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13 17:44:01
Name UniYuki
Subject [질문] 물리 관련 질문입니다
1. 엔트로피가 증가하면 물질들이 궤 안에서 더 고르게 분포하고, 엔트로피가 감소하면 물질들이 궤 안에서 더 불규칙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엔트로피를 무질서량이라고 하는 걸 보니 혼동이 오네요. 무질서량이 증가하면 더욱 불규칙적으로 분포해야 하는 거 아닌가 싶고요. 어떤 부분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걸까요?

2. 고체의 용해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데 왜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와 반비례 관계를 갖나요? 또, 비행기나 고지대에서 물이 빨리 끓는 현상과 쉽게 취하는 현상을 용해도와 압력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나요?

3. 벡터는 아~주 간단하게 말해서 공간으로 해석해도 큰 무리는 없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13 17:59
수정 아이콘
1. 궤 안에 있는 물질을 쓰레기라고 보시고 쓰레기가 한쪽으로 치워져있으면 정돈이 되있는거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2. 액체가 뜨거울수록 분자들은 빨리 움직이기 때문에 안에 있는 기체의 운동에너지도 높아지고 날라갈 확률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3. 벡터는 단순히 화살표의 방향과 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은때까치
17/02/13 18:03
수정 아이콘
물리를 아주 잘 아는건 아니라 틀릴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1. 무질서도가 최대일 때, 즉 완벽하게 무작위적으로 물질을 궤 안에 분포하게 한다면 오히려 그 분포는 확률적으로 굉장히 고르게 됩니다.
가장 간단한 예로 확산이 있지요. 무작위로 움직이는 분자들이 한 곳에 모여있는 상황은, 확률적으로 거의 불가능한, 굉장히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뭔가 에너지나 외력이 필요하고요. 그렇기에 무질서도가 낮은 겁니다. 반대로 분자들이 어떠한 경향성도 없이 자유롭게 무작위로 움직이게 되면,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는 모든 공간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일시적으로 어떤 경향성이 생겨도 곧 완벽한 무작위 상태로 돌아오지요.

2. 분자의 운동 속도가 일반적으로 고체<액체<기체이기 때문입니다.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는 용해도와는 무관하지만, (두 물질이 섞여 있는게 아니므로...) 분자의 운동 속도 관점에서 해석하면 자연스럽습니다. 비슷한 맥락이네요.

3. 벡터는 방향과 크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어입니다. 크기를 가진 방향, 이라고 하면 가장 간단하게 묘사한 것이겠네요.
Arya Stark
17/02/13 18:04
수정 아이콘
엔트로피를 확률적으로 설명하면 더 랜덤하려는 성향을 말합니다. 불확정성이 높아지는 것은 가능한 모든 경우에 고르게 확률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더 고르게 분포하는 성향을 띄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7/02/13 18:07
수정 아이콘
1. 불규칙이라는 단어 때문에 혼동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무질서도가 작다의 뜻은 질서가 높다는 뜻이고, 무질서도가 크다는 건 질서가 없어진다는 뜻이지요.
책상을 예를 들자면 처음의 잘 정돈된 상태는 무질서도가 낮은 것(질서가 높은) 것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질서도(질서가 감소)가 증가합에 따라 어지럽혀지는 것이지요.

이를 다시 물에 각설탕이나 잉크를 떨어뜨린 자연적인 상황으로 치환해보시면 이해되실 겁니다.

2-1. 녹는 다는 건 결국 액체 분자 사이에 용해되는 물질이 돌아다닐 수 있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온도가 높을 수록 액채 분자와 고체 분자의
상호작용이 높아져서 잘 녹겠죠. 그런데 기체는 기본적으로 액체보다 가벼우니, 액체의 온도가 높으면 기체도 에너지가 높아서 액체와 있기보다는
공기 중으로 잘 빠져나갈 겁니다. 따라서 용해도가 낮아지겠죠.
2-2. 끓는 현상은 액체 속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관이 없다고 할 수는 없겠네요.

3, 벡터는 아~주 간단히 말해서, 방향과 크기를 갖는 실존하는 물리량입니다. 반대로 크기만을 갖는 물리량은 스칼라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속도를 표시하려면 방향(방위)와 크기(속력)이 있어야 정확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벡터의 조건을 충족합니다. 하지만 속력은
크기만 있으므로 스칼라가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건 기본적인 물리에서 벡터의 의미고, 실제로는 벡터의 의미를 대수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질문의 범위를 초과하는 듯 해서 여기까지 답변드리겠습니다.
self.harden()
17/02/13 18:34
수정 아이콘
3. 벡터를 화살표로 흔히 표현하긴 하지만
행렬처럼 여러 개의 숫자를 한꺼번에 담은 변수라고 생각하는 것이 좀더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공간좌표도 그런 성질을 가졌죠.
한 점을 3개의 숫자 (x,y,z) 좌표로 표현하죠?
그래서 공간을 벡터로 표현하는건 아주 일반적이지만
반대로, 모든 벡터를(힘, 속도, 전자기장 등) 공간으로 생각하는건 벡터 개념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17/02/13 23:40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877 [질문] 작년에 쓴 자기소개서를 같은 기업에 다시 써도 될까요? [4] 취업하고싶어요10914 17/03/02 10914
98876 [질문] 방금 끝난 3경기 애쉬가 아니였다면 어땠을까요? [10] Emumu3559 17/03/02 3559
98875 [질문] 카메라 추천 부탁 드립니다! 소니 RX100 M5 vs 파나소닉 LX10 [8] 76to6910810 17/03/02 10810
98874 [질문] 노트북 도움이 필요합니다. [3] WraPPin3102 17/03/02 3102
98873 [질문] 울산에서 국방어학원 가는 길 질문.. [3] aDayInTheLife2951 17/03/02 2951
98872 [질문] 이제 카톡 차단 확인하는게 상대방한테 뜨나요?? [9] 삭제됨9427 17/03/02 9427
98871 [질문] 2개의 기계식 키보드중에 하나 골라주세요 [3] 회전목마2666 17/03/02 2666
98870 [질문]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게임도 있나요? [14] 마르키아르3112 17/03/02 3112
98869 [질문] 부동산 가계약금 입금후 매수자(본인) 변심시 환불가능여부 [4] 파란별빛11137 17/03/02 11137
98868 [질문] 올뉴쏘렌도 뒷좌석 등받이 눕힐 수 있나요? [3] 아찌빠3828 17/03/02 3828
98867 [질문] 혹시 '추나요법' 받아보신분 계시나요? [2] 부모2804 17/03/02 2804
98865 [질문] 임신 가능성에 대해? [10] iPhone74897 17/03/02 4897
98864 [질문] 프린터기(복사기능)가 이상있는 걸까요? 정공법3251 17/03/02 3251
98863 [질문] 시계 해외구매대행 사이트 술팬더2623 17/03/02 2623
98862 [질문] 인터넷을 바꾸려 하는데 몇가지 질문입니다 [6] 다레니안3135 17/03/02 3135
98861 [질문] [신행] 이탈리아 스위스 이동경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초키초킥2512 17/03/02 2512
98860 [질문] 한글에 사진 넣으려는데 잘 안되는데요 [4] 삭제됨4863 17/03/02 4863
98859 [질문] 안드로이드 개발 언어가 바뀔 가능성이 높은가요? [10] 1llionaire5599 17/03/02 5599
98858 [질문] 안드로이드 카메라 어플 뭐가 좋을까요 [6] 하얀사신3890 17/03/02 3890
98857 [질문] 부부가 순차적으로 사망했을 시 상속세 질문입니다. [2] 사막여우5142 17/03/02 5142
98856 [질문] 퇴직연금의 연말정산시 공제 관련 질문입니다 [1] 정지연2888 17/03/02 2888
98855 [질문] 인터넷으로 받은 영상을 TV로 볼경우 화질이 어떤가요? [8] 성기사4851 17/03/02 4851
98853 [질문] 43인치 TV 교체 고민 (부모님방용) [5] _zzz3588 17/03/02 35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