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23 19:02:28
Name klemens2
Subject [질문] 영화 곡성 많이 무섭나요?

곡성 내일 혼자 보러 가려고 하는데, 혼자서 공포 영화 잘 못 봅니다.

스포 없는 영화 평들을 보면, 곡성이 많이 무서운 편인 것 같아서 질문해봅니다.

참고로 제가 영화관에서 본 가장 무서운 영화가 태국 영화 셔터 였는데,

너무 무서웠습니다. 친구들이랑 같이 안 갔으면 끝까지 못 봤을게 확실했습니다.

혼자 본 영화 중에는 하정우 나온 추격자가 저의 공포한계선(?)에 가장 근접한 것 같은데,

추격자 정도만 되어도, 사람 많은 시간대에 보러 가려고 하는데 말이죠.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첸 스톰스타우트
16/05/23 19:12
수정 아이콘
소재에 비해서는 뭔가 갑툭튀로 사람 놀래키거나 이런건 그닥 없고.. 작품 내내 분위기 자체가 영화 끝까지 계속 관객으로 하여금 염통을 쫄깃하게 만듭니다. 제가 추격자를 영화관에서 못보고 dvd로 봐서 그런진 몰라도 추격자보다 그 쫄깃한 긴장감이 훨씬 더했습니다. 영화의 몰입감으로는 세븐데이즈를 연상케 했고 긴장감으로는 비교할 한국 영화를 찾기가 힘드네요.
klemens2
16/05/23 19:14
수정 아이콘
하 추격자보다 쫄깃하면 영화보면서 힘들 것 같은데, 고민되네요.
야릇한아이
16/05/23 19:17
수정 아이콘
저도 무서운 영화는 일절 보지 않는데, 곡성 정도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심야영화로 보러가서 같이 보는 인원수가 10명 내외 정도가 아닌
드문 드문 사람들이 있고 자리가 넉넉한 정도면 혼자 보셔도 될 것 같아요.
klemens2
16/05/23 19:25
수정 아이콘
그래야겠습니다. 예매로 사람들 적당히 있는 시간대로 골라가야겠네요. 감사합니다.
Scatterbrain
16/05/23 20:02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무섭다고들 하는 그런 공포류는 아닙니다. 스릴러인데 그 긴장감과 몰입감이 끝내줘요.
The xian
16/05/23 20:08
수정 아이콘
무섭다기보다는 무겁습니다.
릴리스
16/05/23 20:19
수정 아이콘
전혀 안무섭습니다.
윤소희
16/05/23 20:21
수정 아이콘
무섭다기보다는 하도 긴장하면서 봤더니 나올때 어깨가결려요. 크크
뽀로뽀로미
16/05/23 20:21
수정 아이콘
옛날 공포영화 '여곡성' 이후로 영화보고 밤에 잠 못들기는 그냥 '곡성'이 처음이었다는 사람 1명 봤습니다 크크

그런데 대부분은 안 무서워합니다. 긴장감은 잔뜩입니다.
klemens2
16/05/23 20:38
수정 아이콘
댓글 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내일 잘 보고 오겠습니다.
16/05/23 21:05
수정 아이콘
제 여친 친구들이랑, 제 여친이 다니는 여초사이트 사람들은 곡성 보고나서 잠을 못 잔다더군요 크크
전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도들도들
16/05/23 21:20
수정 아이콘
깜짝깜짝 놀래킨다기보다는 긴장감과 몰입감이 높은 쪽입니다.
16/05/23 22:21
수정 아이콘
겁많은편인데 이건 웃으면서 봤어요.
16/05/23 23:34
수정 아이콘
무섭지는 않고 이게 뭐야 싶었습니다.
16/05/24 02:48
수정 아이콘
보시다가 무서우면 옆사람 손을 잡...
Senioritis
16/05/24 06:43
수정 아이콘
누가 처음에 엄청 무섭다고 선동한진 몰라도 제 주위에도 대다수가 엄청 무서운 영화 아니냐고 하는데
전혀 안무섭습니다 추적자보다 안무서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3494 [질문] 어깨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있나요.. 방카르트.. [10] 구닌4534 16/05/23 4534
83493 [질문] 영화 곡성 많이 무섭나요? [16] klemens25790 16/05/23 5790
83492 [질문] 인터넷 설정?이 리셋 되는 것 같습니다. 조이1289 16/05/23 1289
83491 [질문] 물리 - 모멘텀플럭스와 응력? [2] MagicMan2825 16/05/23 2825
83490 [질문] [노트북] 사설보다 무상 as를 받는 게 낫나요? [8] Camomile2306 16/05/23 2306
83489 [질문] [모니터] VA패널은 어떤가요? [4] 몽유도원6090 16/05/23 6090
83488 [질문] 지리산 둘레길에 대한 질문입니다. 장동민1345 16/05/23 1345
83487 [질문] 요즘 금니 얼마정도 하나요? [8] 별빛이내린다2299 16/05/23 2299
83486 [질문] 바이크 등록 질문입니다. [5] 여자친구1326 16/05/23 1326
83485 [질문] 축구 커뮤니티에서 야구 싫어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30] 톰가죽침대4788 16/05/23 4788
83484 [질문] . [22] 삭제됨4099 16/05/23 4099
83483 [질문] 현금가 인터넷에 써놓고 견적서 요청하니 10% 더 요구하는 컴퓨터 업체 [30] 홀리워터4953 16/05/23 4953
83482 [질문] 컴퓨터 스피커 추천 부탁드립니다 [5] 개마초로스1956 16/05/23 1956
83481 [질문] 이탈리아 여행 문의 [8] 라다2621 16/05/23 2621
83479 [질문] ssd 삼성 850 evo 샀는데요. 840 evo랑 차이 많이나나요? [6] 라울5733 16/05/23 5733
83478 [질문] 피지알의 관련글 댓글화와 관련된 규정은 어디가면 볼 수 있나요? [4] TheLasid1751 16/05/23 1751
83477 [질문] 조립컴퓨터 설치비용(조립비용)? [27] 파란무테9175 16/05/23 9175
83476 [질문] SSD 사려고 하는데 무엇을 사야하나요 ㅠ [3] 신입사원2525 16/05/23 2525
83475 [질문] 자동차 관리 질문드려요~ [13] 잠이오냐지금2267 16/05/23 2267
83474 [질문] 컴퓨터에 시디가 인식이 안 돼요. [2] 커피보다홍차2401 16/05/23 2401
83473 [질문] 바디워시, 샴푸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2] 마그니5588 16/05/23 5588
83472 [질문] 편의점 에너지 드링크중 가장 효과가 센게 무엇일까요 [24] Jace Beleren3354 16/05/23 3354
83471 [질문] 노트북의 내장 스피커가 인식되지 않습니다. 화잇밀크러버2180 16/05/23 21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