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28 20:44:18
Name TheGreatWar
Subject [질문] 현재 개헌에 대한 내용 여쭙습니다.
뉴스에서 무슨 개헌론자네 아니네 하는데..
개헌의 내용에 대해서 뭔가 구체적으로 합의된 바가 있어서 개헌한다고 떠드는 건가요?
아니면 현재 대통령제가 갖는 문제점이 있으니 어떻게든 갈아엎자는 건가요?

개헌을 국민들이 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고 개헌내용에 대한 구체적 논의도 없었던 것 같은데 왜 갑자기 개헌 논의가 뜨겁게 타오르는 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운명의방랑자
16/12/28 20:46
수정 아이콘
'박근혜 효과 + 조기대선 분위기'가 만들어낸 유력 대선주자 견제용 카드죠.
자판기냉커피
16/12/28 20:51
수정 아이콘
결국은 다음대선에서 대통령되기힘든 잡룡들이 개헌성공하면 자기들이 총리라도 노릴수 있으니
그걸 노리는거죠 성공하면 대통령 힘도 줄일수있고....
하지만 뭐 다들 아시다시피 이건 국민투표 통과가능성이 거의 없어요
개헌론자라고 다 같은 개헌을 원하는건아니니까요
정지연
16/12/28 20:52
수정 아이콘
현재 개헌론자들은 대개 유력 대선주자가 아닌 사람들입니다.. 김무성, 김종인, 박지원이 대표적인데 이 셋의 공통점은 자기는 대통령은 못되지만 권력은 유지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죠..
그 사람들의 개헌 주장 논거는 제왕적 대통령제 때문에 박근혜가 깽판을 치고 있어도 손 쓰기 어려우니 대통령을 견제할 수단을 늘린 새로운 헌법을 만들자고 하는거죠..
내각제건 분권형 대통령제건 지금보다는 대통령의 권력이 줄어들고 국회의 권력은 늘어날테니 어차피 대통령 못될거 다음 대통령 권한이라도 깍아먹어야겠고 다음 대통령으로 문재인이 매우 유력하니 그꼴은 죽어도 못보겠다는 생각에 개헌 노래를 부르고 있는겁니다..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도 통일된 개헌 방향같은건 없습니다.. 일단 개헌이슈를 터트려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싶은게 목적이라 주장하는 것뿐이지 그 사람들끼리도 서로 생각하는 바는 다를거예요..
그리고 개헌 반대론자로 알려진 문재인 전대표도 일단 대선을 하고 다음 정권에서 개헌에 대한 논의를 하자고 하고 있습니다..
김테란
16/12/28 20:58
수정 아이콘
개헌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는데에 대해선 현재의 여론도 수긍하는 쪽이 다수고,
국회의원,전문가들은 절대다수이기 때문에 앞으로 여론도 점점 더 높아질겁니다.
합의된 바가 있냐는 질문에 대해선 전혀 없는 상태로 이제 시작해야 하는 단계고
제왕적 대통령 권한의 문제점에 대해선 대부분 동의하지만 4년연임제,이원집정부제,내각제 크게 이 셋으로 나누면
국회의원들은 대략 4:2:1정도이며, 국민들도 조사하면 비율만 다를 뿐 저 순으로 나올겁니다.
문제는 탄핵정국인 지금 급하게 하는 것과 차기로 미루더라도 임기단축을 공약해라 압박하는 것 이 두가지인데,
이 둘만 아니면 그다지 반대할 이유는 없다 봅니다.
복타르
16/12/28 20:58
수정 아이콘
이전부터 꾸준히 언급해왔던건 4년중임제이고,
요즈음 개헌논의엔 의원내각제나 이원집정부제가 포함되었습니다. 개헌논의가 뜨거운 이유야 여러가지 있겠지요.

제 생각엔 차기대통령이 가장 유력한 사람은 문재인이고, 친박+비박+국민당 입장에서는
문재인이 대통령되는걸 최대한 막으면서 최소한 대통령의 권력이라도 줄이겠다는 것이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630 [질문] 사범대 복수전공 질문합니다 [16] 우리집개7992 16/12/29 7992
95629 [질문] 차 구입 질문드립니다. [9] mcmc3508 16/12/29 3508
95628 [질문] 직장관계내에서 호칭 질문입니다. [25] 레너블6018 16/12/29 6018
95626 [질문] 중고차vs신차 보험료와 세금 차이 많이나나요? [10] Ophelia10738 16/12/29 10738
95625 [질문] 정신적으로 많이 힘듭니다. [4] k127053317 16/12/29 3317
95624 [질문] 고양이가 겁을 냅니다 [5] 자판기냉커피3150 16/12/29 3150
95623 [질문] 재벌의 기업지배구조가 궁금합니다. [3] 성기사2761 16/12/29 2761
95622 [질문] [LOL] 원딜 질문입니다. [17] 광개토태왕4296 16/12/29 4296
95620 [질문] gta5 질문있습니다. [2] 루엘령5533 16/12/29 5533
95619 [질문] 우주에도 바람이 불까요?? [6] 쉘든4242 16/12/29 4242
95618 [질문] nba 듀란트 이적에 대해 궁금한점 [6] 현란한암내3038 16/12/29 3038
95617 [질문] 아이폰7과v20중 뭘사야할까요 [20] 한글여섯글자3502 16/12/29 3502
95616 [질문] 아이폰7 구매했습니다. 계정 관련해서. [3] heatherangel2618 16/12/29 2618
95615 [질문] 시디즈 의자 질문 [2] SpicyPeach4044 16/12/29 4044
95614 [질문] 약속한 돈을 주지 않는 의뢰인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6] 로즈마리3618 16/12/29 3618
95613 [질문] 귀걸이 선물 좀 여쭤보고 싶습니다. [2] 이야기상자3171 16/12/29 3171
95612 [질문] 겨울, 주말에 가면 사람이 너무 많지만 평일에는 가볼 만한 곳이 어디있을까요?? [11] 원스3404 16/12/29 3404
95611 [질문] 컴퓨터 메모리에서 고무탄내가 납니다. [7] Ha.록3456 16/12/29 3456
95610 [질문] 남성수염 제모 피부과 추천해주세요!(광명,합정,기타) [5] 스테비아3925 16/12/29 3925
95609 [질문] 프로포즈 목걸이 브랜드 질문입니다. [12] 기억의습작11509 16/12/29 11509
95608 [질문] 이 선생은 무슨 생각이었을까요? 혹시 주변에 이런 경우가 있으셨나요? [삭제 예정] [31] 삭제됨6302 16/12/29 6302
95607 [질문] 경력직 이직시 연봉 협상 적용 기준이 궁금합니다. [12] MayLee6619 16/12/29 6619
95606 [질문] 엑셀 관련 질문드립니다. [2] Dwyane4444 16/12/29 44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