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5/18 17:19
일반적으로 Gang 장비라고 불리는 라이팅 장비로 IC 상태에서 다운로드후에 보드에 부착 하는 방법이 있고
빈 IC상태에서 보드에 부착후 PCB 형태로 제작된 양산지그에 삽입되어 말씀하신 ISP 장비나 다운로드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6/05/18 17:33
씨랄국에찬밥님이 잘 말씀해 주셨는데 많은 수량을 단기간에 찍어내야 하는 경우 칩 벤더에 프로그램 이미지파일을 보내 필요한 수량만큼 writing해서 납품받는 경우도 있고 칩 벤더에서 그런 서비스를 제공해주지 않는다고 하면 Rom writer라는 장비를 가지고 있는 업체를 통해 PCB에 부착되지 않은 IC 상태에서 이미지 writing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외 수량이 적고 기간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공 IC를 일단 조립하고 제품 생산과정에서 ISP를 통해 writing하기도 합니다. atmega 같은 경우는 워낙 많이 알려지고 isp interface가 공개되어 있는 상황이라 상위레벨의 다른 CPU가 들어가는 제품이라면 아예 writing 조차도 하지 않고 서버에서 이미지를 받아 writing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16/05/18 18:04
정말 신기하군요... ROM-Writer의 경우를 보니까 가격이 천차만별인데
이걸 구비하는 비용보다는 자동화하는 비용이 더 클거 같으니... 저도 칩을 생산할때 넣어줄것이라고 추측은 했었지만 물량이 작을 경우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네요. 마지막은 좀더 찾아보아야겠습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