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12/20 19:19:14
Name 리들
Subject [질문] 늦은 나이에 의대진학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내년이면 27살이되는 군필 예비 신입생입니다.
늦었지만 올해 다시 수능시험을 치렀습니다.
처음에는 치의예나, 안되면 수의예라도 가야겠다는마음으로 준비했는데
생각보다는 성적이 잘나와서 지방의대까지 진학할수 있는성적이 나왔네요.

애초에 의예과 목표가 아니었기때문에 모르는부분이 많았고
시험이 끝난후 의대졸업후 어떤길을가게되는지에 대해 여러가지 정보를 찾아보고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그냥 의예과 공부량이 너무 부담스러울거같아 치의예를 선택하려했는데
치과의사의경우 상대적으로 졸업후 진로선택이 좁은편이고
최근 치과의사 전망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는 의견도 많아
의예과를 가는게 낫지않겠냐고 말씀을 많이 하시더군요..
치의예보다 그냥 일반 의예과가 좀더 적성에있어 선택하기 좋은점도 많다고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의예과를 선택하기로 어느정도 마음을 정했었는데,
몇몇분들인 나이가 걸림돌이될수있다고 지적을 하시더라고요.
의대 졸업후 병원에서 레지던트선발과정에서 나이가 조금 많다싶으면
몇몇과는 아예 안뽑을수도 있다는얘기를듣고 조금 당황했습니다 [...]
어느정도 얘길 들어보니 결국 도제식교육 시스템이라던가요.
나이많으면 취업에 걸림돌되는거랑 같은이치일테니 그런부분은 수긍이 가더군요.

27세에 입학하면 졸업하고 인턴들어가는나이가 33인데, 이정도나이면 수련의과정에서
상당히 불리한지 여쭈어보고싶습니다.
전문의의경우 어느과를 선택하는지가 상당히 중요하게여겨지는거같던데,
제가 입학전부터 무조건 인기과를 가겠노라고 생각하는건 아니지만 그런부분에서 크게 불리하다면
아무래도 아쉽지않나싶네요.
남들이 다들 좋아하는 인기과까지는 아니어도,
제가 손재주가 매우 서툰편이라 [...] 수술부담같은거 큰 외과계통은 가능하면 피해야할거같아서요..
33에 인턴이라면 나이가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클까요?

나이가 많은분들의경우 아예 상대적으로 수련의부담이 덜한 치의예나 한의예쪽으로 많이 가신다고
얼핏 지나가는말로 들었는데 이부분은 확인할방법이 없더라구요.
제가 정보가 없으니 판단하기가 정말 힘든부분이네요 ㅠㅠ

적성..을 따져야한다고는 하는데 솔직하게말씀드리면 가서 무엇이든 열심히 할 생각이라
어느쪽을 선택하든 상관은 없을거라 생각하구요..
(치의예의경우 역시 수술작업같은게 많은편이지만 경험쌓으면 충분히 실력쌓는다고들 하시더라구요!)

제 나이가 의대에서 진로선택하는데 발목을 많이 잡을수있을지 여부가 가장 궁금합니다.


아 그리고 제가 선택할수있는 학교중에 동국의전이있는데요.
서울에 병원있고 그렇다는점에선 지방의대보다 나을거라고 하시더라구요.(서울거주중입니다)
근데 등록금이 턱없이 비싸고 7년제 학석사 통합과정입니다 [...]

일단 군외모집이라 원서는 무조건 넣게되겠지만
선택해야할때 충북,충남같은 국립대보다 동국의전은 어떤가 싶습니다.

일단 다른걸 다 떠나서 졸업 무조건 먼저하는게 최고라고 말씀하시는분들이 많은거같은데
제가 나이도 많으니 7년제 학석사통합과정 선택하는건 안좋은선택이될런지요?
(그래도 충북대병원보단 병원면에선 더 낫지않느냐 하시는거같아서..)


내용이 긴데 읽어주셔서 감사하구요.
곧 원서접수인데 답변해주신다면 정말 많이 도움이될것같습니다!
좋은 주말 저녁 되셨으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ye of Beholder
15/12/20 19:27
수정 아이콘
1. 나이: 군필이라면 그렇게 아주 많은 나이는 아닙니다. 의전원 이후로 워낙 다양한 연령대가 있어서 말이죠. 전공의 선발때 좀 불이익을 가질 수 있지만 어짜피 학부성적이 제일 중요한 의대라.. 1,2등급 찍으면 (내신 20% 이내) 큰 의미 없고요. 또 성적에 맞는 과를 가면 되니..

2. 동국대보단 지방 국립대에 한표입니다. 어짜피 성적 좋으면 수련은 서울 대형병원에서 받는 경우도 많죠. 1년이라도 빨리 졸업하고 수업료 싼게 큰 메리트죠.
병원 자체도 동국대병원이 충북대병원보다 그리 좋아보이지도 않습니다. (의대 서열은 일반대 서열과 조금 달라요.. 또 사실 서열의 의미도 다르고)

3. 의대 vs 치대는 케바케이긴 한데 의대가 폭이 넓은건 사실일겁니다.

4. 손재주와 수술의 관계는 사실 큰 관계 없습니다. 섣불리 진로를 줄이실 필욘 없어요.
15/12/21 19:1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15/12/20 19:48
수정 아이콘
이제 본과2학년되는 재학생입니다. 우선 고생많으셨고 좋은 성적 얻으신거 축하드려요크크.

1.나이: 윗분 말씀처럼 군필 27세이시면 나이 그리 많으신거 아닙니다. 저희 학번에는 서른을 바라보는 분도 있으신걸요! 전공의 선발의 경우에는 불이익이 아예 없다고는 못말씀드려도 최소한 나이가 성적을 이기는 변수는 절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오히려 의대는 성별로 차별?받는게 좀더 심하면 심했지...(이부분도 케바케입니다만) 무튼 긴시간동안 공부하실만한 경제적 여유만 있으시면 괜찮습니다. 그리고 한참 어린 동기들과 잘 지낼 사회성이 있으시다면 더욱 좋구요크크. 아무래도 학기초에는 좀 관심의 대상이 되실지도 모르니..

2.저도 지방국립대 추천.... 의대는 빨리 졸업하는게 제일 좋은것같습니다. 굳이 7년이란 시간과 2배가까이되는 등록금을 들일만한 메리트가 없는것 같아요.

3. 의대vs치대는 워낙 적성에 따라, 개인에 따라 다른부분이라 조심스럽기는 합니다. 의대의 장점이라면 역시 넓은 진로의 폭이죠. 치대는 별도의 수련기간이 없으니 부담이 덜한것도 사실이구요. 하지만 치대도 졸업 직후 페이는 의대의 인턴 레지던트때와 비슷하니 아주 큰 차이는 없는것 같아요.

4. 고민 많이많이 해보시고 좋은 결정 내리시길 바래요! 다녀보니 의대는 성실한게 가장 큰 무기인것같습니다크크.
15/12/21 19:2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시험 끝나고 방학이시군요!! 크크 축하드립니다
방학기간은 어느정도되시는지 여쭤봐도될까요?^^;
듣기론 의대방학이 3주밖에 안된다는말도들었는데 사실인지 궁금하네요..
학교마다 다른건가요?
올해 반수반들어가서 재수생,삼수생들이랑 잠깐 같이지냈는데
생각보다 쉽지는 않더라구요. 확실히 나이차이가 5,6살쯤되니,..
조금 걱정은 됩니다. 그래도 장수생이나 저처럼 좀 늦게들어온사람 한둘이라도 있으면
서로 좀 의지가 더 되지않을까 싶은데 어떻게될진 모르겠네요 흐흐;
맥아담스
15/12/21 19:37
수정 아이콘
방학 기간은 학교마다 다르고 같은 학교 학생이라도 학년마다 다릅니다.
15/12/21 21:17
수정 아이콘
학교마다, 학년마다 다르기는 한데 저희 학교는 본과 1학년까지는 두달 정도(이때까지는 다른학과랑 똑같습니다), 본과 2학년때는 그보다 2~3주 짧구요, 본과3학년 실습돌때부터는 3주정도밖에 없습니다.
맥아담스
15/12/20 20:30
수정 아이콘
일단 의대 치대 선택할 수 있다면 무조건 의대 가셔야합니다.
게다가 손재주 안 좋다면 절대 치대 가지 마세요.
치대는 학과 과정 중에 실습이 정말 많은데 (치대가 의대보다 훨씬 더 실습이 많습니다.)
손재주 안 좋으면 성적도 안 나오고 무엇보다 학교 다니는 동안 엄청 고생할거에요.
15/12/21 19:2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실습은 걱정되는게 사실이네요.
에이탄
15/12/20 20:46
수정 아이콘
나이가 많은게 좋을건 없는데 병원 오실때 글쓰신분 정도면 많이 많은편은 아닙니다.
다만 학부에서는 좀 많은 편이실거고 어린아가들이랑 잘 지내셔야 할겁니다. 앞으로 계속 쭉 볼 사람들이니까요

1. 의사하지 마세요...... 우리나라에서는 의사는 말리고 싶습니다
2. 충북대랑 동국대 정도면 빨리 나올 수 있는 의예과가 나을거 같습니다.
3. 과선택은 중요할수도 중요하지 않을수도 있는건데, 나이가 어마어마하게 많지 않은이상 학부성적 잘내고 평판 좋은게 갑입니다.
4. 힘든길입니다..... 글쓰신분이 병원오실때쯤에는 어찌 바뀔런지 모르겠지만요.
5.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쪽지주세요
15/12/21 19:25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쪽지로 여쭤보겠습니다!
시지프스
15/12/20 22:22
수정 아이콘
이번에 저희 병원 인턴 중 나이 제일 많으신 분이 36세입니다. 의전때문에 평균연령이 많이 올라갔어요. 33세 인턴이시면 크게 많은 것도 아닐듯 합니다

저도 국립대 추천요. 어차피 나이가 있으시기 때문에 학교 병원에서 좋은 과 어린 전공의 원히는 과는 힘들거고 실력으로 붙는 경향이 큰 서울로 가셔야져 그러면 동국대나 국립대나 큰 차이 없습니다 그러면 뭐 돈 적게 드는 국립대죠

치대는 잘몰라서 패스..

나이는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15/12/21 19:2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나이가 있으면 병원에서 좋은과는 힘든건가요..?
서울도 좋은과는 대부분 그학교출신들이 가져가는경우가 대부분이라
비인기과쪽으로 가게될가능성이 높다고......들은것같아서 좀 걱정이되는게 사실이네요..
15/12/20 22:33
수정 아이콘
인턴 선발 과정은 내신과 국시가 가장 중요하구요.
던트 선발 과정은 과마다 다르지만 대개 일 잘하는 > 남자 > 똑똑한 > 이왕이면 어린 순으로 중요합니다. A턴 받아서 픽스되면 모든걸 다 뒤집습니다. 물론 그렇게 하는게 쉽지는 않습니다만..
33세 인턴이면 오십시오. 전혀 문제 안됩니다.
15/12/21 19:2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일을 별로 많이해본편이 아니라 잘하는편은 아닐거같아 조금 걱정이네요 하하;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15/12/20 23:52
수정 아이콘
선택지가 많다는 점에서는 의대가 치의대보다 낫습니다.

나이가 크리티컬하지는 않는데, 인생계획을 좀 고려하셔야 합니다.
33세 인턴이면 38에 전문의거든요.
개업아니라 뭔가 좀 해보려면 펠로우 기본인 세상이라서 40까지는 계속 수련받는다고 보셔야 하고요.
전보다 수련과정이 나아졌다고 하지만 전반적으로 많이 힘들어요. 물론 육체적으로 편한과로 애초에 진로를 정한다면 다 살길은 있습니다.
학교는 만약 개업등 고려하시고 서울이 아니라면 자기가 장기적으로 거주할 동네 근처 학교가 낫습니다.
15/12/21 19:3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조금더 궁금한게 있어 쪽지드렸습니다!
15/12/21 00:07
수정 아이콘
저라면 서울대 공대 전자나 기계 갑니다
15/12/21 19:29
수정 아이콘
서울대는 과목선택제한이 있어서 지원이 불가능하네요..
그나마 선택한다면 연고대 기계과정도인데 아무래도 그것보단 제 나이가 많아 전문직 선택이 나을거같습니다 ^^;
답변 감사합니다
15/12/22 11:4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잘 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그럴만한사정
15/12/21 10:16
수정 아이콘
그냥 의대 가세요. 머니 머니 해도 현재 의대만한곳은 없습니다. 본인이 특출나게 따로 하고 싶은 무언가가 있는게 아니라면 말이죠.
15/12/21 19:2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나이가 많아 다른선택하기는 어려울거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787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784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73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82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1004
181664 [질문] 애플워치 고민 [2] 김카리294 25/09/12 294
181663 [질문] 야구게임은 투수로 하나요? 타자로 하나요? [9] 無欲則剛558 25/09/12 558
181662 [질문] 아이폰17 프로맥스 어떻게 사는기 최선인가요? Nothing Phone(1)1016 25/09/12 1016
181661 [질문] 아기와 개를 같이 두는건 위험한가요? [22] 알파고2069 25/09/11 2069
181660 [질문] 통신사 어디가 좋을까요? [4] Be quiet1500 25/09/11 1500
181659 [질문] 그랑콜레오스는 괜찮나요 좀 아닌가요 [7] 오타니쇼헤이1683 25/09/11 1683
181658 [삭제예정] 피부과에서 남자 어떤 시술? 관리? 받아야 될까요 [9] 시은2505 25/09/11 2505
181657 [질문] 아이패드와 애플펜슬 연결 문제 [3] 장헌이도1393 25/09/11 1393
181656 [질문] 할로우 나이트 길찾기 가이드 같은게 있을까요? [11] 카오루1345 25/09/11 1345
181655 [질문] iOS 베타 26을 정식으로 돌리기 질문입니다. [4] 제논1207 25/09/11 1207
181654 [질문] 중고차구매 질문 드립니다 [8] 쉬군1810 25/09/11 1810
181653 [질문] 파이브가이즈 메뉴 추천부탁드립니다. [28] kogang20011769 25/09/11 1769
181652 [질문] 이직조건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수정) [32] 삭제됨3356 25/09/10 3356
181651 [질문] PGR21 글씨체가 바뀐 건가요? [6] 223.322765 25/09/10 2765
181650 [질문] 아기 초기이유식 설사 어떻게 해야 할까요? [8] 옥동이2600 25/09/10 2600
181649 [질문] 현관문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이 고장났습니다. [4] 다이어트2914 25/09/10 2914
181648 [질문] 중국어 번역용 AI 질문입니다 [8] Kusi2318 25/09/10 2318
181647 [질문] 야구장 가는 법에 대해서 야구장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13] 성북구강챙이1498 25/09/10 14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