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0/06 09:27:22
Name 솜사탕흰둥이
Subject [질문] 사운드바 추천좀 해주세요.
사운드바 추천좀 해주세요.

TV는 중소기업 65인치 UHD 입니다.
화질은 정말 만족인데, 음질은 뭔가 삼성이나 엘지에 비해 먹는다는 느낌이 강하더라구요.

사운드바로 보완가능하다기에 알아보았는데,
다나와에 16만원짜리 브리츠 사운드바가 가성비가 좋다고 인기있던데, 이 제품 구입하려고 하니 또 돈을 조금만 더 보태서 2.1 우퍼 살까 고민중이네요.

금액은 20만원까지 알아보고 있는데 사운드바 추천좀 부탁드릴게요.

1. 사운드바에서 제일 중요한게 무엇인가요?
2. 일반 사운드바와 우퍼달린 사운드바 차이가 심한지?
3. 사운드바 연결시 셋톱박스 리모컨으로는 음량조절이 불가능한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0/06 09:36
수정 아이콘
3번은 불가능 한걸로 알아요. 그게 좀 불편하다고 하더라고요. lg티비에lg 사운드바면 괜찮다고 하고요. 써본게 아니라 정확하게는 모릅니다.
솜사탕흰둥이
16/10/06 09:41
수정 아이콘
채널 돌릴땐 셋톱박스 리모컨으로, 음량키울 땐 사운드바 리모컨으로 번거롭겠네요
16/10/06 10:38
수정 아이콘
1. 음질이겠죠, 아무래도. 뭐 굳이 더 따진다면 가격이려나;
2. 외장 우퍼를 말씀하시는 건지 내장 우퍼를 말씀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내장 우퍼는 대개 저가형/실속형 제품에 많이 붙어나오는데 개인적으론 별 느낌없습니다; 있으나 없으나 느낌..? 외장 우퍼는 확실히 차이가 나겠죠. 참고로 외장 우퍼가 있는 사운드바는 아니고 PC스피커를 사용 중인데 아마 비슷할 겁니다.. 내장우퍼가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의 가격 차이가 미미하다면 굳이 없는 제품 살 필요까진 없지만, 내장 우퍼냐 외장 우퍼냐를 놓고 보면 외장 우퍼를 포기하기는 아쉬운 게 맞죠. 내장 우퍼는 우퍼라 부르기엔 조악하더라구요 ㅠㅠ 워낙 싼 제품이라 그럴수도 있겠지만..
3. 불가능하긴 한데, 보통 사운드바 음량은 적정선 (50%)에 맞춰놓고 셋톱박스로 음량을 조절하면 걍 조절됩니다. 예를 들면 컴퓨터할 때 스피커 볼륨은 적당히 맞춰놓고 실사용하면서 볼륨 조절은 윈도우로 하잖아요? 소리가 크면 스피커 볼륨 조절하기보단 윈도우에서 볼륨 낮추고, 올리고.. 뭐 그런 느낌으로 사용하심 됩니다.
이라세오날
16/10/06 11:53
수정 아이콘
3.번은 삼성티비에 삼성사운드바 연결하면 올레 셋톱리모콘으로 사운드바 음량조절됩니다. 삼성-삼성이라 되는건지 셋톱이 올레라서 되는건지는 모르겠지만 -_-

리모콘 정면 버튼은 티비자체사운드가, 측면에 달려있는 버튼은 사운드바 음량조절로 기능하더군요.
라이디스
16/10/06 11:55
수정 아이콘
3의 경우엔 JBL의 SB200의 경우에 리모콘 학습이라고 있어서 IP티비의 리모컨중에 안쓰는 특정 버튼에 볼륨을 학습시켜놔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KT스카이 라이프와 위 SB200을 사용중인데 리모컨 좌측에 있는 TV용 볼륨키를 사운드바 볼륨에 학습시켜서 사용중입니다.
셋탑박스 볼륨은 최대로 해놓고 사운드바 볼륨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엔 티비가 중소기업이라 그런지 셋탑박스 리모콘이 티비에 등록이 안되서 해당 키가 사용이 안되기 때문에 가능한 부분이긴 합니다.

다른 사운드바에도 리모콘 학습 기능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이 기능 있는걸 찾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거 같습니다.
빠니쏭
16/10/06 12:08
수정 아이콘
야마하가 좋은데 20만원이면 비추네요.
후루룩
16/10/07 09:19
수정 아이콘
3번같은경우 저는 삼성티비에 삼성사운드바 엘지 유플러스 셋탑으로 보는데 셋탑리모컨으로 음량조절 및 티비와 사운드바 전원 온 오프까지 다 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1170 [질문] 지루성두피염 질문입니다 [13] 김치찌개4551 16/10/08 4551
91169 [질문] (회계) 매출채권 미수수익 구분 문제 질문입니다. [5] The Variable6920 16/10/08 6920
91168 [질문] 오바마는 역대 미국 대통령 중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로 평가될까요? [17] 삭제됨4213 16/10/08 4213
91167 [질문] 던파나 다시 해볼까 합니다. [10] 회색사과3275 16/10/08 3275
91166 [질문] 휴대폰 구입할 때 참고할 점. [5]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3250 16/10/08 3250
91165 [질문] 전동칫솔 vs 일반칫솔 [9] 김치찌개4168 16/10/08 4168
91164 [질문] 이산수학 '관계' 질문 드립니다 [4] 티어루프2368 16/10/08 2368
91163 [질문] 1시간40분거리 인턴 [13] Genius4353 16/10/08 4353
91162 [질문] 김영란법 [4] 기념비2612 16/10/08 2612
91161 [질문] [LOL] 왜 뱅기를 안쓰나요? [23] Beauty5425 16/10/08 5425
91160 [질문] 근저당 걸린 오피스텔 보증금 질문 [10] 삭제됨4649 16/10/08 4649
91159 [질문] [스팀] 문명5 할인 자주 할까요?? [11] 헤글러9535 16/10/07 9535
91156 [질문] [WOW] 질문드립니다. [6] 두지모2576 16/10/07 2576
91155 [질문] [LOL] 지금까지 승부예측 다 맞춘 사람이 있을까요? [8] 딱좋은나인데2624 16/10/07 2624
91154 [질문] (혐주의) 아주 옛날에 자이로드롭 사망사건..소문.. 사실인가요..? [13] yangjyess12273 16/10/07 12273
91153 [질문] 20대 초반의 남자에게 줄 선물을 고민중입니다 [4] 달려라효봉3030 16/10/07 3030
91152 [질문] 번호판 미부착 오토바이 신고 [4] 춘춘4943 16/10/07 4943
91151 [질문] 시티즌 시계 배터리 관련 질문입니다. [4] Ryu8047 16/10/07 8047
91150 [질문]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입니다 [2] 조광래2346 16/10/07 2346
91149 [질문] 반품관련 질문입니다. [1] 사자2385 16/10/07 2385
91148 [질문] 삭제 [4] 삭제됨3313 16/10/07 3313
91147 [질문] 학회로 Orlando에 다녀올 일이 생겼습니다. [16] 쩌글링2915 16/10/07 2915
91146 [질문] 공무원 임용 자격에 대해 묻고 싶은게 있습니다. [3] 반짝반짝방민아2863 16/10/07 28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