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17 15:00:34
Name Vivims
Subject [질문] 라면 고수님들께 질문합니다(면발 관련)
보통 면발을 들어주어 공기와 접촉시켜서 탱탱함을 얻는다고 하는데요.
저는 그 방법이 좋지않다고 느낍니다. 면을 따로 끓여서 찬물에 급속도로 식히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면이 아래로 처지기를 반복해서 기존의 웨이브가 풀리는 것 같거든요. 웨이브가 풀리니 탄력도 줄어들고, 미세하게나마 끓이는 시간이 길어져 면이 부는 거 같고요.
그래서 저는 젓가락을 사용해 횡 방향으로 풀어주기만 합니다.

부대찌개에 라면 넣어 끓이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질문합니다. 다른 분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누구라도
16/03/17 15:01
수정 아이콘
거의습관적으로 찬공기와 접촉시켜쥬는편인데
....제 라면은 항상맛있습니다!
신예terran
16/03/17 15:04
수정 아이콘
라면넣고 아무짓도 안하고 핸드폰으로 타이머 맞춰놓고 딴짓하고 와서 먹으면 가장 탄력있습니다.
bellhorn
16/03/17 15:05
수정 아이콘
넣었다 뻈다하는게 확실히 효과 있구요 살짝 설익히면 먹으면서도 안퍼지고 맛나게 먹을 수 있습니다
Tyler Durden
16/03/17 15:07
수정 아이콘
tv에서 라면가게 사장님이 공기와 접촉시켜주면 탱탱하다고 하니까 그렇다고 봐야죠..
아무리 많이 라면을 끓여봤어도 그 라면가게 사장님한테는 잽도 안 될테니까요 크
저도 공기와 접촉시켜주는 편입니다.
서낙도
16/03/17 15:12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끝까지 센불로 펄펄 끓이기만 합니다.
16/03/17 15:13
수정 아이콘
물 첨부터 조금만 넣고 중간에 찬물 수시로 붓습니다.
면발과 물량조절까지 완벽하죠.
opxdwwnoaqewu
16/03/17 15:15
수정 아이콘
결국 들었다놨다 하는게 면을 덜 익히는 거라서 면 덜 익은만큼 탱탱합니다

라면 맛있게 끓이는 비법은
일단 내가 배고파야 하는게 가장 중요하고
냄비 물 화력 끓이는시간 등을 자신이 익히는 겁니다
누구는 삼겹살 바삭하게 구워먹고 누구는 겉에 허연게 남아있어도 먹고
내입맛은 내가 맞추는거지 남이 하는 비법같은거 사실은 나도 다 알고 있는 것들입니다
면 들었다놨다해보고 파마늘넣어보고 계란은 풀어보고 안풀어보고 다 해보면서 자기한테 맞는 맛을 찾아야죠
16/03/17 15:18
수정 아이콘
음 역시 알려진 노하우라는 건 다 나름의 이유가 있네요. 답변 모두 감사드립니다!
복타르
16/03/17 15:41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OfTFzYnjnmM?t=7m9s
우리나라에서 라면끓이기로는 이사람을 이길자가 없다고 생각하는 라면요리사의 라면끓이는 장면입니다.
참고하면 맛있게 라면을 끓일수 있지않을까 생각되네요.
bellhorn
16/03/17 18:03
수정 아이콘
틀린부분이 좀 있네요 흐흐
우리아들뭐하니
16/03/17 21:24
수정 아이콘
이분 마리텔 김구라 라면방에 나왔던 그분인가요?
복타르
16/03/17 21:41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라면가게이름은 '황토군 토담면 오다리', 편의점에서 많이 먹는 오다리 사발면의 그 가게입니다.
존 맥러플린
16/03/17 18:06
수정 아이콘
센불로 확 익히되 좀 덜 익혀야 합니다
상자하나
16/03/18 18:08
수정 아이콘
라면 면발은 제조사마다 다르게 먹습니다. 농심/삼양은 그냥 둬도 상관없고, 팔도는 80프로만 익히고 먹으면서 익히면서 먹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911 [질문] 인천터미널 근처 피시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몽유도원6280 16/03/17 6280
79910 [질문] 여기 보이는 보안문자가 무슨 글자일까요?? [6] 윤소희2771 16/03/17 2771
79907 [질문] 전에 삼성에서 뛰었던 나바로 퇴출사유중에... [29] 잘가라장동건4015 16/03/17 4015
79906 [질문] [영어] 특정문제유형에 대한 습관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2] 스팍1501 16/03/17 1501
79905 [질문] 너무 힘듭니다.(취업 관련) [11] The Warrior3256 16/03/17 3256
79904 [질문] sd카드 질문입니다. [2] 츄츄1309 16/03/17 1309
79903 [질문] 통신사 변경 질문입니다. [2] 카오루1271 16/03/17 1271
79902 [질문] 수원에서 저녁시간 뭘 해야 할까요? [11] 天飛1922 16/03/17 1922
79901 [질문] 여러분의 기분을 고양시키는 음식은 무엇인가요? [36] 물범2859 16/03/17 2859
79900 [질문] 공대생의 조기졸업과 교환학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0] 새강이6470 16/03/17 6470
79899 [질문] 아스날 질문입니다. [19] FeeLinG1903 16/03/17 1903
79898 [질문] 오사카쪽 4박5일 여행가려고 하는데 필수로 들려야 할곳이 있다면 어디일까요? [40] 구름이가는곳wwww2585 16/03/17 2585
79897 [질문] 퍼즐앤드래곤 질문입니다. [7] 시오냥1725 16/03/17 1725
79896 [질문] [LOL] 논란BJ가 썼던 헬퍼가 디바인 휴머노이드인가요? [13] 계란4997 16/03/17 4997
79895 [질문] 스트롱에그 프라임 구입 질문입니다. [2] 하얀사신1316 16/03/17 1316
79894 [질문] [질문] 삼국지책 추천부탁드립니다! [8] Today is Bathday7009 16/03/17 7009
79893 [질문] [패션] 타이, 행커치프 둘 중 하나? 둘 다? [14] Euphonium1979 16/03/17 1979
79892 [질문] 조기졸업과 관련하여. [17] 빼빼로2330 16/03/17 2330
79891 [질문] 평소에 IoT제품 많이 쓰시나요? [4] 제로스2118 16/03/17 2118
79890 [질문] av리시버 관련 질문입니다 [1] 삭제됨996 16/03/17 996
79889 [질문] 문피아에서 연재되는 소설 추천좀 해주세요. [8] lenakim6317 16/03/17 6317
79888 [질문] 라면 고수님들께 질문합니다(면발 관련) [14] Vivims2821 16/03/17 2821
79887 [질문] Cad를 이용한 도면업무라고하면 보통 오토캐드를 말하는 것인가요? [11] 정공법2354 16/03/17 23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