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01 15:23:44
Name 역전인생
Subject [질문] 닭볶음탕 질문 있습니다!
요리 6개월 차 초보입니다.

닭볶음탕은 만들 때마다 은근히 어렵네요.

보통 감자와 닭에 얼마나 양념이 스며드냐가 맛을 좌우하는데, 그게 참 마음대로 조절되지 않습니다.

오래 끓이는 게 답이라길래 한 30분을 중불에 끓였더니, 정작 닭 살이 퍽퍽해지는 반작용이 오더군요. 감자 또한 너무 물러지고요.

고수 분들의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대체 닭과 감자에 양념 잘 베이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랑니
16/12/01 15:26
수정 아이콘
설탕과 닭을 먼저 넣고 끓이세요.
그뒤에 나머지 재료와 양념을 넣고 끓입니다.
역전인생
16/12/01 15:30
수정 아이콘
일명 백종원 식 닭볶음탕이라 부르는 마성의 레시피군요. 이미 이 방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도통 맛이 깊어지지가 않아서...
정지연
16/12/01 15:33
수정 아이콘
고기에 양념이 배게 할려면 잘게 조각내 오랜동안 재워놓을수밖에 없습니다 그냥 끓여서는 양념이 배어 들지는 않습니다..
장조림조차도 덩어리째로 조리면 겉부분만 양념이 배고 속부분은 싱거운 상태라서 찢어서 간장에 담궈둬야 맛이 배어드는데 닭도리탕은 그렇게 먹는 음식은 아니죠..
감자도 마찬가지로 덩어리가 클수록 맛이 배기는 어렵습니다..
맛이 배어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국물과 함께 먹는 음식이라고 생각하셔야 맘이 편할듯 합니다..
공승연
16/12/01 16:05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오래끓이면 퍽퍽하죠.
퍽퍽하지도 않고 양념이 잘 스며드려면 불고기하듯이 양념을 미리 재워놓는거 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봐요.
에베레스트
16/12/01 16:53
수정 아이콘
저도 닭볶음탕을 자주 해먹는 편인데 여기에 한표입니다. 처음 해먹을때 생각하던 양념이 잘 밴 닭느낌이 아니라 그뒤에 더 잘게도 자르고 고기에 칼집도 내보고 압력밥솥에다가도 해봤는데 그다지 유의미한 맛의 변화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냥 앞접시에 국물떠놓고 고기랑 감자랑 찍어먹습니다. 저도 30분정도 끓이는 편인데 감자는 끓고 10분쯤 지난 뒤에 넣어서 20분정도만 끓입니다. 30분 다하면 감자가 제 입에는 너무 무르더군요. 그리고 25분쯤에 떡볶이 떡 투하하고, 끄기 1분전에 미리 끓여 놓은 우동사리 넣습니다. 면사리도 이것저것 넣어봤는데 전 우동사리가 제일 좋더군요.
비형시인
16/12/01 15:40
수정 아이콘
그래서 닭도리탕은 처음먹을때보다 먹고나서남은걸 나중에 먹을때 더 맛있....
16/12/01 15:56
수정 아이콘
맛이 배어들게하려면 찜으로하듯이 오랜시간 하셔야합니다.
평소보다 물을 조금 더 넉넉하게 잡으시고 갈비찜하신다는기분으로 양념(설탕고추장간장(식초))+마늘생강+닭 넣고 충분히 끓이시고
졸여가면서 그후에 감자+당근 -> 그외채소류로 가시는게... 감자가 물러지는게 싫으시면 큼직큼직 썰어넣으시고 눌러붙지않게 가끔씩 살살 저어주는식으로 졸여나가야 모양 그대로 나갈 수 있습니다
공상만화
16/12/01 16:00
수정 아이콘
슬로우쿠커를 구입하세요.
미카엘
16/12/01 16:02
수정 아이콘
맛이 잘 배어들게 하려면 약불~중불부터 오랜시간 끓이시면 돼요.
이워비
16/12/01 16:04
수정 아이콘
토막낸 고기를 양념장에 재워두세요
감자는 익기만하면 으깨서 양념이랑 비벼드시는게 편합니다
전 그래서 감자는 따로 찌고 나중에넣습니다
16/12/01 16:54
수정 아이콘
왜 표준어를 닭볶음탕으로 해서.. 너무나 어색한 단어 .. ㅠ ㅠ
16/12/01 17:06
수정 아이콘
닭도리탕이 일본말이라는 근거가 어디에도 없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냥 닭도리탕이라고 부릅니다.;
16/12/01 18:28
수정 아이콘
네 요리계에서도 닭도리탕에는 볶는 과정이 없다고 ..
실제로도 없고 ..
도리가 일본어로 조류를 나타내서 일본어 같다해서 변했다고 들었는데 ..
도려내다가 더 맞는거 같다고 생각이 되어서..
닭볶음탕이라는 말이 너무 불편해요 크크
영혼의 귀천
16/12/01 17:20
수정 아이콘
일단 먹기 두세시간 전에 완성해 두고 식혔다가 먹기 직전에 다시 데워드세요. 식는 동안 간이 재료안으로 침투해서 좀더 맛나게 되요.
일리단
16/12/01 18:52
수정 아이콘
저도 식혔다 다시 데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16/12/02 07:19
수정 아이콘
감자크기를 줄이시고 두번 끓이세요.
설탕을 좀 더 넣으시고 고추장 보다는
간장과 고추가루 위주의 간을 하시고
생강 꼭 넣으시고 파를 많이 넣으시면
닭도리탕이 매우 맛있어집니다.
16/12/02 14:19
수정 아이콘
닭을 소금 식초 마늘 다진거 섞은 물에 3시간 재워놨다 하시면 됩니다.
더 맛있게 하려면 멸치 육수 내서 국물 하시면 되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4086 [질문] 진짜 몰입도 좋은 콘텐츠 추천 부탁드릴께요! [24] 카스트로폴리스3126 16/12/01 3126
94085 [질문] 카카오톡 "사이트의 보안 인증서에 문제가 있습니다." 뜨는 문제? [2] 시라이시세이7460 16/12/01 7460
94084 [질문] 닭볶음탕 질문 있습니다! [17] 역전인생4237 16/12/01 4237
94083 [질문] 흰색 정장 양말은 어떻게 코디하나요? [13] 사구삼진8601 16/12/01 8601
94082 [질문] 학점 계산 부탁드립니다.. [2] 따루라라랑2122 16/12/01 2122
94081 [질문] 이 사양에서 144 모니터 사용 가능할까요? [13] 탄야4652 16/12/01 4652
94080 [질문] 재테크 조언 부탁드립니다. [4] 아스날2171 16/12/01 2171
94079 [질문] [WOW] 네비게이션(?) 같은거 없을까요? [4] 몽유도원3361 16/12/01 3361
94078 [질문] 경주월드 가볼만 한가요? [4] 배트맨2533 16/12/01 2533
94077 [질문] 서울 직장인 영어회화 [3] splide2162 16/12/01 2162
94076 [질문] 여성청소년 수사팀? 성폭력 전담과? [4] Artanis2395 16/12/01 2395
94075 [질문] 카톡 단톡방 하시는 분들? [11] 흰둥6566 16/12/01 6566
94074 [질문] 닉네임변경 [7] 공무원1863 16/12/01 1863
94072 [질문] 8TB HDD 질문입니다. [6] 성기사3893 16/12/01 3893
94071 [질문] 인턴과 알바의 차이는 뭔가요? [5] Genius14669 16/12/01 14669
94070 [질문] 엑셀 수식질문입니다. [4] 캬라2187 16/12/01 2187
94069 [질문] 왜 다른 나라사람들은 삼겹살을 좋아할까요? [25] 티36561 16/12/01 6561
94068 [질문] 부산출발 강원도 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4] info21c1793 16/12/01 1793
94067 [질문] 스타트업&드론 관련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카별1946 16/12/01 1946
94066 [질문] [LOL] 지금 삼성에서 엠비션선수가 빠지면 어떻게 될까요? [11] 짱짱걸제시카3099 16/12/01 3099
94065 [질문] 박지원이 개헌을 찬성하는 이유가 뭔가요? [8] 피나2595 16/12/01 2595
94064 [질문] 뮤지컬 티켓팅 비법..? [39] 언어물리5515 16/12/01 5515
94063 [질문] 크리스마스에 남이섬 데이트 1박2일 해보신분 있을까요? [10] 예쁜여친있는남자3384 16/12/01 33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