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18 16:15:10
Name iphone5S
Subject [질문] 사회초년생 재테크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막 밥벌이를 시작한 사회초년생입니다.

학생일때는 고민없었는데 돈을 벌기시작하니 한달에 100만원정도가 자꾸 월급통장에서 놀고있어 어떻게 관리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수입은 세후 월 200-215에 통장은 월급통장이자 주거래통장 하나. 월10씩 나가는 주택청약 두가지뿐이고.

통신비 ,교통비(자차는 없습니다.) ,식비, 등을 포함해서 월 50-70정도의 고정지출이 있습니다.

주식은 적은돈 다잃더라도 한번쯤은 경험해보고 싶고.

이후  크게는 결국 주식, 적금,  펀드 라는 생각은 드는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전혀 방향을 잡을 수가 없어서 질문 올립니다.

이것 저것 다 좋으니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말년행보관
17/01/18 16:19
수정 아이콘
안쓰는게 제테크에요.
수익성많으면 위험성도 증가하고 거기에 신경쓰는것도 많아져요.
위험성없고 수익성많은게 있다면 사기고.
푼돈 딱 한정해서 주식한번 해보시는게 좋을거같네요.
덴드로븀
17/01/18 16:21
수정 아이콘
1. 절약
2. 절약
3. 적금
4. 예금
5. 경제 공부 (주식/세계경제/펀드/금/비트코인등등)
6. 주식 공부
7. 주식 (극소량부터 시작)
칼퇴추구자
17/01/18 16:33
수정 아이콘
우선 목돈 모으는거부터 시작입니다. 저는 작년에 150만원 적금하고 달에 10만원씩 주식했습니다.
17/01/18 16:34
수정 아이콘
경알못이지만 다른 분 말로는 제테크의 시대는 끝났다고 하더군요.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금수저, 로또 아니면 답이 없는걸로...
더 자세한 내용은 경제 잘 아시는 분이 답글 달아주실 겁니다. ^^
17/01/18 17:09
수정 아이콘
네 제테크는 원래 구라입니다.
열심히 모아도 한방에 털리므로 그냥 쓰고싶은거 쓰면서 사는게 답입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17/01/18 16:46
수정 아이콘
우선 님 수준에서 제테크는 안쓰고 적금드는거 뿐입니다. 지금 님 질문의 수준으로 보아 주식 혹은 펀드를 든다면 손해날꺼 98% 정도 예상합니다. 이렇게 질문 올릴 수준이면 적금들어서 모으는게 최고이고 그 뒤에 5천~1억이 모였고 제테크에 제대로 관심을 두고 해보겠다 싶으면 여러가지 책으로 먼저 공부해보세요. 질문의 수준이 낮아서 질책하는게 아니라 사실을 말해주고 싶은겁니다. 노여워는 마세요
포도씨
17/01/18 16:52
수정 아이콘
일단 종신보험정도는 들어두시는게 좋고요. 왜냐면 큰 질병으로 목돈이 나가거나 일을 쉬게되는 경우가 재테크의 가장 큰 적이기 때문이에요.
이율이 좋을때는 예금 풍차돌리기 같은것도 사용했으나 요즘은 워낙 이율이낮아 정신없기만하고 별로인것 같고 주식을 하실거면 차라리 코스피200에 꾸준이 넣으시는게 좋습니다. 주식으로 수익내려면 진짜 열심히 공부해야해요...^^
원시제
17/01/18 20:30
수정 아이콘
종신보험은 사망보험인데요...
포도씨
17/01/18 20:40
수정 아이콘
일찍 가입하는것이 유리한 종신보험은 암특약 넣어서 결혼전부터 가입하고 + 실비보험정도 하시라고 하려한건데 설명이 한참 부족했네요...^^
들깨수제비
17/01/18 21:00
수정 아이콘
음.. 종신보험 보다는 정기보험을 추천드립니다.
겨울삼각형
17/01/18 18:58
수정 아이콘
안 쓰는게 재태크의 시작입니다.
원시제
17/01/18 20:32
수정 아이콘
이런 글 나올때마다 말씀드리는겁니다만,
재테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기 이전에

[왜, 얼마를, 언제까지 만들것인가]를 먼저 고민하셔야 합니다.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만드는 방법과,
원룸 보증금을 만드는 방법과,
결혼자금을 만드는 방법과,
대학원 진학을 위한 학비를 만드는 방법은

각각 그 기간, 리스크의 감수여부 필요성 등에서 엄청나게 차이가 납니다.


일단, 언제쯤 무엇을 하고 싶고, 그것을 위해 어느 정도의 돈이 필요할지 먼저 고민해보시고,
그에 맞는 재테크 방법을 찾는게 순서입니다.
iphone5S
17/01/18 22:24
수정 아이콘
늦었네요 ㅠㅠ 모두들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6740 [질문] 국내 뮤지컬 마케팅 사례를 볼수있는 곳 [2] 따루라라랑4233 17/01/19 4233
96739 [질문] 이태원 맛있는 맥주집 [12] moonland3934 17/01/19 3934
96738 [질문] 휴대폰 고장 질문입니다. [2] 티32263 17/01/19 2263
96737 [질문] 파이어폭스를 쓰는데 파일 다운로드가 안됩니다. [2] ZeroOne2785 17/01/19 2785
96736 [질문] 부모님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모노크롬3349 17/01/19 3349
96735 [질문] 프록시 연결 문제 질문입니다 이워비2388 17/01/19 2388
96734 [질문] PC견적좀 봐주실수 있나요? [14] 건이강이별이2898 17/01/19 2898
96733 [질문] 이번 추석 연휴 옥토버페스트는 어떨까요? [7] 살려야한다3319 17/01/19 3319
96732 [질문] 컴퓨터 모니터 화면이 안나옵니다. [6] 탄야3398 17/01/19 3398
96730 [질문] 와우라는 게임을 처음 해볼까하는데요. [10] 레너블3795 17/01/19 3795
96729 [질문] 넥서스5X 동영상 전체화면 가능한가요? [4] 울어주기3505 17/01/19 3505
96728 [질문] ms 오피스 가장 저렴한 구입방법 [7] 4596 17/01/19 4596
96727 [질문] 넷플릭스 드라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Paul Pogba7198 17/01/19 7198
96726 [질문] 워3 넷이즈 하시는 분들 렉은 어떻게 하시나요? [7] 바스테트3744 17/01/19 3744
96725 [질문] 첫 차 구입하려고 하는데 어떤차를 살까요? [6] ponticus3613 17/01/19 3613
96724 [질문] 첫차구입 현실 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9] 에일리4584 17/01/18 4584
96723 [질문] 친구들끼리 해외여행 간적 있으세요? [26] 아끼자4597 17/01/18 4597
96722 [질문] 한국말(한글 말고 언어)은 기원이 어떻게 되나요? [7] CoMbI COLa4705 17/01/18 4705
96721 [질문] 음악 하나만 찾아주실 수 있으실까요 흑... [10] 물리쟁이3141 17/01/18 3141
96720 [질문] 아기용 유기농과자 뭐가 좋을까요? [2] 김소현2265 17/01/18 2265
96719 [질문] 기계과 화학복수전공질문 [10] 삭제됨4119 17/01/18 4119
96718 [질문] 스코어나 경기결과를 편하게 기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2] Lv32396 17/01/18 2396
96717 [질문] 산 지 6개월 된 립밤 써도 될까요? [9] 아케미4318 17/01/18 43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