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05 00:3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9412341?sid=101
[하위20% 소득 감소세 멈췄지만…양극화 수준 다시 최악으로] 2019.08.2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419273?sid=101 ['분배 악화' 전체가구 소득 4.5% 늘었는데…서민층만 1.5% 감소] 2025.05.29. 양극화로 퉁칠수있는 계층간 소득/자산 격차가 심해진 상태로 계속 유지중인게 크다고 봅니다. 10~20년전엔 그나마 열심히 일해서 아파트 사고 하다보면 어느정도 계층이동이라는게 가능했었는데 최근 기준으론 계층이동이라는게 거의 불가능해지고 있는 상황이다보니 계층마다 느끼는게 다를수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 25/10/05 09:13
질문하신 내용과 관련하여 작년 한은이 게시한 리포트가 있으니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경제 지표의 그늘, 체감되지 않는 숫자" 조사국 조사총괄팀 2024.09.05)
+ 25/10/05 10:25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86852&searchCnd=1&searchKwd=&depth2=201106&depth=201106&pageUnit=10&pageIndex=1&programType=newsData&menuNo=201106&oldMenuNo=201106
[경제 지표의 그늘, 체감되지 않는 숫자] 2024.09.05 1. 경기회복이 수출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가계와 내수기업은 회복 온기를 체감하기 어려워 2. 높은 체감물가로 인해 저소득층, 고령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커져 3. 고금리의 무게를 짊어진 자영업자와 30·40대 가구 4, 일부지역 중심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 불평등 심화
+ 25/10/05 09:34
저도 지금은 불황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물가상승+인건비상승+젊은층 인구 감소로 자영업이 직격탄을 맞는 중이고 자산 격차로 인한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 게 체감 경기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 같네요
+ 25/10/05 10:15
식당물가가 너무 오른느낌 + 상가공실이 자주 보임
제가 체감하는건 요거 두개 정도. 나머지는 뭐... 잘사는사람도 더 많아진 느낌이긴합니다. 공항도 항상 바글바글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