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7/21 13:04:08
Name 믹키222
Subject [질문] 자게 연봉표보고
실수령 500이면 어느정도에요?진짜 500번다고

10%정도에드는건가요 직장인?;;;;;;;;;;;;;;;;;;

20대중반에 실수령 500이라함은 어느정도인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희최고
16/07/21 13:04
수정 아이콘
실수령 500이면 못해도 7천 이상이니까. 거의 10%에서도 상위권일것 같은데요?
정지연
16/07/21 13:11
수정 아이콘
20대 중반으로 한정지으면 10%가 아니라 5% 안에도 들 수 있을거 같아요..
그 연봉표는 나이에 상관없이 평균을 낸거니까 보통 어리면 적게 받고 나이가 들수록 많이 받는 구조상 20대 중반나이면 대개 바닥쪽을 형성하는 시기인데 그 시기에 실수령 500을 받으면 엄청 많이 받는거죠
윤가람
16/07/21 13:17
수정 아이콘
20대 중반에 실수령 500이면 꽤 괜찮은 수준이죠.
RedDragon
16/07/21 13:20
수정 아이콘
20대 중반 실수령 500이면 1% 안에 들 걸로 확신합니다. 대기업 초봉중 가장 높은곳이 6천대 급인데...
16/07/21 13:21
수정 아이콘
남자가 군대갔다가 대학 졸업만 해도 20대 후반이고
여자는 20대 중반이죠

그런데 실수령 500이면 20대 한정에서는 5%? 오버해서 1%에도 해당할 듯
미터기
16/07/21 13:21
수정 아이콘
20대의 적어도 90%는 순수300못찍는경우가많을꺼같아요
미메시스
16/07/21 13:23
수정 아이콘
뭘해야 20대 중반에 500을 받죠 덜덜..
미터기
16/07/21 13:24
수정 아이콘
제친구가 공사다니면서 해외파견가니깐 통장에 1100찍히더라구요 .. 27이였나 그쯤에..
비둘기야 먹자
16/07/21 14:10
수정 아이콘
뭐 많죠. 금융, 컨설팅 등.
은행 취업했던 친구 첫해 연봉이 8천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모여라 맛동산
16/07/21 13:28
수정 아이콘
저 정도면 매우 잘 받는 거죠.
Leeroy_Jenkins
16/07/21 13:32
수정 아이콘
20대에서 실수령이 500이면 괜찮은 수준이 아니라 1%안에 들꺼같은데요.
위에 미터기님이 말씀하신대로 적어도 90%는 순수 300도 못찍을겁니다. 아니 300이 뭐야...
신입사원
16/07/21 13:33
수정 아이콘
현재 27에 250받습니다 ㅠㅠ 500이면 후덜덜이네요
Meridian
16/07/21 13:54
수정 아이콘
20중반에 net500이면 전문직 정도아니면 상상이 안되네요
믹키222
16/07/21 14:07
수정 아이콘
변호사나 회계사정도되야 (의사) 500이상찍히는건가요? 통장에찍히는돈.
비둘기야 먹자
16/07/21 14:12
수정 아이콘
변호사는 근데 공부도 많이 해야하고 남자 기준 30전에 일 시작하긴 힘들꺼에요 높은 확률로. 연수원 / 로스쿨 갔다와서 서른 초반에 로펌에 취직하면 초봉 1.3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500이상 받는다고 봐야죠.

회계사는 500 못찍을거 같은데 업계분 계시면 알려주세요.
강희최고
16/07/21 14:13
수정 아이콘
20대에 그 정도면 변호사는 가능은하겠지만 회계사는 어림없죠. 의사도 가능할수도 있을것 같네요
어둠의노사모
16/07/21 14:15
수정 아이콘
의사는 전문의 하는순간 30대 중반이니 안하고 야근 당직 같은 거 뛰어야 20대에 나올 것 같고...
변호사는 로스쿨 줄업하고 변시 치고 수습기간까지 하고 군대 갔다와야 하니 나이상 힘들고,
회계사는 빨리 붙으면 업무 좀 빡세게 하면 가능 할 수도 있긴 하겠네요.
근데 대기업이나 금융권도 페이 쎈 곳은 가능할 것 같은데요. 졸업하자마자 붙고 일하면
아무로나미에
16/07/21 15:36
수정 아이콘
의사는 국가고시 붙고 인턴 전문의 안하고 개원가나와서 일이년 지나면 오백받아요. 운이 좋으면 취직하자마자 받기도하구요
동네형
16/07/21 14:44
수정 아이콘
20대 중반에 월 500 벌어본 친구는 있어도 연봉 7000 받아본 친구는 상위 1% 안쪽 입니다. 0.XX 겠죠
아이지은
16/07/21 16:34
수정 아이콘
제친구가 약사로 24살인가 개처럼 일해서 한달에700씩 1년벌더라구요
16/07/21 16:43
수정 아이콘
네 전체 비율로 보면 그렇게 받을 수 있는 사람은 굉장히 소수입니다. 보통 잘 버는 사람들만 이야기가 되고 소문이 나고 그러니까 많은 것 같죠. 침묵하는 절대 다수 평범한 직장인은 훨씬 못 법니다...
우주인
16/07/21 17:36
수정 아이콘
주변에 변리사로 일하는 친구가 진짜 밤낮없이 일하고 20대에 받은 첫해 연봉이 7000정도였습니다.
돈을 많이 벌긴하지만 일하는걸 보면 부럽진 않더라구요.
16/07/21 20:44
수정 아이콘
20중반이라고 하면 26 까지라고 보고.. (0~3 초반 4~6 중반 7~9 후반) 그럼 너무 빡센데요? 남자 기준으로 생각하면 최단루트로 온게(조기졸업 제외) 26에 입사인데요. 만으로 따져도 여유가 별로 없네요. 아무튼 그렇게 봤을때 생각 외로 의치한/약사/변호사는 힘들거라고 봅니다. 약대도 약전으로 바뀌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며 군대를 갔다와야 하니까요. 변호사 역시 로스쿨이 있고 의치한은 돈을 못벌거나 군대에 있거나 택1 이라서 그 나이에 500 못벌죠.

그렇게 빼고 나면 대기업 정도가 남는데 대기업은 여기 댓글 생각보다는 잘버는거 같습니다. 제 주변 사람들이 특별히 엘리트코스 밟는게 아닌 이상에야. 설포카급 전화기 나왔으면 중간 정도 하면 그정도 받았던거 같아요. 초봉 자체가 5천 넘고 몇 년 전에는 잘나갔던;; 엔지니어링 이런 회사들 보면 해외 파견을 보내는데 해외 파견 보너스가 쎄죠. 성과급도 잘 나왔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959 [질문] 레진코믹스 기업가치... [4] 트루키7021 16/07/22 7021
86958 [질문] 사람이 좀 많은 장소에서 발을 두번 밟혔는데 제가 칠칠치 못한 걸까요 [4] plane3061 16/07/22 3061
86957 [질문] 포켓몬 추천해주세요! [6] Sgt. Hammer3333 16/07/22 3333
86956 [질문] 지금 국내에서 무슨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건가요? [11] 조이4062 16/07/22 4062
86955 [질문] [LOL] 라이엇 팝업스토어(현대백화점 판교점) 가보신분 계신가요? [2] 소주3736 16/07/22 3736
86954 [질문] [LOL] 방금 전 유게에 있던 LCS 중계 캐스터 관련 글 왜 삭제됬나요? [13] 마그니3447 16/07/22 3447
86953 [질문] 강아지 목욕하고 나오면 이상한 행동을 해요. [10] 청록4308 16/07/22 4308
86952 [질문] 노트북 고장 문의드립니다(하드디스크 인식불가) [2] 해피바스2841 16/07/22 2841
86951 [질문] [WOW] 드군 이후의 와우 스토리가 궁금합니다 [3] WeakandPowerless3540 16/07/22 3540
86950 [질문] 펀드가 재테크로써 괜찮나요? [2] 파랑파랑3050 16/07/22 3050
86949 [질문] 유게에 있던 이번 논란 관련글들이 왜 이렇게 삭게에 간 것인가요? [12] nELLmOtSiwA2851 16/07/22 2851
86948 [질문] 메갈과 메갈4가 상관없다고 인식하는건 어떤점에서 그러는거죠? [13] 이홍기4373 16/07/22 4373
86947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입니당 [1] 빅픽쳐2400 16/07/22 2400
86946 [질문] 회계 관련 pt발표를 하려고 하는데 [4] Genius4894 16/07/22 4894
86945 [질문] 컴퓨터 고장 및 업그레이드 질문드립니다. 으컁/3099 16/07/22 3099
86944 [질문] 노트북 선택 질문입니다 ehTm3325 16/07/22 3325
86943 [질문] 차 보닛안에 병뚜껑이 들어갔어요 [2] Amalfi3130 16/07/22 3130
86942 [질문] GTX 1060과 pci express 2.0 성능에 관한 문의 [10] 굳삽16712 16/07/22 16712
86941 [질문] 김정은이 했던 말에 대해 궁금한게 있는데요. [5] 미하라2814 16/07/22 2814
86940 [질문] gtx 960->1060 체감 차이 클까요? [10] 맥아담스22598 16/07/22 22598
86939 [질문] 안녕하세요. 혹시 러시아여행 해보신분 계신가요? [3] 탑돌이녀3414 16/07/22 3414
86938 [질문] 최고 권력자의 XX를 목격하게 되신다면... [38] 마르키아르5143 16/07/22 5143
86937 [질문] 워크래프트2, 디아블로1 구매 관련 [2] 박신영3763 16/07/22 37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