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31 08:47:56
Name 키리하
Subject [질문] 모니터와 본체의 거리가 20m가 넘을 때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회사에 모니터-본체 거리가 20m가 넘는 상황입니다.
아버지께서 필요로 하셔서 알아보는 중인데, 병원 같은 곳에 가면 있는 화면처럼 시스템을 만들고 싶어하십니다.
사용용도는 공지사항이나 협력업체에서 클레임 들어온거, 납품할 내역 등을 기록해서 PPT로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하는 용도구요. 간혹 동영상 재생으로도 사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찾아보니

1. 무선모니터를 이용한다.

2. 모니터를 설치할 지점에 그냥 본체를 하나 더 단다.

3. 모니터케이블 긴거를 이용하고 신호가 약하면 증폭기를 쓴다.

이 세 가지 방법 정도로 요약되는 듯 한데
2번의 경우에는 사무실에서 문서 작업을 해서 현장컴퓨터로 이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 배제하려고 생각중입니다.
1번의 경우 수신율 문제가 있다곤 하는데 써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고..
3번은 증폭기가 20m에 필요한지 모르겠는데 가격이 만만찮더군요.
혹시 이런 식의 시스템을 구성해보신 분 있다면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중학교사학년
16/12/31 09:47
수정 아이콘
3번 집에서 티비와 컴퓨터 연결해서 영화보려고 10m길이의 rgb케이블과 사운드케이블 사서 연결했었습니다.
수신율이 떨어진다거나 딜레이가 생긴다거나 하는 일은 없었는데, 컴퓨터 작동할때마다 컴퓨터방과 거실을 이동하는게 귀찮았던 기억이 납니다.
키리하
16/12/31 09:51
수정 아이콘
오. 그럼 한번 3번으로 가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6/12/31 10:01
수정 아이콘
hdmi케이블이 10m에 6,000밖에 안하는걸로보아 10m까지는 전혀 문제가 없을것 같습니다.
다만 20m는 도.....도전!?
좋은하루되세요
16/12/31 10:05
수정 아이콘
20m면 가격이 4만원대로 급상승하지만, 본체하나 더 다는것에 비하면 저렴한것 같네요.

다만 사람이 걸려 넘어지는게 더 큰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2번처럼 하고 인터넷 연결시켜서 항상 원격접속으로 들어가 있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키리하
16/12/31 10:30
수정 아이콘
공장이라 아마 2층 창고쪽으로 배선을 하실거라고 했던 기억이 나네요.
2번 3번 다 고려해보겠습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16/12/31 10:17
수정 아이콘
2번 같은 경우에 공유폴더만 하나 만들어서 사무작업 결과물은 거기에 넣어놓으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나요? 나쁘진 않을 거 같은데 본체를 하나 사야한다는 가격적인 부분에 제일 문제일 것 같네요.
키리하
16/12/31 10:31
수정 아이콘
그렇긴합니다만, 본체 구매도 구매고 공유폴더라는 개념을 어려워하셔서..
전에도 비슷한 시스템 구성에 공유폴더를 알려드린적이 있는데
꼬일때도 있고 무엇보다 문제가 생겼을 때 아버지 혼자 해결을 못하시다보니 좀 꺼려하시는 듯 해서.. 감사합니다!
16/12/31 14:01
수정 아이콘
연결케이블이 어떤 종류인지에 따라 다를것 같습니다.
HDMI로 가신다 하면 증폭기를 달아야 할터인데, 증폭기란 녀석이 전원이 들어가고,
24시간 계속 공급이 되기 때문에 불량이 자주납니다.
보통은 HDMI -> DVI나, HDMI->RGB로 추천드립니다
그래픽 작업을 크게 하지 않는다 하시면, 저렴한 RGB로 가셔도 될꺼고
민감하시다 하면 DVI로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케이블 가이라는 사이트에서 가격을 확인 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719 [질문] 2016년 마지막 날, 여자친구에게 해줄만한 것 [3] 임시야간숙소3849 16/12/31 3849
95718 [질문] 사범대 진학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4] 우리집개4243 16/12/31 4243
95717 [질문] 내 동선 파악 어플이 있나요?? [4] 포아4058 16/12/31 4058
95716 [질문] 오전 지하철 노인분들 궁금증 [2] 포아3186 16/12/31 3186
95715 [질문] 스노보드 베이직턴이 안되요ㅜㅜ [6] The Special One3912 16/12/31 3912
95714 [질문] 중국 sns 질문입니다. [5] 레이스티븐슨2183 16/12/31 2183
95713 [질문] 전남친과의 관계 [45] 삭제됨7776 16/12/31 7776
95712 [질문] 포항 해돋이 보러가려는데요.. [7] 아스날2791 16/12/31 2791
95711 [질문] 랜섬웨어에 걸렸는데요..! [4] 내사랑사랑아3190 16/12/31 3190
95710 [질문] 모니터와 본체의 거리가 20m가 넘을 때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8] 키리하4220 16/12/31 4220
95709 [질문] 신정에 뭐 하실건가요? [4] 달토끼2642 16/12/31 2642
95708 [질문] 파워포인트, 프레지 공부법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참된깨달음2289 16/12/31 2289
95707 [질문] pc방 중고피시는 왜 안좋은가요? [12] 레드드레곤~4254 16/12/31 4254
95706 [질문] 사진 비공개 어플 추천 [1] 이혜리2583 16/12/31 2583
95705 [질문] 아이폰 게임 결제오류인데 해결방법없나요? 이블린3533 16/12/31 3533
95703 [질문] 오피스텔 내 이사 문의 (층간 이동) [3] 한국이좋아요2811 16/12/31 2811
95702 [질문] 한국의 농축산업은 어떻게 봐도 노답인가요? [13] 갓조3676 16/12/31 3676
95701 [질문] 판교 cgv 4dx시설 좋은가요? [1] This-Plus2919 16/12/31 2919
95700 [질문] 인터넷 용어? 은어? 질문 [9] 랑비3463 16/12/30 3463
95699 [질문] 컴퓨터 다운 관련 질문입니다 [5] 양밤2771 16/12/30 2771
95698 [질문] 만화책 추천 받습니다. [29] 꿈꾸는용5285 16/12/30 5285
95697 [질문] 아이폰+미밴드2 조합 어떤가요? [1] 물탄와플3404 16/12/30 3404
95695 [질문] 아이패드 미니2 질문드립니다. [3] 토구백2257 16/12/30 22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