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4/26 19:09:04
Name 불통왕
Subject [질문] [공무원] 법과목이 이렇게나 어렵습니까??
7,9급 준비생입니다. 다른 과목들은 순조롭게 잘 넘어갔는데

이제 법과목(행정법) 들어가려니까 완전 숨막히네요;;; (헌법은 아직 못 봤습니다.)

개념+기출 겨우 1회독 넘었다지만 머리에 남아있는거 거의 없다시피하고... 완전 시간만 날린 느낌입니다.

아무리 그래도 다른 과목은 똑같은 1회독 하고 저정도는 아니였습니다;;;

다른 과목은 부드럽게 씹어 먹을수 있는데

법과목은 너무 딱딱하고 뻑뻑해서 목이 넘어가질 않고요 크크.

올해안에 붙을것도 아닌데 완전 멘붕상태입니다 크크 어떻게 공부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P.S 저는 햇수로만 1년차 되어가는데요. 보통 7급, 9급 수험기간은 어떻게 잡으셨나요??

평균수험기간이 2년이라고 들었습니다. 대충 맞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gor.G.Ne
16/04/26 19:18
수정 아이콘
법과목은 원래 난생처음 맞닥드리면 그래요....
수험기간은 본인 기본지식과 학습능력 케바케입니다. 공무원 시험준비 전에도 학교공부다 과외다 뭐다 해서 공부를 손에서 놓지 않았던
친구같은 경우에는 작정하고 6개월 공부하고 붙더라구요. 그런데 중고등학교 때 부터 공부랑은 좀 담쌓고 살던 사촌동생은 지금 5년째 하고있습니다.
무무무무무무
16/04/26 19:31
수정 아이콘
법과목은 가르치는 강사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75점대까지는 이해와 요령만으로도 올라갈 수 있으니
처음엔 무조건 쉽게 가르치는 강사를 찾으시고 그 후에 회독수 늘려가면서 빡빡하게 5점씩 올려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수험기간 말인데.... 천차만별이라지만 보통 합격하는 사람들은 2년차 쯤에 거의 붙는다고 봅니다.
문제는 합격생의 수험기간은 짧고 불합격하는 이들의 수험기간이 길다는 게 문제죠. 딱히 오래한다고 확률이 더 높아지는 건 아니더라고요.
유스티스
16/04/26 19:34
수정 아이콘
법 비전공자에겐 행정법은 처음엔 해석도 아니고 해독의 영역이라고들 합니다. 3법의 논리위에 세워진 법이다보니...
16/04/26 20:38
수정 아이콘
처음 시작할때만 어렵지 결국 문제는 판례기반으로 그나물에 그밥이라 생각보다 점수올리기 쉬운 과목입니다.
너무 염려안하셔도 괜찮을거예요.
16/04/26 21:34
수정 아이콘
그런데 법과목중에서 행정법이 제일 허접하다는게 함정...
제일 허접해서 어려운건지는 모르겠으나... 체계도 없는 법이라고 여기저기서 욕먹죠..
감모여재
16/04/26 21:56
수정 아이콘
헌민형은 행정법 보다는 낫습니다. 그리고 행정법은 원래 어려워서 강사빨을 좀 탑니다.
완전연소
16/04/26 22:40
수정 아이콘
공무원 시험을 본 경험은 없지만..
사법시험을 본 경험을 토대로 말씀드리자면, 헌법을 먼저 보시고 행정법을 보시면 그래도 한결 수월하실 것 같습니다.
원시제
16/04/26 23:01
수정 아이콘
완전 동감입니다.
특히 법 비전공자 입장에서 헌법에 대한 개념을 좀 잡고 행정법을 볼때랑
그 이전이랑 차이가 꽤 많이 나더라구요. 제 경험입니다.
불통왕
16/04/26 23:39
수정 아이콘
댓글 하나하나 읽으며 배워가겠습니다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네오크로우
16/04/27 00:15
수정 아이콘
저는 공무원 시험과는 전혀 연관이 없지만 일 때문에 에듀윌 공무원 시험 강의를 들었는데,
강사님이 '1~2년에 붙을 생각으로 하다가 좌절하기 보단
일단 경험한다고 치고 3년차를 노려~~' 하는 말씀을 수업 중간 중간에 하시긴 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2012 [질문] 인텔 g860 듀얼모니터 사용 질문입니다. [2] 오상현2334 16/04/26 2334
82010 [질문] [공무원] 법과목이 이렇게나 어렵습니까?? [10] 불통왕4138 16/04/26 4138
82009 [질문] 스마트폰 카메라 동영상 촬영 최장몇시간까지 될까요? [1] 몽유도원3826 16/04/26 3826
82008 [질문] 단양 or 문경새재 팬션 추천 부탁드릴게요~ (제천,단양,문경새재 맛집도 추천해주세요~) [7] 미남주인2867 16/04/26 2867
82007 [질문] 며칠 전에 유머 게시판에서 봤던 만화를 찾습니다. [2] 시나브로2285 16/04/26 2285
82006 [질문] 남자들끼리 볼 재밋는 영화 추천 부탁드려요 [35] Hsu6434 16/04/26 6434
82004 [질문] 한 번 떨어졌던 기업에 재지원시 자소서 항목이 같으면 이전과 똑같이 작성해도 될까요? [6] 피비콜필드9049 16/04/26 9049
82003 [질문] [KBO] 우승-10위-10위-10위-우승 vs 준우승-준우승-준우승-우승-준우승 [27] Yande.re3106 16/04/26 3106
82002 [질문] [도와줘요 피식인] 노래 찾아주세요!! [2] 에바 그린1670 16/04/26 1670
82001 [질문] 대학교 체전 축구 약팀으로 강팀 이기기 [11] 걔삽질2467 16/04/26 2467
82000 [질문] [노트북으로 메인서버연결] 사내 전산관련 질문...입니다 [9] 토요일에만나요2304 16/04/26 2304
81999 [질문] [스타1] 저그대 프로토스 빌드 부탁드립니다 [4] 시오냥2475 16/04/26 2475
81998 [질문] 경추 추간판 팽윤이면 심각한 건가요? [4] 스파이어깨기9437 16/04/26 9437
81997 [질문] [MLB] 시카고 컵스에 대한 질문입니다. [4] Propose1999 16/04/26 1999
81996 [질문] 미세먼지 어느정도 민감하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3] 자전거도둑2570 16/04/26 2570
81995 [질문] PC 견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22] 뇌없는드라군3328 16/04/26 3328
81994 [질문] 건물 증축 관련해서 업계 종사자분들께 조언 좀 듣고 싶습니다. [10] Red Key3397 16/04/26 3397
81993 [질문] 도서관에서 이런거 직접 가서 말하시나요? [3] Mosby2614 16/04/26 2614
81992 [질문] 갤럭시 S6 / A7 2016 [6] 어...2926 16/04/26 2926
81991 [질문] [하스스톤] 무과금은 어느 순서로 열어야하나요? [9] 허느4369 16/04/26 4369
81990 [질문] 교품vs그냥쓰기 [3] 레이나1883 16/04/26 1883
81989 [질문] [LOL] 쿠로선수가 페이커 선수를 못이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23] 톰가죽침대4666 16/04/26 4666
81988 [질문] 6살 아이 바둑 배울만 한가요? [35] 탄야3775 16/04/26 37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