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1/29 20:05:19
Name Tristana
Subject [질문] 안전성 높은 자동차는 어떤게 있을까요?
지난 주에 고속도로에서 주행 중 사고가 났습니다.(저는 조수석)
다행히 사고 규모에 비해서 크게 다치진 않아서 병원에 며칠 입원해있다가 오늘 퇴원했네요.
(사고는 4차선에서 났는데 제가 타고 있던 차는 SUV고 뒤에서 박은 차는 레이였는데
레이는 저 옆으로 튕겨나갔는지 1차선 옆에서 전도됐고, SUV는 갓길 시멘트쪽에 몇 번 튕기고 멈췄습니다. 폐차확정..)

아직 개인 차량은 없는데 사고 한 번 나보고 느낀 점이 꼭 튼튼하고 큰 차를 사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병원에서 심심해서 볼보 검색도 해보고 이리저리 검색해보는데 볼보가 생각보다 비싸네요.
실내 디자인도 별로고.. S90은 이쁘긴 한데 비싸네요 ㅠ

안그래도 요즘 현기차 말도 많고 일본차는 가격 나름 적절하게 나오는 것 같은데
안전성 좋은 차라면 어떤게 있을까요?

당장 차를 살 건 아니지만 1년 정도 뒤엔 사고 싶고 미리 조사를 해 놓고 싶네요.

일단 외제차 중에 그나마 접근할 수 있는건 알티마, 어코드, 캠리 정도인 것 같은데
관련 자료를 어떤 키워드로 찾아봐야 할까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1/29 20:09
수정 아이콘
딱 한대를 추천드리기보단.. IIHS사이트 들어가셔서 차종별 테스트 결과 확인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16/11/29 20:09
수정 아이콘
1년 뒤에 사실거면 G70이 괜찮을것 같네요.
16/11/29 20:13
수정 아이콘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5158661&memberNo=33906679&vType=VERTICAL

이 글을 보면 나라마다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다 다르게 있네요

미국 기준인 IIHS Safety Test & NHTSA NCAP 를 보고 구매하면 되겠네요 별이 몇개인지와 G,A,M,P 등급을 보면 되겠네요
-안군-
16/11/29 20:27
수정 아이콘
http://www.iihs.org/iihs/ratings/TSP-List
여기 가보시면 IIHS 선정 2016년도 Top Safety Picks 리스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근데... 현대차 평점이 꽤 좋네요? 기아차는 잘 안보이고...;;
Tristana
16/11/29 20:2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것들 잘 살펴봐야겠네요.
IIHS가 중요한가 봅니다.
현대차 평점이 좋군요... 이게 말 많은 수출용의 위엄인가
신지민커여워
16/11/30 11:03
수정 아이콘
사실 s90은 상당히 싸게 나온겁니다;; 국산차 현기르쌍쉐러면 당연히 현대라 생각됩니다만..
srwmania
16/11/30 12:55
수정 아이콘
차종별 안전성 테스트도 자국 회사에 유리한 파라메터를 위주로 선정하거나, 트렌드에 이끌려가는 경우가 많아서
100% 믿기는 좀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차 중에서 안전한 차라면,
'글로벌 브랜드에서 최근에 발매된 큰 세단(풀사이즈 세단)'입니다.

이급의 차는 회사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서 만드는지라, 안전성 검사 안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알아서 안전하고 튼튼하게 잘 만들었겠거니 하는 거죠.
16/11/30 19:21
수정 아이콘
볼보 스바루 좀 쳐지지만 혼다가 자체안전기준이 타사보다 높다고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3987 [질문] 플스4 pro 구매계획 중입니다 [5] Paul Pogba2245 16/11/29 2245
93986 [질문] 부총리와 총리가 어떻게 다른가요? [6] 택배2039 16/11/29 2039
93985 [질문] 면 없이 라면을 끓이면 맛이 어떤가요???? [13] 시작버튼15810 16/11/29 15810
93984 [질문] 안전성 높은 자동차는 어떤게 있을까요? [8] Tristana3888 16/11/29 3888
93983 [질문] 별의 거리를 재는 방법? [7] cs1727 16/11/29 1727
93982 [질문] 바르게 앉으니 되려 허리가 더 아프네요 [7] Fysta2106 16/11/29 2106
93981 [질문] 영화 인셉션 질문입니다(스포) [3] 해피바스2004 16/11/29 2004
93980 [질문] 그래픽이 예쁜 pc게임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집꾸미기나 생활 게임 좋아요) [17] 별빛정원5345 16/11/29 5345
93979 [질문] 계약서의 문장 해석 부탁드립니다 [2] 밤공기1851 16/11/29 1851
93978 [질문] [LOL] 레벨30짜리 부캐에 대한 판매 [7] 이선빈3788 16/11/29 3788
93977 [질문] 저사양 갓게임 추천해주세요 [15] Hsu7104 16/11/29 7104
93976 [질문] 디스크 과부하 질문입니다. [2] 성기사2741 16/11/29 2741
93975 [질문] 20대 후반 사회초년생이 쓸만한 신용카드 있을까요? [7] 아이뽕2929 16/11/29 2929
93974 [질문] 저가의 브리츠 BA-R9 SoundBar 스피커 어떤가요? [3] 하늘에서4595 16/11/29 4595
93972 [질문] 남자 나이 33살 CPA 합격하면 메리트 있을까요? [19] StillAlive27293 16/11/29 27293
93971 [질문] 연결고리 구입경로 문의입니다 [4] 무조건한놈만1921 16/11/29 1921
93970 [질문] 이태원 남자 7명 모임장소 추천 부탁드려요 [7] 왕밤빵왕밤빵2605 16/11/29 2605
93969 [질문] 노트7 예약구매 마일리지 쿠폰 이혜리1686 16/11/29 1686
93968 [질문] [스타2] 단축키가 피시방에 가면 없습니다. [2] 삭제됨3118 16/11/29 3118
93967 [질문] GTA5 구매 및 게임 질문입니다. [5] Hisoka2392 16/11/29 2392
93966 [질문] 아이폰 기기변경 후 사진 어떻게 옮기시나요? [6] 손연재2019 16/11/29 2019
93965 [질문] 구글 애드센스 관련 질문입니다. [2] 카별2284 16/11/29 2284
93964 [질문] 정말 내각제로 개헌이 필요한가요? [13] 삭제됨2718 16/11/29 27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