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24 19:36
그러게 말입니다 윈도우복구는 꼬박 24시간 걸렸던거 같습니다. 뭐 하나 눌러놓으면 한참을 기다려야 되서 죽겠네요 크크.. 업무를 봐야되는 노트북이라 주말동안 고치고 싶었는데..
25/08/25 00:16
gpt 은근 pc 점검할때 내가 구글링해서 해결할수 있는 선에서만 잘 알려주더라구요..
소프트웨어는 뭐 공초했으니까 그러려니 싶어서 하드웨어쪽으로 의심해보자면... 노트북의 고질병인 열관리 - hwmonitor 깔아서 cpu온도보기 - 문제시 서멀 하나 사서 재도포 뜯어서 콤프레서로 먼지청소하기 그다음으로는 수명이 빨리 다는 부품...이라고 해도 hdd ssd뿐이라 ssd 딴거껴보기 정도를 해볼거같네요
25/08/25 09:26
답변 감사합니다. ssd문제인거같긴 한데, CPU 속도도 0.4 Ghz로 고정되어 있어서 이 문제인가 싶기도하고... 모니터링 툴에서는 SSD나 CPU속도 문제일거 같다고 하더라구요. 3일동안 지지고 볶아 봤는데 제 능력 밖인거 같아서 AS센터 맡기려구요
25/08/25 02:51
일단 본문만 보고 알수있는건
CrystalDiskMark상 ssd로 모델명 인식은 되는데 읽기 쓰기 성능이 hdd급으로 저하되었다 라는거 외엔 모르겠습니다. 그럼 ssd 문제니 ssd 교체하시면 될듯합니다. 읽기 쓰기 성능이 떨어졌으니 공장초기화도 오래걸리는거같네요
25/08/25 03:50
SSD 용량을 얼마까지 채워넣고 쓰시나요? 노트북에 들어가는 기본 SSD는 대부분 디램리스 QLC라... 용량 차면 속도 하드급이 됩니다.
램 용량도 확인해보세요. Ctrl+Shift+Esc 키 누르면 작업관리자 창이 뜨는데 램 용량을 얼마까지 쓰고 있나 확인해보시고 70퍼가 넘으면 램 용량도 모자르다는 신호입니다. 램 용량이 모자라서 SSD에서 메모리 떼오는데 그 SSD까지 하드급이면 버벅거릴 수 밖에 없습니다.
25/08/25 09:34
답변 감사합니다. 현재 공장초기화 상태라 SSD에 윈도우, 오피스 기본 제조사 프로그램 몇개만 깔려있는 상태에요. 메모리는 50%정도 사용중이구요.
25/08/25 10:13
공장초기화를 했는데 CPU 속도가 그 정도라.... A/S 센터에 맡기시는 게 낫지 않나 생각합니다. 저는 소음이 심하고 동영상 볼 때 버벅거리면서 CPU 클럭이 낮아져서 쿨러 의심하고 A/S 센터 맡겼는데 역시 쿨러 문제였습니다. 노트북 쿨러는 노트북 전용 쿨러를 쓰기 때문에 자체 수리가 안된다 하더라고요.
25/08/25 11:38
답변 감사합니다. asus A/S 센터에 들고갔는데, 거짓말처럼 컴퓨터가 너무 멀쩡한거에요. 아마 집에서 포트마다 덕지덕지 장치들 달아놓고 c타입 허브에다가도 잔뜩 달아놓은게 문제였던것같습니다. 지금 장치 하나하나 꼽아가면서 테스트 해봤는데 이전의 80%정도까지 달아봤는데 이상이 없네요. 버벅임이 너무 심해서 이정도 글자 치려면 5분이상 걸렸는데 속이 다 시원합니다.:)
25/08/25 10:27
매니마스터님 말씀처럼 쿨러같은 하드웨어의 문제일 수도 있고, 혹은 공장초기화 후 Wsappx 등의 프로세스로 인하여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사양을 알 수가 없으니 더욱 그렇습니다. 그리고 SSD의 성능 중 정확하게 어떠한 것이 HDD급으로 하락했다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순차, 랜덤 가릴 것 없이 사달이 났으면 일단 SSD 혹은 메인보드의 불량을 확인해야 하고, 랜덤 쓰기만 떨어졌으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보안 프로그램을 의심해야 합니다. 즉 전체적으로 문제를 특정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시간을 내셔서 A/S센터에 방문하시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25/08/25 11:39
답변 감사합니다. asus A/S 센터에 들고갔는데, 거짓말처럼 컴퓨터가 너무 멀쩡한거에요. 아마 집에서 포트마다 덕지덕지 장치들 달아놓고 c타입 허브에다가도 잔뜩 달아놓은게 문제였던것같습니다. 지금 장치 하나하나 다시 꽂아가면서 테스트 해봤는데 이전의 80%정도까지 달아봤는데 이상이 없네요. 버벅임이 너무 심해서 이정도 글자 치려면 5분이상 걸렸는데 속이 다 시원합니다.:)
25/08/25 12:40
그러고보니 노트북에 저도 이것저것 달았는데 그 때에는 CPU가 버벅인 게 아니고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 안 되어 마우스 정도만 달아놓고 썼던 기억이 나네요. 노트북에 전원공급도 한정되어있어서 노트북으로 휴대폰 충전 같은 것도 생각 안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25/08/25 13:26
(수정됨) CPU가 0.4로 작동한다는 가장 중요한 정보를 본문에 빼뜨리셨으니 제대로 된 답변이 나올 수가 없습니다.
CPU 클럭이 낮게 고정되는 고질적인 윈도우 버그(?)가 있습니다. 2018년인가 2019년에 생긴 버그인데 아직도 종종 생기나봅니다. 윈도우 절전설정 관련 버그라는거 같긴 한데 저도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윈도우를 단순히 종료버튼을 누르는게 아니라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켜면 고쳐지는 경우도 있고, 그냥 어댑터 끼우고 충전하다보면 고쳐지는 경우도 있고, 윈도우 재설치로 해결되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다보면 고쳐지는듯 합니다. 저도 2018년에 구매한 인텔 8세대 장착 비보북이 그 버그 걸려서 센터까지 갔다왔고, 그 이후에도 가끔씩 버그가 생기곤 했는데 어느날부터인지 더 이상 버그가 안생기더라고요. 노트북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있으면 해보는 것도 좋고요. 찾아보니 이런 글도 있네요. https://krcoin.co.kr/91
25/08/25 15:43
아..그런 버그가 있었군요. 바이오스 업뎃 전원설정 변경 후 스트레스 테스트 아무리해봐도 0.4에서 꿈쩍을 안하더라니.. 답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