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0/16 21:44:17
Name 베컴
Subject [질문] 혹시 충주 7탄약창에서 군생활 하셨거나 아시는분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충주 7탄약창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일단 근방이 충주시내말고는 완전 시골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탄약창이 규모가 무지 크다고 들었거든요. 탄약창안에 관사가 영내에 있는지, 영외에 있는지.. 또 둘다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전에 제가 있던 부대는 BLT?BTL? 독신자숙소, 관사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충주 7탄약창에 대해 아시는 분

리플이나 쪽지 부탁드려요~


답변 미리 감사드리고 주말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Oswalt
16/10/16 22:03
수정 아이콘
탄약창으로 옮기시는지요? 7탄약창은 아니지만 탄약창 참모부에서 복무했었습니다. 아마 똑같을거에요.

1. 탄약창 부대 크기가 진짜 더럽게 넓습니다. 참모부와 수송부, 탄약정비대가 있는 본부중대 지역은 작습니다. 근데 고폭탄들이 들어가는 이글루형 탄약고들이 있는 예하 탄약-경비중대 지역은 탄약고 특성상 거리를 넓게 잡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철책 둘레만해도 엄청나죠. 진지공사 때는 예초, 방화지대 구축하는데 탄약창 병사로는 견적이 안나와 지역사단에서 무조건 병력 지원받아야 합니다.
병사로 경비중대 걸렸다면 그냥 최전방보다 더러운 곳 걸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교대 철책근무, 근무환경 탓에 병영부조리 사고 사례 단골, 휴가는 병사가 딸려서 제대로 못가는 편제 수준, 후방 지역이라고 멸시 받는 시설. 모든 면에서 최악입니다. 소대장으로 가시더라도 지역 당직사관은 기본이고, 각종 교관, 파견 등에 무조건 동원됩니다. 편제가 워낙 부실해서... 병영부조리 때문에 병력관리 스트레스 장난 아닐거에요.

2. 저희 부대는 관사는 탄약창장 대령 관사 하나, 영내 BOQ 있었습니다. 아마 본부중대 지역에 있을거에요. 사무관급 군무원은 별개 숙소가 나왔던걸로 압니다.
제리드
16/10/16 22:18
수정 아이콘
2010년에 7탄약창 4경비중대에서 군생활했었는데, 6년 정도 흘러서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주변에는 말씀하신대로 깡촌이고, 시설이 굉장히 낙후되어 있었죠. 제가 있을때 4중대가 마지막으로 구식 막사(노란 장판 깔린 침상)에서 신식 막사로 바꼈어요.
초급간부용 숙소가 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저는 지역중대라 한번도 안가봐서 어디에 어떻게 생긴지는 모르겠습니다.
소대장들은 아침마다 출근자 버스타고 들어오던데 근처에 어디에 있지 않을까 싶네요. 지금은 다시 지었을수도 있는데 당시에는 시설이 별로 좋지 않았던 걸로 기억해요.
solo_cafe
16/10/16 22:55
수정 아이콘
7탄약창은 총 지역이 4개가 있습니다. 거기에때라 본부중대를 제외한 탄약 1~4중대 경비 1~4중대가 있고요.
오래되서 정확히 기억은 안나는데 3지역만 탄약중대와 경비중대가 막사를 같이 안쓰고 다 같은막사를 썻던걸로 기억합니다.
결혼한 간부들 아파트는 영외에 있고(예초기 치러 몇번갔는데 주덕 근처로 정문에서 약 15분거리 정도입니다.)
BOQ는 영내 본부중대에 있습니다. 창장관사도 그렇구요.
시설은 10년전엔 3탄약중대만 신막사로 지어서 괜찮았고 나머지는 그냥저냥...(그냥저냥이라고했지만 다른 부대보다 현저히 떨어졌습니다)
그중 4지역 막사가 가장 최악이였습니다.(그 당시 나무관물대;;)
4지역은 상수도가 안들어와 산에서 내려오는 물과 지하수로 사용했는데 여름엔 가물어서 겨울엔 얼어서 단수를 밥먹듯이 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1605 [질문] 그래서 김제동씨는 영창을 갔다 온걸까요 아닌걸까요 [31] 헬로비너스나라4212 16/10/17 4212
91604 [질문] 소사이어티게임 게시판은 안열리나요? 혹은 커뮤니티 추천부탁드립니다. [5] Secundo2820 16/10/17 2820
91603 [질문] 편도농양이 지속기간이 원래 긴편인가요? [1] 초코파이3947 16/10/17 3947
91602 [질문] 여러분들은 돈을 쓰기 아깝지 않은 것이 무엇이 있나요? [47] endeavorhun4316 16/10/17 4316
91601 [질문] 태블릿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3] AminG2918 16/10/17 2918
91600 [질문] 맥도날드 알바 해보신분?? 질문드려요 [6] chan3353522 16/10/17 3522
91599 [질문] 윈도우10 사용중인데 엣지관련 이상한 일이 벌어졌습니다. [2] 열역학제2법칙3354 16/10/17 3354
91598 [질문] [왕좌의 게임] 'winter is coming'이란 가언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10] 조이14005 16/10/17 14005
91597 [질문] 현대 i10 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cute.doggiestyle2008 16/10/17 2008
91596 [질문]  조합원 아파트 해보신분 있나요? yonghwans2446 16/10/17 2446
91595 [질문] 양궁에서 활의 탄성에너지 관련 질문입니다. [7] 리들5782 16/10/17 5782
91594 [질문] 스마트폰 개통철회 질문입니다. 곰강아지2400 16/10/16 2400
91593 [질문] [LOL] 롤드컵 하이라이트... [4] Magicien2089 16/10/16 2089
91592 [질문] 바나나(플랜테인) 튀김을 파는 곳이 국내에 있나요? Emperor3113 16/10/16 3113
91591 [질문] 서울에서 자취하면 고정지출 얼마정도 들어가나요? [20] 아끼자5031 16/10/16 5031
91590 [질문] 원곡보다 좋았던 리메이크 곡이나 경연곡 있으신가요?? [29] IloveYou2719 16/10/16 2719
91589 [질문] 영상 제작용 컴퓨터 질문입니다. (그래픽카드) [2] 코왕2000 16/10/16 2000
91588 [질문] Java 예외처리 Throw 관련질문 [4] Patrick Jane2112 16/10/16 2112
91587 [질문] [부동산] 보금자리론 판매중단의 영향은? Thenn2101 16/10/16 2101
91586 [질문] 여자 머리 크기가 그렇게 중요할까요? [17] 삭제됨8932 16/10/16 8932
91585 [질문] 예물 시계 추천 부탁 드립니다. [10] 몽무2810 16/10/16 2810
91584 [질문] [컴알못] 모니터가 자꾸 꺼집니다 [4] 해피바스2290 16/10/16 2290
91583 [질문] 혹시 충주 7탄약창에서 군생활 하셨거나 아시는분 계실까요? [3] 베컴18132 16/10/16 181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