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8/04 16:02:59
Name 구체적타당성
Subject [질문] 통계학 이중 전공 관련 고민입니다.
학교에 놀러 다니다가 짤리고 졸업장은 이어야 될 것 같아서 재입학하는 아재 대학생입니다.
전공은 경제학이구요. 놀기전에는 학점이 그럭저럭이라서 응용통계학 이중전공을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

이중전공을 계속해야 좋을 지 고민이네요.

어릴?때는 경제와 수학에 정통한 주류 경제&통계학자가 되고 싶은 마음에 신청을 했었는데, 공부를 하다보니 주류경제학쪽은 저랑 잘 맞지 않고 해서 방황을 하다가 학교를 짤린 전적이 있습니다.

짤려서 학교에 못 나가는 동안, 법공부를 조금 했었구요. 취업은 공기업 법무직렬을 시험으로 뽑는 분야로 들어가고 싶습니다. 물론 힘들겠지만요. 로스쿨 생각도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구요. 금융공기업쪽은 경제, 응통 전공에 법까지 되면 메리트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 이런 케이스가 별로 없는 것 같고, 딱히 학교에 아는 사람도 없고 해서 물을 곳이 없어서 글올려 봅니다.

졸업은 경제학만 전공해서 졸업하는 것과 응통 과목까지 같이 이수하는 것이 그리 차이 나지는 않습니다. 아 한 학기 차이나긴 하는데, 경제만 하면 내년 여름에 졸업이되는 지라 딱히 메리트가 없을 것 같아서 경제만 하게 되도 내년 겨울에 졸업할 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1. 응통 복수전공을 달아 놓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는 것인가요?
2. 경제학이 주전공인데, 법무팀으로 취업하고 싶은 사람인데, 응통을 하는 것이 메리트가 있을까요?

정도가 되겠네요.

아 추가로, 성적표 제출시 수강한 과목도 유심히 살펴보나요? 제가 위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주류경제학에는 별로 관심이 없어서 경제사, 경제학설사 이런 거를 주로 들어서요..

더운 여름에 답변과 관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appiness
16/08/04 16:42
수정 아이콘
응통 이중전공 하였는데요,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 말씀드리겠습니다.
거의 응통을 메인전공처럼 살리는 식으로 하실게 아니면 그닥 메리트가 없는 것같습니다.
금융권쪽 취업에는 응통 이중이 도움이 될것 같긴한데요, 그거도 앞서 말한 것처럼 그의 응통을 메인전공처럼 해야 메리트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취직을 그쪽으로 하진 않아서 정확히는 모르고 주변사람들 보면 그런것 같습니다.
법무팀 취직하고는 아주 무관할거 같습니다.
구체적타당성
16/08/04 16:48
수정 아이콘
응통 이중을 하게 되면, 학교 커리 기준으로는 미적,선대,컴자,통방,수통(1,2),회귀분석,시계열분석,실험계획법,다변랑분석,데이터마이닝,금융리스크관리 등 12개를 수강해야 졸업이 되는 건데, 이게 어느 정도 깊이가 있는 지는 잘 모르겠네요. 이 정도면 메인급이 되는 것일까요? 회귀분석까지는 확실히 들을 생각이고 뒷부분은 변경할 생각도 있습니다.
그냥 법무팀에 가려는 것은 아니구요. 한은이나 거래소 같은 곳에서 선발하는 법무직렬 쪽을 생각하고 있어서 그냥 막연하게 법에다가 경제 응통이면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별 필요 없을 것 같긴하네요. 일반 법무팀은 더 그렇겠구요.
16/08/04 16:52
수정 아이콘
업무에 도움이 되는 것은 들어가서 생각하셔도 됩니다.
거래소는 모르겠지만 한은 같은경우는 필기시험이 매우 중요하니 통계직렬로 시험 보실 것 아니면 통계 공부하는 건 거의 의미 없을겁니다.
구체적타당성
16/08/04 16:57
수정 아이콘
공부하면서 미국계리사 몇 과목 준비도 하고 sas관련 자격증도 취득하려고 했는데, 다 하다보면 이것도 저것도 안될 것 같은 느낌이 들긴하네요. 신청자체를 안했으면 별 고민 없었을텐데, 해놔서 취소하려면 귀찮기도 하고 경제학 과목 듣기는 별로 안내켜서 응통으로 채우려했는데, 괜히 머리만 아프네요..ㅠㅠ
Happiness
16/08/04 17:37
수정 아이콘
부전공정도로만 금융리스크 관리나 데이터마이닝 같은 조금 실무적인 과목들 위주로 들어보시는게 어떤가 싶네요.
이걸로 뭘해야겠다, 혹은 내가 미래에 뭘할거니 응통하는게 내게 도움되겠다는 생각이 아니라 그냥 응통 이중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으로 할 필요는 전혀 없는 전공인거 같아요. 그냥 경제학에 집중하는게 공기업 들어가기도 더 좋을거 같고요.
응통 전공인정받으려면 필수과목인 미적,선대, 컴자, 통방,수통1이 다 들어야할텐데 전 쉽지만은 않더라고요. 물론 구체적타당성님은 잘하실수 있겠지만요. 전 응통 이중전공하면서 아무래도 공부량이나 투입시간이 많다보니 다른 것들하고 같이 하기가 쉽지가 않더라고요.
차라리 응통이중할거였으면 컴과 이중할걸 그랬다 하는생각이 지금은 더들고.. 약간 어느쪽으로도 애매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회자정리
16/08/05 03:04
수정 아이콘
금공이 목표라면 응통 이중 할 시간에 필기공부하시는게 맞습니다. 특히 계량 쪽으로 공부했던게 아니라면요.

그리고 soa 몇개 따는거, 보험사 들어갈거 아니면 정말 아무 쓸모없습니다. 요새도 보통 열리려나 모르겠는데 들어보시면 난이도 의외로 낮지도 않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7738 [질문] 서울 용산 혹은 강남 근처 괜찮은 와인바 추천받습니다 [5] Matt Harvey3075 16/08/04 3075
87737 [질문] 중고컴퓨터 가격좀 봐주세요. [2] 아가미라이토2717 16/08/04 2717
87736 [질문] 애완동물 호구조사(?) 해볼까 합니다. [17] 불통왕3583 16/08/04 3583
87735 [질문] usb허브 연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SuiteMan2562 16/08/04 2562
87734 [질문] 아이팟 터치 질문입니다(21:00 추가질문). [2] 성기사2403 16/08/04 2403
87733 [질문] 티몬으로 해외여행 해본신 분 계신가요? [4] Petrus2770 16/08/04 2770
87732 [질문] 싱글/정규에 같은 곡이라면 무엇을 들으시나요? [15] ComeAgain2463 16/08/04 2463
87731 [질문] [스타1] 키보드 마우스 동시 입력 질문. [1] 삐니키니6166 16/08/04 6166
87730 [질문] 전세집에 월세로 들어가려하는데 주의사항 있을까요? [6] 츄츄4023 16/08/04 4023
87729 [질문] 익스플로러 업데이트 질문 [1] 공무원1929 16/08/04 1929
87728 [질문] 수영만 꾸준히 하고있는데 근육이 나올까요? [9] 적당히해라3691 16/08/04 3691
87727 [질문] 야구는 왜 타 스포츠에 비해 상위픽이 대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나요? [13] 삭제됨3773 16/08/04 3773
87726 [질문] [디아3] 시즌 7 케릭터 [4] keycup4392 16/08/04 4392
87725 [질문] 그래픽카드 없는 i7 PC는 무슨 용도인가요? [16] 맥아담스7995 16/08/04 7995
87724 [질문] 20대 청년 인생 상담 부탁드립니다. [28] 페리오상사5609 16/08/04 5609
87723 [질문] 통계학 이중 전공 관련 고민입니다. [6] 구체적타당성3133 16/08/04 3133
87722 [질문] 주차만 배우고 싶은데요..(운전학원) [7] 비야레알2881 16/08/04 2881
87721 [질문] 치아교정후 차이가 큰가요? [18] 레인이4248 16/08/04 4248
87720 [질문] 판타지 소설 추천 [16] Magicien5479 16/08/04 5479
87719 [질문] 난관에 부딪친 홋카이도 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살려야한다2116 16/08/04 2116
87718 [질문] 고프로도 정품아닌게 있나요? [4] 이라세오날2950 16/08/04 2950
87717 [질문] 보험 영업직은 어떤가요? [20] 레너블7103 16/08/04 7103
87716 [질문] 영어회화 학원을 다니려고 합니다. [1] [twenti]2157 16/08/04 21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