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01 10:47
1.유명한 미인일수록 비슷하게 나올수 있습니다.
인스타나 틱톡 필터를 과하게 쓰면 얼굴이 수렴하잖아요? 비슷합니다 2.초상권은 굉장히 인정받기 애매할겁니다.초창기에 ai 쓴 광고들 한동안 대놓고 카리나,장원영씨 비슷한 얼굴들로 광고 도배된적도 있지만 딱히.. 3,하지만 성적욕망을 채우는 사진이나 영상용으로 만들었는데 그게 우연히 닮았고, 그게 배포되었다면 큰일나겠죠
25/09/02 15:08
1. 당연히 가능하리라 봅니다
2. 법정 싸움 따라, 판결에 따라 갈릴 것 같습니다. 애초에 그럴 일 없는게 편하긴 하죠. 대표적으로 챗지피티에서 음성 읽기를 스칼렛 요한슨 닮은 목소리를 썼다 소송당했는데, 이건 영화 her에서 스칼렛 요한슨이 ai로 연기를 좋게 해서 그렇거든요. 근데 이걸 그냥 모르쇠 하고 넘어가면 소송 해볼 만도 한데, 스칼렛 요한슨한테 목소리 쓰게 해달라고 연락을 하다가 거절 이후에 그냥 그렇게 쓴거라, 이 경우는 질 확률이 매우 높아서 중간에 합의했나 목소리 바꿨나 했지요. 좀 더 가자면 사용 라이센스 등에서 명시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패소해서 배상을 물어주게 되더라도, ai업체에게 구상권 청구는 가능할 것 같은데 역시 법정싸움 해봐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법알못인데 그냥 추측에는 그렇습니다 너무 믿진 마시구요 흐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