이콘
조금 알아봤는데 예를들어 어머니를 부양가족으로 지정하면 연 150만원을 공제 해준다는데, 년 150이 내 연봉에서 150만큼을 덜 번걸로 쳐준다는 건가요? 그럼 큰 의미는 없을거 같아서요.
17/02/15 13:18
수정 아이콘
다른 조건은 다 동일하고 인적 공제 150이 붙으면 과세표준 4800만원 이하에서는 세금22.5만원이 줄어듭니다.
possible
17/02/15 10:22
수정 아이콘
작년 70, 올해 80 토합니다. 흑흑
박현준
17/02/15 12:20
수정 아이콘
축하(?) 드립니다 ㅠ
눈물보다빨리
17/02/15 12:39
수정 아이콘
매년 백만대 토해내서 이젠 머 그러려니해요 일 적게 하고 돈 적게 받아서 세금 덜 내야하나 했었는데 그럼 결국 제 수입이 줄어드는거니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069 [질문] 연말정산시 돈을 토해내는 경우도 있나요? [26] 박현준10226 17/02/14 10226
98068 [질문] 이번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의 스포를 봐버렸는데 [7] 초갈3373 17/02/14 3373
98067 [질문] 교통법규위반 과태료나 법칙금 은행납부할때 수수료 내야하나요? [5] 부폰3143 17/02/14 3143
98066 [질문] pt 관련 질문입니다 [9] 삼미슈퍼스타즈3320 17/02/14 3320
98065 [질문] 대전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큭큭나당3857 17/02/14 3857
98064 [질문] 현대차 노조가 그렇게 악질(?)인가요??? [22] Dow7063 17/02/14 7063
98063 [질문] 안드로이드 어플의 서버 ip를 추적가능할까요? [4] Blooder3418 17/02/14 3418
98062 [질문] 노래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7] 자유형다람쥐3816 17/02/14 3816
98061 [질문] 회사 생활에 적응을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9] 아름답고큽니다6827 17/02/14 6827
98060 [질문] 포 아너 실행 오류 관련 질문드립니다 redder10142 17/02/14 10142
98059 [질문] 4TB하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몽유도원6728 17/02/14 6728
98058 [질문] [LOL] 질문 있습니다. (원딜, 정글) [5] 쉘든3801 17/02/14 3801
98057 [질문] 어플도 설치 후 삭제하면 레지스트리 등이 남는지요...? [4] nexon3868 17/02/14 3868
98056 [질문] [클래시로얄] 이거 사야하나요??? [3] 수박이박수2765 17/02/14 2765
98055 [질문] 이어폰마이크? 를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7] 정공법23335 17/02/14 23335
98054 [질문] TV 화면 어떻게 닦으시나요? [3] HALU3606 17/02/14 3606
98053 [질문] 아이에 성별을 미리 정할수가 있나요? [21] 레너블3997 17/02/14 3997
98052 [질문] 친자확인 (간이) 검사는 대학원 실험실에서도 가능하지 않나요? [2] 예루리3447 17/02/14 3447
98051 [질문] [PC조립] 팁그룹(Teamgroup) 메모리 쓸만한가요? [2] 곡사포5328 17/02/14 5328
98050 [질문] 대학 선택관련 질문입니다(교대 서성한 인문) [25] 하카세5426 17/02/14 5426
98049 [질문] 정선카지노 질문입니다. [10]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3538 17/02/14 3538
98048 [질문] 소개팅 후 거절 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1] 카푸치노7343 17/02/14 7343
98047 [질문] 주식용 공인인증서 질문입니다. [5] 기다리다3814 17/02/14 38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