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26 13:14
IRP, 연금저축, ISA 모두 이용중이신가요? 아니시면 3번 추천합니다. 세액공제 혜택이 큽니다.
모두 이용중이시고 해외직투로 250 초과하시는 경우라면 krx 금통장 투자도 추천합니다. 그외에는 규모가 크긴 하지만 부동산 투자를.. (똘똘한 한채)
25/08/26 13:14
저도 올해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주가 하락이 예상되어서 다 팔아서 수익이 많은 상황인데,
저는 일단 배당률이 높은 커버드콜 etf를 구매해서 etf 가격이 떨어져도 그만큼 배당으로 채우겠다는 것으로 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가가 떨어지면 그만큼 손해지만 그만큼 배당이 커버를 하고, 양도세 22%대신 배당소득세 15.4%가 더 낮으니까요.
25/08/26 13:54
저도 이거 고민해봤어요.
저는 자녀계좌 와이프 계좌 해서 나눠서 매매 합니다. 팔기 전에 슉 옮겨서 해요. 또 어차피 연금계좌도 할테니 거기에서 국내 상장된 해외 ETF를 매수 합니다. 연금계좌는 수수료 없는데.. 일반계좌에서 해외 ETF 수익보면 세금 많이 토합니다.
25/08/26 14:20
어짜피 수익에서 22% 세금 내는건데요. 낼 세금이 있다면 그만큼 수익이 있다는 것이니 감사하게(?) 내면서 수익을 꾸준이 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연말에 손실본것만 매도 후 재매수 하세요!~
25/08/26 14:38
1년내내 파는일 없어도 250만원 면세야 챙겨야 겠지만 여튼 세금내는거땜에 투자처나 투자전략을 바꿀필욘없다고 생각.
예금,국장,코인 모두 개인투자자가 하기에 매력이 없거나 더 어렵다고 생각하고, 미국주식 국내상장 ETF는 세금 못지않게 뜯어갑니다.
25/08/26 15:35
계좌 쪼개는게 가장 이상적이고, 굳이 투자처를 바꿀 이유는 없어보입니다.
종목이 다양하시면 손실 중인 종목 손절하고 재매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5/08/26 16:58
그냥 이득본만큼 세금 내면 됩니다.
1250만원 이득 봐야 250 제하고 22% 220만원 세금이에요 세금아까워서 미장 투자할거 빼서 국장 투자하면 원금이 날아갑니다.
25/08/26 17:09
1.추가 투자는 isa irp 연저펀 최대 한도내에서 우선 투자
2.증여는 계획적으로 10년단위로 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아직 증여를 한번도 안하셨고, 미실현이익이 많다면 2000만원 정도에서 해외주식을 증여해버리면 양도세가 절세됩니다. 다만 말씀처럼 1년은 보유해야하고요. 그리고 사팔사팔하면서 이익을 너무 실현시키면 주식 투자에 의한 수익에 대해 증여세를 맞을 수도 있어서 qqq spy splg 등등의 etf를 증여해주고 팔지말고 계속 보유시키는게 좋습니다. 물론 좀 복잡하고 취득가액 계산과정에서 직전 두달 다음달 두달인가 평균내기 때문에 증여시점과 취득가액 시점이 달라질 수 있어서 2000만원을 넘게 증여한게 되어서 증여세롤 납부해야한다거나 하는 변수는 있습니다. 그래도 미실현이익이 많다면 증여도 좋습니다. 아니면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미실현이익으로 들고가서 나중에 2배 3배 된 다음에 증여해주는 것도 좋구요. 아직 증여가 없고 미실현이익도 없다면 현금 2000만원을 증여신고하고 그 돈으로 안팔아도 되는 미장상장 지수 etf를 사주고 안팔고 들고가는것도 좋습니다. 3.또 미실현이익이 쌓여있는 미장주식이 많다면 배우자에게 6억까지 비과세니깐 배우자에게 증여하고 1년간 보유시키면 취득가액을 올릴 수있습니다. 3.사고 팔고 하시는 개별주 투자를 하신다면 당연히 타이밍 봐서 팔아야해서 22.5는 내셔야 하는데 저는 그래서 그냥 지수 투자하고 안팝니다. 죽을때 들고 죽으려고요. 상속세만 내고 양도세는 안낼겁니다 크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