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31 13:11:50
Name 오스카
Subject [질문] 볼링 초보 질문입니다.
볼링에 재미 들려서 가끔 치는 정도인데요.

마이볼은 없어서 볼링장에 비치된 하우스볼로 칩니다.

훅을 주려면 볼을 굴릴 때 화살표 중 맨오른쪽에서 두번째 화살표를 겨냥해서 악수하듯? 손을 들어올리라고 해서 해봤는데 됐다 안됐다가 하는데요. 잘 될 땐 1,3번 사이로 들어가고 안 될 땐 3,10번 핀 사이로 굴러가는데요.

인터넷 좀 찾아보니까 하우스볼은 훅이 불가능한 공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이게 프로선수들이 하듯 막 왼쪽에서 굴려서 마구처럼 휘어들어가는 큰 훅이 아니라, 끝에서만 살짝 휘는 소소한 훅도 불가능한 건가요?

+하우스볼로 치려면 직구만 노리는 게 더 나은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6/03/31 13:19
수정 아이콘
하우스볼로도 숏훅은 가능합니다.
특정 볼링장에 능숙해지면 롱훅도 넣은 사람도 보았습니다.
다만 마이볼이 아니여선지 에버리지 150~170정도만 나오더군요.
Neurosurgery
16/03/31 13:27
수정 아이콘
예전 경험에 의하면 손가락을 엄지를 빼고 던지면 훅이 되던데요.
16/03/31 13:52
수정 아이콘
볼링 레일을 보면, 중반까지는 기름칠이 되어있어서 공이 미끄러지기 때문에 스핀이 걸리지 않고요. 기름칠이 사라지는 부분부터 스핀이 시작되게 됩니다. 우선, 이런 정비를 볼링장에서 잘 했는지도 스핀에 영향을 주게 되긴 합니다.

하지만 결론은 스핀 잘주는사람은 잘 하더라구요;
16/03/31 14:05
수정 아이콘
하우스볼로만 치는데, 훅 잘 들어갑니다. 양 가에 하나씩 남은 스페어볼도 훅으로 잘 처리하곤 합니다.
훅을 영상으로 배웠는데, 악수 하듯이 손모양을 놓으면 된다고 해서 몇번 해보니 잘 들어가더라구요.
좀 익숙해지면 스트레이트보단 확실히 힘도 덜들고 쉽게쉽게 쳐집니다.
캐간지볼러
16/03/31 15:57
수정 아이콘
하우스볼 (전 돌탱이라고 부릅니다.)로 미세하게 휘어질 순 있으나, 보통 볼링에서 말하는 훅을 줄 수는 없습니다.
마이볼과 하우스볼은 겉의 재질, 속의 모양 모두 다릅니다. 속에 코어라고 하는 추 비슷한 게 있어서 12시 방향의 회전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회전을 주면 자연스럽게 휘어지는 것이고, 하우스볼은 코어가 없습니다. 그리고 마이볼의 겉의 재질에 의해 볼링장 레인에 있는 기름을 이기면서 훅이 들어가는 거구요.
훅의 모양이 끝에서 (Break Point) 살짝 휘는 것과 전체적으로 활처럼 휘는 건 1. 공의 성능 차이 2. 사람의 능력 차이입니다.

말이 길어졌는데, 어쨋건 하우스볼로는 직구 치는게 나중에 볼링 제대로 배우실려면 나을 겁니다.
오스카
16/03/31 18:3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프로 선수들 중에도 직구로 치는 선수도 있나요?
캐간지볼러
16/03/31 19:06
수정 아이콘
제가 한창 볼을 쳤던 2000년대 중반에 잠시 유행한 적은 있습니다. 하우스볼같은 공으로 친 건 아니고, 마이볼로 직구를 쳤죠. 동남아 프로볼러 사이에서 유행했는데 '스피너'라고 불렀습니다. 회전하는 방향을 아예 9시-3시 방향으로 굴리게 만들어서 파괴력을 극대화하는 방식이었는데, 손목에 무리도 많이 가고, 그냥 훅보다 별로여서 금방 사라졌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0645 [질문] 모바일로 Fm2016 해보신분 있으신가요? [1] 여름보단 가을2176 16/03/31 2176
80644 [질문] 드래곤 퀘스트 히어로즈 스팀판 질문입니다. [3] Leeroy_Jenkins2185 16/03/31 2185
80643 [질문] 단통법이란거요. [37] 비야레알3047 16/03/31 3047
80642 [질문] 혼인신고 질문입니다. [8] 아스날2105 16/03/31 2105
80641 [질문] 사무실 바닥 타일 종류 확인 및 청소방법 [5] 초아랑8907 16/03/31 8907
80640 [질문] 보드게임 오프라인 구매처 문의드립니다 [11] Jon Snow6899 16/03/31 6899
80639 [질문] 볼링 초보 질문입니다. [7] 오스카6293 16/03/31 6293
80637 [질문] 해외여행 추천 받고 싶습니다. [14] 삭제됨2053 16/03/31 2053
80635 [질문] 저희집 강아지가 백내장에 걸린것 같습니다. [6] riven2176 16/03/31 2176
80634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 [1] 적당히해라1626 16/03/31 1626
80632 [질문] 통영 볼거리 및 맛집 추천 해주세요~ [4] 곰강아지2073 16/03/31 2073
80631 [질문] 유료 백신 추천부탁드립니다! 성기사1686 16/03/31 1686
80630 [질문] 새누리당, 국민의당 입장에서 정치견해를 볼 사이트가 있나요? [14] wannabein2144 16/03/31 2144
80629 [질문] 연봉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르나요? [24] 리니시아3393 16/03/31 3393
80628 [질문] [미생] 웹툰 캐릭터와 드라마출연자 연관 질문드립니다. [2] 알팅이1657 16/03/31 1657
80626 [질문] 비아그라 같은 약을 처방받으려면 꼭 비뇨기과로 가야하나요? [5] JazzPianist5514 16/03/31 5514
80625 [질문] [컴고수님 도와주세요] 그래픽 카드 (동영상 화질..) [2] 길이보이1609 16/03/31 1609
80624 [질문] [선거] 지역구의원 전과기록 조회 어떻게 하나요? [3] 냠냠이1472 16/03/31 1472
80623 [질문] 바이두 클라우드 네트워크 연결 실패 0b/1b 해결하신 분 계실까요? [1] plane5859 16/03/31 5859
80622 [질문] 수면 주기에 맞춰서 일어나는 게 피로해소에 효과적인가요? [1] 루체시1547 16/03/31 1547
80621 [질문] 4박5일중 4일째 하루 교토갈건데, 어디가 우선순위일까요? + 왜 마스크?.. [14] 삭제됨2492 16/03/31 2492
80620 [질문] 스팀 결제관련 질문입니다. [6] 스타벅스라떼1907 16/03/30 1907
80618 [질문] 브랜드 구두? or 수제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방민아이유2215 16/03/30 22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