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29 18:13:30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ffodil
16/08/29 18:27
수정 아이콘
저도 회계전문가는 아닙니다만, 어느 수준까지 회계 지식을 쌓을지 목표를 정하는게 먼저겠죠. 회계학은 전문자격증도 있는 분야고 대학에서 박사도 있고 교수도 있는 학문인데요. 다만, 주식 투자목적으로 기본적인 이해를 하시기 위한 정도라고 하시면, 제가 들어본 중에는 권오상 회계사 강의가 유익하고 기업 회계 전반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하기에 좋았습니다. 동영상 강의를 한 번 찾아보세요.
이름없는자
16/08/29 18:37
수정 아이콘
1 단순 개인 투자 목적으로는 그정도면 충분합니다. (사실 기초 분석이든 기술적 분석이든 개인이 취급할 수 있는 자료와 기법에 한계가 있어 그 이상의 공부는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어떤 어떤 방법론으로 대박 터트렸다 하는 개인들은 그저 특정 장세에서 운이 아주 좋았던 개인들일 뿐입니다)

다만 향후 관련하여 전문가를 꿈꾸시거나 관련 업종으로의 진출을 염두에 두신다면 좀 더 공부하시는것이 옳겠지요

2. 회계원리의 경우는 당연히 아는 것이 좋고, 도움도 되실 겁니다. (사실 회계원리의 경우 자산 = 부채 + 자본을 장황하게 배우는 수준입니다) 다만 그 이후의 회계학 학습은 주식 투자에 있어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기업재무 투자론 등의 투자 재무 분야 학습이 훨씬 더 목적적합합니다. (다만 이 분야는 특성상 일정 수준의 수학 실력을 반드시 요구하며, 사실 개인 투자 목적으로는 이쪽도 별로 필요치 않습니다. 결국 개인들은 그 투자의 상당 부분을 개인의 감각 내지는 단순 분산에 의존하게 되고, 이런 전문적인 지식을 실제 투자에 응용하려면 학부 수준 가지고는 무리고 최소 석박 수준으로 공부해야 해서 비용대비 효용이 전혀 안 맞습니다)

개인 목적의 투자라면 학문적 이론적 근거를 쌓는 일보다는 소액 투자를 반복해서 시장의 생리를 익히고 각종 뉴스 및 동향을 빠삭하게 파악하시는게 더 도움이 됩니다
16/08/29 19:01
수정 아이콘
.
이름없는자
16/08/29 21:28
수정 아이콘
예 그렇습니다 충분하고, 회계학은 보통 제무제표에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고 인식할 것인가를 다루는데 주식 투자에 있어선 그 정보가 어떤 의미인지만 이해하면 충분하니까요 투자자 입장에서의 현금흐름은 재무 분야가 훨씬 깊이있게 다루고요~ 일단 회계원리 정도만 배우시고 경제지 등등을 틈틈이 탐독하시면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각 항목 정도는 자연스럽게 파악이 되실 것이고 현금흐름표 등은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지실텐데 그 경우 계좌를 튼 증권사의 애널리스트 정보 등을 구독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9122 [질문] 이 로봇의 정체를 아시나요? [2] 세종2722 16/08/29 2722
89121 [질문] 입술이 탱탱 부었습니다. [4] klemens22707 16/08/29 2707
89120 [질문] [엑셀]시트별 데이터 통합 정리 방법? [4] 낙화3244 16/08/29 3244
89119 [질문] 핸드폰 유심 인식에 관해서 [2] 녹차김밥1913 16/08/29 1913
89118 [질문] 종각쪽 식당 및 술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 물범2468 16/08/29 2468
89117 [질문] 파크라이 시리즈 3편부터 해도 될까요? [11] 앓아누워4747 16/08/29 4747
89116 [질문] . [4] 삭제됨1592 16/08/29 1592
89115 [질문] [스타1] 아시아 서버 접속이 안됩니다. [5] 호로2697 16/08/29 2697
89114 [질문] PC 절전 모드질문입니다. [2] 현호아빠2735 16/08/29 2735
89113 [질문] 문명 잘하시는분들 궁금합니다 [4] 패스파인더2652 16/08/29 2652
89112 [질문] 다세대주택 거주자인데, TV계약을 해지하고 싶습니다. [3] 세인트1759 16/08/29 1759
89110 [질문] 분산 표준편차 공식 질문입니다 [3] 복말전도5116 16/08/29 5116
89109 [질문] 색소침착크림 써보신분 계신가요? [4] dragic2258 16/08/29 2258
89108 [질문] 영화표 한장 나눔 합니다. [8] 웅즈2429 16/08/29 2429
89107 [질문] 생활 꿀템은 뭐가 있을까요? [21] 쌀이없어요5075 16/08/29 5075
89106 [질문] 이직 시 이력석 작성 관련 질문입니다. [9] 삭제됨2867 16/08/29 2867
89105 [질문] 내 인생 최고의 국내 드라마를 꼽자면? [99] 디자인5029 16/08/29 5029
89104 [질문] 저사양에서도 ssd로 교체하면 속도체감이 날까요 [9] 가을의전설4416 16/08/29 4416
89103 [질문] 부산 성모병원 어떻게 가는게 빠를까요? [3] 설이2845 16/08/29 2845
89102 [질문] 제 명의의 폰2개끼리 번호변경이 가능한가요? [3] 차주닷컴1651 16/08/29 1651
89101 [질문] [오버워치] 솔큐도입 어떻게 생각하세요? [9] riven2633 16/08/29 2633
89100 [질문] 미러리스카메라 구입관련 질문입니다 [5] 공노비2346 16/08/29 2346
89099 [질문] 메갈과 워마드가 다른가요? [13] 햇가방3230 16/08/29 32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