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6/18 20:13:29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질문] 짠음식은 양이 중요한가요? 농도가 중요한가요?
짠음식, 나트륨을 많이 먹으면 건강에 안좋다는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인데요.

그런데 만약..


음식을 남들보다 많이 먹는 편인 A와

음식을 남들보다 적게 먹는 편인 B가 있을때..



A가 B보다 음식자체는 싱겁게 먹지만,

B보다 먹는 음식의 절대량이 2배 더 많아서, 소금 섭취량은 50% 더 높은 경우..



둘중 무엇이 더 건강에 해로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6/18 20:19
수정 아이콘
질문에 답이 있네요. 병원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이라고 했을때 가장 범하기 쉬운 오류는 국에 물을 타서 희석해 먹는것입니다. 나트륨의 섭취가 건강에 안좋으므로 물을 타든 말든 나트륨의 양이 중요하게 되겠습니다. 따라서 싱겁게 소금 섭취량이 높은 B가 건강에 해롭습니다.
16/06/18 20:22
수정 아이콘
내 몸에 흡수되는 소금의 절대적인 양입니다.
16/06/18 20:24
수정 아이콘
양이요
소독용 에탄올
16/06/18 20:35
수정 아이콘
A와 B의 체중이 말씀하신 비율을 넘어설 정도로 차이가 난다면 B가, 아니라면 A겠지요.
50%더먹는 A조차 염분 권장섭취량에 상당히 미달한다면 B쪽이 문제가 될 공산도 있습니다.
정지연
16/06/18 20:36
수정 아이콘
염분섭취에 있어서 농도는 별로 안 중요합니다.. 아무리 짜도 조금만 먹으면 그만이거든요.. 염도가 별로 안 높아도 잔뜩 먹으면 그게 더 문제입니다..
16/06/18 20:38
수정 아이콘
라면을 생각하시면 되죠. 물 많거나 적거나 다 마시면 똑같은겁니다. 그냥 절대량.
맥아담스
16/06/18 21:55
수정 아이콘
A와 B의 체중이 같다는 전제하에 당연히 소금 절대 섭취량이 높은 B가 더 해롭죠.
자유형다람쥐
16/06/18 22:57
수정 아이콘
해로운 건 당연히 절대섭취량이 많은 쪽이지만...
짜게 먹는 버릇이 들어있는 경우라면 짠맛에 둔감해질 수 있으미 항상 소식하는 사람이 아닐 때 좋지 않겠죠. 언제나 일정한 나트륨량을 섭취하지는 않을테니까요.
개념테란
16/06/18 23:17
수정 아이콘
둘 다 중요합니다. 농도도 중요해요.
나트륨 농도가 높은 음식일 경우 위에 자극이 많이 되어 위암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킵니다. 그런 경우엔 묽게 해서 먹는다면 효용이 있겠죠.
반면 양이 많아질 경우 전해질 불균형이나 삼투압 상승이 문제가 되죠. 부정적인 영향은 서로 다르지만 어쨌거나 절대량이나 농도 모두 신경써야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4942 [질문] 새끼 강아지들에게 꼬이는 파리,벌레 처리법 있을까요 [2] 아리아리해3129 16/06/18 3129
84941 [질문] 크루세이더 킹즈2류 게임 질문입니다 [8] 아마존장인5561 16/06/18 5561
84939 [질문] 자동차수리 관련 질문합니다. 블루핸즈 vs 공업사 [3] 휴울3888 16/06/18 3888
84938 [질문] 짠음식은 양이 중요한가요? 농도가 중요한가요? [9] 마르키아르3569 16/06/18 3569
84937 [질문] 사무라이 액션 애니좀 소개시켜 주세요 [21] 물통이없어졌어요5041 16/06/18 5041
84936 [질문] 친구들과 할만한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3] banelingMD2896 16/06/18 2896
84935 [질문] 뜨거운것 못만지시는분.....??? [19] 삭제됨5684 16/06/18 5684
84934 [질문] ps4게임 질문(블러드본과 다크소울) [10] 삭제됨4064 16/06/18 4064
84933 [질문] 외국은 공무원 채용을 어떤 방식으로 하나요? [1] 이민정­2317 16/06/18 2317
84932 [질문] 라틴어 배울만한 사이트 있나요 다혜헤헿1811 16/06/18 1811
84931 [질문] 농도 환산 과정 질문드립니다. [2] Krystal1642 16/06/18 1642
84930 [질문] 연혁은 오래되었는데 기업정보가 없는 기업 어떻게 생각해야할까요? [4] aura2814 16/06/18 2814
84929 [질문] 올레tv모바일 영화 상품 질문입니다 [2] 빵pro점쟁이2777 16/06/18 2777
84928 [질문] [오버워치] 화면 상단 아이콘 질문 드립니다. [2] 그림속동화3805 16/06/18 3805
84927 [질문] 광주 근처 해수욕장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승뢰8029 16/06/18 8029
84926 [질문] [디아3] 디알못 수도사템 비교 좀 부탁드립니다. 스샷 있어요! [10] 비싼치킨3691 16/06/18 3691
84924 [질문] 가주어 질문입니다 [1] 사랑총1869 16/06/18 1869
84923 [질문] [LOL] 16 롤챔 섬머 1라운드까지 놓고 볼때 각 라인별 1위는? [7] 딴딴2188 16/06/18 2188
84922 [질문] [연예인] 트와이스 질문입니다. [8] 너부리야놀자3647 16/06/18 3647
84921 [질문] 지금 대학동 왔는데 사양 좋은 pc 방 없나요? [6] 하나5844 16/06/18 5844
84920 [질문] [LOL] 다음 PBE 패치 중 이 내용 이해가 어렵네요 [3] legend3197 16/06/18 3197
84919 [질문] 설문조사 결과를 찾고 있습니다. (정의관에 관한) [2] 돌오시1626 16/06/18 1626
84918 [질문] 혼자살게되었습니다. 플스4구매 vs 피씨구매. 어떤게좋을까요?고민입니다 [25] 선동가6071 16/06/18 60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