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03/06 13:09:33
Name 메모네이드
Subject [질문] 어디서 운동하는게 좋을까요?
집 근처에서 헬스를 시작해 보려고 하는데
어디서 운동을 하는게 좋을지 결정하기가 쉽지 않아
다른 분들의 의견을 여쭤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저는 운동 처음 해봅니다.
(학교 다닐 때 뜀틀도 못 뛰어본 연약한 몸)

헬스장 1
매우 가까움. 걸어서 5분, 차로 1분
피티 30회 120만원
피티 결제하면 피티 없는 날 혼자 운동 가능
매우 작음
평가 좋음

피티 30회가 끝나면 집에서 혼자 운동해야 함

헬스장 2

조금 멈. 걸어서 30분 이상
일반 헬스 한 달 7만원
(처음 가면 기구 사용법 알려주고
요일 별 운동 순서가 써있어서 그대로 하는 방식)
헬스장 1보다 조금 큼
깨끗하다는 평가

-

헬스장 1이 여러모로 조건이 좋은데
가격이 비싸고 오래 다닐 수 없다는게 걸립니다.

일주일에 2번씩 피티 30번 받고
집에서 혼자 운동하는게 가능할까요?

그게 안되면 그냥 헬스장 2 가서
운동하는게 좋을 것 같은데 선택하기 어렵네요.
흑흑
어디가 더 좋을까요? 도와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디에이터
16/03/06 13:18
수정 아이콘
1 번 운동하는 곳은 최대한 가까운 곳이요
밤식빵
16/03/06 13:36
수정 아이콘
운동 처음해보시면 무조건 1번입니다.
첫번째 이유는 가까워서 -> 30분걸리는 거리면 일주일정도 다니고 안갈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두번째 이유는 비싸서 -> 돈 안까워서라도 열심히 다닙니다.
16/03/06 13:36
수정 아이콘
저도 완전 초보시절 피티받고 지금은 혼자 헬스하고 있는데 사실 처음부터 피티는 비추에요. 저 같은 경우는 처음에 기초 지구력이나 완력이 너무 떨어져서 그것 끌어올리는데 쓸때없이 피티비용을 너무 들였다 싶더라구요. 물론 자세 중요한건 맞지만 최소한 어느 정도 기구에 익숙해지는게 피티 가성비도 더 높일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헬스장2가 너무 멀어서 고민되는 상황이기는 하시겠어요 ㅜㅜ 헬스장은 운동보다 가는게 더 힘든 곳이라....
메모네이드
16/03/06 15:05
수정 아이콘
피티가 기초 체력/근력/지구력 올리는데는 더 도움이 되거나 하진 않나봐요. 처음이라 무조건 피티부터 받고 시작하는게 좋다고 생각했는데 또 좀 고민되네요.
Anthony Martial
16/03/06 15:37
수정 아이콘
가령 컴퓨터 학원가서
컴퓨터 본체켜고 모니터켜고 마우스 키보드 사용법 배우는 느낌이랄까?

핵초보라도 피티하는게 좋죠. 다만 예산이 한정적이라면 돈이 아까운 것 뿐이죠
메모네이드
16/03/06 20:30
수정 아이콘
시골이라 헬스장이 별로 없어서
절충할 수가 없다는게 안타깝네요..
유노윤하
16/03/06 14:04
수정 아이콘
닥치고 1번이요. 멀면 이래서 힘들고 저래서 힘들다는 핑계로 안가게 될 확률이 99.9999% 입니다.
Anthony Martial
16/03/06 15:35
수정 아이콘
멀든 가깝든 안갈 사람은 안간다고 봅니다

2km쯤 된다는건데 뛰어가면 몸풀기는 되겠네요

근데 피티추천합니다. 돈 있으시다면

제대로 하는 피티라면요
글자밥청춘
16/03/06 16:56
수정 아이콘
1번에서 일반체육관으로 기초체력/기초기구 사용법 익히고 한달정도는 자기 몸 상태를 운동하는 습관이 들게끔 해주는게 좋아요. 급한목적이 없다면..
그리고PT받는게 더 좋을거에요.
메모네이드
16/03/06 20:26
수정 아이콘
1번은 일반 헬스는 안 하고 피티만 하거든요.
그래서 고민이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218 [질문] 헤어진지 1주일.. 너무 힘드네요... [6] 밀크카라멜6169 16/03/06 6169
79217 [질문] [LOL] 금일 IEM 중계질문 [4] 키토2181 16/03/06 2181
79216 [질문] fps 패드로 잘 하시는 분들, 비결이 있나요? [6] 불같은 강속구7345 16/03/06 7345
79215 [질문] 프로듀스 처음으로 투표해 볼려는데 연습생 추천 좀 해주세요. [17] 간디가1984 16/03/06 1984
79214 [질문] fps게임 멀미 극복하신분 계신가요 [8] 교리교리2527 16/03/06 2527
79213 [질문] 이거 차인 거 맞죠? [22] RedSkai3984 16/03/06 3984
79211 [질문] 평소에도 선거게시판에 들어갈 수는 있나요? [4] 미남주인1246 16/03/06 1246
79210 [질문] 명상에 관한 좋은 책 있을까요? 물범1249 16/03/06 1249
79209 [질문] 주차해놨는데 뒷범퍼를 박었네요 [3] 어른이유2187 16/03/06 2187
79208 [질문] 어디서 운동하는게 좋을까요? [10] 메모네이드1994 16/03/06 1994
79207 [질문] 엑셀 함수관련 질문입니다 [2] 장가갈수있을까?1749 16/03/06 1749
79206 [질문] 고양시 정 (일산서구) 여기 야권 강세지역인가요? [7] 웅진프리1838 16/03/06 1838
79205 [질문] 고급 MP3 플레이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제품평가 부탁드립니다.) [3] 페르펙티오2563 16/03/06 2563
79204 [질문] 아재의 기준은? [12] 레인이2206 16/03/06 2206
79203 [질문] 서른 전후이신 분들 일년에 옷값으로 얼마 정도 쓰시나요? [11] airmoo4324 16/03/06 4324
79202 [질문] 재무상담(?), 소득공제, 연금등에 질문드립니다. [8] endeavorhun1697 16/03/06 1697
79201 [질문] 레이저 프린터 추천부탁드립니다 [2] 금빛구름1758 16/03/06 1758
79200 [질문] 임원면접 준비중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순수한사랑1692 16/03/06 1692
79199 [질문] (게이밍)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라떼4049 16/03/06 4049
79198 [질문] 가족과 함께 볼 영화 추천 해주세요. [3] 파랑파랑1425 16/03/06 1425
79197 [질문] [LOL] 탑 캐릭터 흉포 vs 책략 [1] CtheB2116 16/03/06 2116
79196 [질문] 무한도전을 보고.. 저도 상담..? 고민나눔..? 이 하고 싶어졌습니다. [12] MagicMan2760 16/03/06 2760
79195 [질문] 영어 문장 구조 훈련을 위한 교재 추천해주세요! [8] 트루키4406 16/03/06 440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