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5/02 00:19:20
Name iMac
Subject [질문] 컴싸학부 졸업생 및 재학생 여러분..몇가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비전공자  프로그래머를 지망하고 있는 iMac입니다.

몇가지 조언을 구하고자 질문을 올립니다.

1.  컴과수업

컴과 수업을 듣고 있는데, 빠르게 필수과목만 듣고 있는지라

어떤 수업 및 개별 학습을 해야할지 고민이 되는데

현재 알고 db 운영체제 ds  , 회로, 컴구 등 굵직굵직한 메인 과목 위주로 듣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네트워크(TCP/IP )  ,임베디드 , 시스템 프로그래밍 ,  등등 로우레벨 쪽은 수강을 못하고있는데

이건 꼭 들어야한다 ! 라고 생각되시는 과목 좀 있으면 추천해주시겠어요?

2. 진로


1번 질문과 관련한 진로도 말씀드리고 싶은데 진로를 아직 못정했습니다 ㅠㅠ

질문이 너무 막연하다는 것도 알고 그러는데

컴공과 하게된 이유도 C언어가 재밌고 알고리즘이 재밌어서 시작한지라 .. (1년 됐습니다.)


프로그래밍 경험은 웹 개발정도 해본정도입니다.

언어는 대충 C++ 자바 정도 다루고 웹개발할때 JS 종류들 유망하다 그래서 열심히 해놓긴해놨습니다.


창업도 생각안해본건 아닌데 일단은 더 배우고 싶은 마음이 더 큰지라 고민이 됩니다.


컴싸 졸업하고 취업을 보통 어느방향으로 하시나요?

사실 전공 지식이 약한지라 job interview도 어떻게 해야할지도 감이 안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네형
16/05/02 00:21
수정 아이콘
네트워크 는 굵직굵직한 메인 과목이구요.
임베디드는 취업하려는 방향따라서 옵션정도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취향탈꺼 같은데 제 의견에선 굵직굵직한 메인과목입니다.

저는 그냥 공채 떠서 원서 써서 입사했습니다;;
16/05/02 01:35
수정 아이콘
공채를 쓰더라도 어떤분야에 해야하나 막연한감이 커서 그런것같습니다.

대기업에 가더라도 어떤 분야에 가게될지는 그냥 .. 가서 교육받는게 전문분야가 될확률이 클련지요
동네형
16/05/02 01:42
수정 아이콘
대기업 다니는 입장에서 봤을때
회사하나 만들어서 운영해본 수준 아니면 졸업생한테 별 기대 안할꺼 같은데요...

서버일지 클라이언트일지는 입사후에 배정받는 파트서 to나는곳에서 땡겨갈꺼고
시키는거 하는거죠.

어느 회사 입사냐 따라 다르겠지만
학사 신입은 그냥 유치원생 느낌입니다.

처음부터 다 다시배우니까요.

대기업 기준으로 전공면접 자체가 형식이상인 곳은 몇곳 안되고
그게 그닥 영향이 있는지도 잘...

코더는 외주 주고 연구원은 박사 뽑고..

저는 사람인이였나 인쿠루트였나 1000대 기업 중에서
지원자격만 되면 공채뜨는대로 다썼습니다. 그중 하나 되더라구요.
포도사과
16/05/02 00:53
수정 아이콘
시스템 프로그래밍이랑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은 많이 묶이는 과목이지 않나요? 시스템 프로그래밍하시면 네트워크할때 이득이 많이 되실거같아요.
자바초코칩
16/05/02 01:16
수정 아이콘
1.
시프랑 네트워크랑 묶일 수가 있나요? 저희는 전혀 관계 없었던 것 같은데..
시프에서 뭘 배우시는지 알아보시고 질문 올리시면 더 좋은 답변이 달릴 것 같습니다.
더불어 네트워크는 꼭 들으시길 바랍니다.

2.
컴싸가 요즘 거의 모든 대기업에서 다 공채모집을 하고있죠..

PS.
참고로 컴싸 전공하셨으면, 언어 다룰 줄 아는건 크게 의미 없습니다.
컨셉이 비슷한 언어들은 신택스만 조금 익히면 그 나물에 그 밥이라..
혹시나 더 공부하실 생각이면, 언어나 알고리즘 하나 더 외우는 것 보단 수학과목들 열심히 해두시는걸 추천합니다.
16/05/02 01:33
수정 아이콘
1. 음 제가 드린 질문의 의도는 아닌것같은데 아직 듣지 않은과목들 그냥 나열한겁니다.. 흐흐
제가 알고있는 학교 수업에서는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어셈에서 변환과정 관련 과목으로 알고있는데 네트워크랑은 좀 다른것같습니다.

2. 사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준비해야하나 그런 고민이 들어서 질문을올렸씁니다. 같은 대기업이더라도 서버쪽 팔수도있고 네트워크도 팔수도 있으니..
어떤 분야를 더 공부해야하는건지 막연합니다..

수학은 이산수학 선대 들었는데 또 다른거 괜찮은 과목이 있을까요?
자바초코칩
16/05/02 01:53
수정 아이콘
1.
제가 포도사과님에게 댓글 단다는 것이 같이 달아버렸네요. 흐흐.
시프에서 배우는 내용이 그런 것이면 굳이 들을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2.
글쎄요. 그냥 다른 학생들 대기업 입사준비하듯이 하시면 됩니다. 어학 점수 따고 자소서 인적성 준비하는 등등..
학부 레벨로 전문분야를 따지긴 힘들고..
다양하게 알고 있다가 회사 가셔서 맡은 업무에 따라 고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수학은 대졸수준에는 별 필요는 없고..
말 그대로 석박(특히 박사)레벨까지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말씀하신 이산수학. 선형대수학은 정말 중요하고 확률론이나 조합론도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arq.Gstar
16/05/02 01:33
수정 아이콘
커리큘럼상 학부생때 들을수 있는 분야는 다 들어 두세요.
그때 이외에 딱히 할수 있을때가 없으니까요. 전반적인 지식은 많이 알면 좋으니까요.

전공과목만 전과목 A ~ A+ 정도로만 받을 실력 되어도, 개발자로 실력 잘 쌓을 수 있는 기초가 됩니다.
아는만큼 개발한다고, 많이 알면 코드에 반영되는 지식도 달라집니다.
16/05/02 01:35
수정 아이콘
네 학기수 되는대로 최대한 들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칸나바롱
16/05/02 01:47
수정 아이콘
보통 대기업을 갈 경우 전공지식이나 입상 실적 같은게 엄처어어엉 중요하구요..

스타트업에 취직할경우 상대적으로 포트폴리오가 중요합니다.. 궁금한점 있으시면 쪽지주세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건데.. 굵직굵직한 수업만 잘 들으시면 됩니다..
칸나바롱
16/05/02 01:57
수정 아이콘
아 수학의 경우는 그래픽스 갈꺼 아니면 다른거 다 필요없고 이산수학, 자료구조, 알고리즘.. 확률만 겁나 파주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론 언어론이랑 컴파일러를 성적이 안나오더라도 듣는게 좋은거 같아요.. 이때 아니면 못들을 과목이라..
16/05/02 08:30
수정 아이콘
선택 가능한 학점은 전부 전공으로, 기왕이면 고수준부터 저수준까지, 이론에서 실전까지 고르게 채우시길 추천합니다. 학부 과목만으로 할 수 있는 건 많지 않지만, 이런 베이스마저 없으면 이후 운신의 폭이 아주 좁아집니다. 나름 평소에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들조차 5분 검색하면 끝날 것을 키워드를 몰라서 직접 만드느라 1~2주 삽질하는 경우가 허다해요. 배웠던 내용들을 다 까먹더라도 머릿 속에서 개념과 키워드를 매핑할 수 있으면 등록금 값은 했다고 보구요. 사실 이것도 말처럼 쉽지 않은게 제 경우 cs 전공 과목은 전부 A였지만 키워드 하나가 안 떠올라서 텍스트북 다시 뒤져 보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실라버스를 잘 읽어보시고 과목들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구요

그리고 인터뷰 준비를 위해서라도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탄탄하게 준비해놓으세요. 보통 신입에게 바라는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생각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기본기 되어 있고 공부하는 자세만 가지고 있어도 기대 이상이거든요. 다만 이걸 쉽게 확인하기 어려우니까 학교 다니면서 짠 코드를 깃헙 같은 곳에라도 정리해두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16/05/02 08:37
수정 아이콘
취업과 관계없이 일하는데 가장 필요한 수업이라하면 소프트웨어 공학이 1번이라 생각합니다. 아무도 추천이 없어서 목록에 함께 넣으셔도 될것 같습니다.
적어주신것중 면접 질문에 많이 나올 건 네트워크
>= 시스템프로그래밍 > 기타 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할 때 프로그래밍실력은 기본으로 받춰주면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은 컴구이고요.
MDIR.EXE
16/05/02 09:00
수정 아이콘
자료구조, 알고리즘이 정말 중요하고 운영체제랑 프로그래밍언어론도 도움 많이 됩니다.
바닷내음
16/05/02 12:21
수정 아이콘
어느 대학교 컬리큘럼인지는 모르겠지만 대충 3학년 과목까지가 메인 굵직한 과목이고 4학년 과목이 세부전공을 따라가는 옵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료구조, 알고리즘, OS, 시스템프로그래밍, 회로이론 등등은 무엇을 하시나 필수로 들으셔야되고
이를 토대로 나아가는 네트워크, DB, 컴파일러 등등은 세부 전공을 뭘로 하시냐에 따라 선택하시면 될것같습니다.
그리고 위의 어느분께서 말씀하셨다시피, 수학과목을 열심히 들으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특히.. 이산수학..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299 [질문] 해외 고객 방문시 가져갈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솔마3533 16/05/02 3533
82298 [질문] 일본어 만화책 구입 질문 [21] AspenShaker2968 16/05/02 2968
82297 [질문] 구글 검색기록 삭제방법 문의 [2] 기아말고크보팬3420 16/05/02 3420
82296 [질문] [I.O.I] 앨범 스페셜판... [7] 저글링아빠2347 16/05/02 2347
82295 [질문] [스타1] 05-06년 정도에 준프로 땄던 기록 찾을 수 있나요? [2] 파급효과4375 16/05/02 4375
82294 [질문] [스포주의]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 원작에 대한 몇가지 질문입니다! [5] HesBlUe2368 16/05/02 2368
82293 [질문] [오버워치] 베타키.. [2] Leeroy_Jenkins2238 16/05/02 2238
82292 [질문] 미국이 세계의 경찰을 자처하는 이유가 뭔가요? [13] Mosby5137 16/05/02 5137
82291 [질문] 오키나와에 갑니다. [7] Bettersuweet3094 16/05/02 3094
82290 [질문] 오늘 단축 근무 하시는 분들 있나요? [19] 에릭노스먼3319 16/05/02 3319
82289 [질문] 의류 쇼핑몰의 방문자 대비 구매자의 비율은 어느정도인가요? [9] AirQuick2205 16/05/02 2205
82288 [질문] 알람어플 추천해주세요. [1] kogang20011927 16/05/02 1927
82286 [질문] 삼국지 질문. [20] 어이!경운기3175 16/05/02 3175
82285 [질문] 노래방 영상 찾습니다 탱크로리1273 16/05/02 1273
82284 [질문] 춘천 2박3일 여행가려고 합니다 [2] BlueSKY--2323 16/05/02 2323
82283 [질문] 카메라를 바디만 50장으로 산다면? [4] RealGN1966 16/05/02 1966
82282 [질문] 홍대-종로-광화문-서울역-노량진 횟집 [1] 걔삽질2161 16/05/02 2161
82281 [질문] 마인크래프트 입문 질문입니다 [3] 김여유2461 16/05/02 2461
82280 [질문] 컴싸학부 졸업생 및 재학생 여러분..몇가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15] iMac3952 16/05/02 3952
82278 [질문] 기타레슨 보통 어느사이트에서 주로 찾을수 있을까요? [2] 삭제됨1872 16/05/01 1872
82277 [질문] 별에 관한 질문(천문학 관심있으신 분 도와주세요!) [6] 웨이P1805 16/05/01 1805
82276 [질문] 일본 걸그룹 노래 추천(노기자카?) [3] 처음이란2921 16/05/01 2921
82275 [질문] 소액결제를 취소하면 어떻게 되나요? [3] 메루메루메2013 16/05/01 20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