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3/20 21:02:3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20대 초반에 고혈압 오는 케이스도 은근 흔한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UCCI n PRADA
25/03/20 21:10
수정 아이콘
본태성 고혈압은 성별 바꿔가며 내려옵니다 (저의 경우 외할아버지-어머니-저까지)
저는 초장부터 170 꽂고 약 먹기 시작했는데, 130 정도는 약까진 필요없지 싶네요
추울 땐 혈압이 더 높게 나오기도 하고..

다만 앞으로 어지럼증이 오거나(특히 누웠다 일어났을 때) 심박이 빨리 뛰거나
여하간 몸이 이상하다 싶으면 바로 병원을 가십시요
옥동이
25/03/21 08:12
수정 아이콘
어지러움은 저혈압 증상 아닌가요? 제가 혈압약을 먹고있는데 가끔 어지러운게 높아서 그런걸까요? 지나가다가 제증상이 보여서 여쭤보고 갑니다
카페알파
25/03/21 11:00
수정 아이콘
무조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 어지러운 경우는 저혈압이 되었을 경우고, 고혈압으로는 두통이 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슬래쉬
25/03/20 21:21
수정 아이콘
20대 초반에 고혈압 오는 케이스도 은근 흔한가요..? --> 네
130/79 는 고혈압으로 보긴 좀 그런데요...
그냥 생각날때마다 한번씩 측정해보세요
혈압은 다양한 원인으로 일시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3/20 21:21
수정 아이콘
뭐 사실 지속적으로 혈압재서 일시적인건지...계속 그러는지 봐야죠...
덴드로븀
25/03/20 22: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amc.seoul.kr/asan/depts/heart/K/bbsDetail.do?menuId=4634&contentId=271496
[2023.10] 젊은 고혈압이 증가하는 이유, 위험한 이유 -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20~30대 고혈압 환자>
2017년 19만 5767명,
2019년 23만 1692명,
2021년 25만 2938명으로 증가
4년 새 29.2%가 증가했으며 특히 [20대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44.4%나 증가]했습니다.
젊다는 이유로 건강검진을 소홀히 하여 발병 여부를 놓치기 쉽고 치료를 방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혈압 유병자 중 혈압을 [140/90mmHg 미만]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있는 비율은 절반(47.4%) 밖에 되지 않습니다.

유병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혈압 합병증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급성 증상은 없어도 혈관이 혈압이라는 공격을 받는 상태로 오래 지속되고, 이는 혈관이 연결된 모든 장기에 손상이 쌓이므로
[젊은 고혈압은 나이 들어 생기는 고혈압보다 나중에 심뇌혈관질환, 신장질환, 관상동맥질환 등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부대 혈압계가 정상인가? (.....)
2. 일시적인건가 지속적인건가?
3. 최근에 몸이 안좋거나 생활리듬의 변화가 있었는가?
등등

고려해봐야할게 많긴 하죠. 1주일정도 식단조절하고 운동 더 하고 스트레스 덜 받게 한 상태에서 이야기하고 다시 혈압 측정해보세요.
여유있으면 매일 동일한 시간에 계속 측정해보는것도 방법입니다. 그리고 아래처럼 고혈압 기준 수치를 많이 넘는게 아닌걸로 보입니다.

<고혈압 기준> : 140 이상 / 90 이상
1기 고혈압 : 140~160 / 90~100
2기 고혈압 : 160 이상 / 100 이상

2~30대 정상 기준 : 110~120 / 70~80
우스타
25/03/20 23: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평소 지병 없고 멀쩡하면 어쩌다가 수축기 130 한 번 찍혔다고 심각하게 보지 않습니다.

2. 어지간히 높아도 (진짜 말 그대로 수축기 140mmHg 이상 and/or 이완기 90mmHg 이상을 말합니다.) 가정 혈압은 꼭 재보는 게 맞습니다. 백의고혈압도 있어서...

3. 저는 16살 때부터인가 고혈압 약 먹고 있습니다. (본태성. 가족력. 지금보다 더한 멸치.)
25/03/20 23:12
수정 아이콘
혹시 비만에 운동부족에 식습관 나쁘시면 좋은 계기라 생각하고 개선해보시지요. 아니시면 짜게 먹지 않는 게 좋다는 정도만 가볍게 신경쓰셔도 될 듯 싶습니다.
25/03/20 23:59
수정 아이콘
살빼면 내려가더라구요
No.99 AaronJudge
25/03/21 00:1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윤지호
25/03/21 10:00
수정 아이콘
예전에 대학생때 군대 갓 제대한 선배가 고혈압 유전이라 막 160~170 이러고 맨날 약달고 살고 그랬어요. 유전으로 내려온거면 나이와는 상관 없는거 같습니다.
25/03/21 12:23
수정 아이콘
요즘 워낙 영양과잉 시대라 선천적인 부분이 약간만 겹치면 바로 20대부터 고혈압 오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101 [질문] 시골 땅 등기부등본 조회가 안되는 경우 [2] backtoback2876 25/03/21 2876
180100 [질문] 서대문역, 충정로역 주변이 시위로 붐빌까요? [12] T.F)Byung42252 25/03/21 2252
180099 [질문] 쿠플에 hbo 오픈되었떤데 띵작들 추천추천해주십쇼 [14] Alcohol bear2707 25/03/21 2707
180098 [질문] 네이버주문과 네이버배민 연계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나요? [2] 김삼관1639 25/03/21 1639
180097 [질문] 차량 구매 문의드립니다. (그랜저 2.5 가솔린 vs 그랜저 3.5 LPI) [17] 인천테란2081 25/03/21 2081
180096 [질문] 인테리어 사기를 당했는데 현금영수증으로 업자를 애먹일 방법이 있을까요? [8] Red Key2397 25/03/21 2397
180095 [질문] 네이버 초기화면 뜨는 내용 없애기 [1] 흰둥1136 25/03/21 1136
180094 [질문] 배민기사가 배송후 회사에 쓰래기를 투척하고 갓습니다. [13] 인생잘모르겠2460 25/03/21 2460
180093 [질문] 썬더볼트 덱(?)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왓두유민1149 25/03/21 1149
180092 [질문] 패스 오브 엑자일2 게임 구매 문의드립니다. [6] 짜부리853 25/03/21 853
180091 [질문] VR 기기 질문드립니다.(메타퀘스트, 피코) [8] 유니꽃1716 25/03/21 1716
180090 [질문] 자취하시는 분들중 요리 관심 없는 분들 밥은 어찌드시나요? [27] 호비브라운2659 25/03/21 2659
180088 [질문] 20대 초반에 고혈압 오는 케이스도 은근 흔한가요..? [12] 삭제됨2576 25/03/20 2576
180087 [질문] 플스 스토어 게임 구매취소/재구매 관련 [4] 오렌지 파파야1789 25/03/20 1789
180086 [질문] nas/das 쓰시는분들 레이드 안쓰시나요? [7] 스물다섯대째뺨2107 25/03/20 2107
180085 [질문] 서울 근처 여행 + 러닝할만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딸기1478 25/03/20 1478
180084 [질문] PGR들어올때마다 공인인증서 허용되지않는다고 팝업창이 뜨는데요 [6] 잉여1845 25/03/20 1845
180083 [질문] 메인보드 바꾸면 윈도우 재설치 하나요? [23] 탄야2980 25/03/20 2980
180082 [질문] 남은 수제맥주/오래된 맥주를 보관할만한 방법 있을까요? [7] 김유라2468 25/03/20 2468
180081 [질문] 비싼 차는 오래 운전해도 덜 피곤한지요...? [42] nexon4561 25/03/19 4561
180080 [질문] 한국도 십수년 안에 지금 일본보다 세금을 더 많이 걷지 않을까요? [17] 독서상품권3287 25/03/19 3287
180079 [질문] 엑셀 조건부 서식 질문 있습니다. [2] 봄바람은살랑살랑1981 25/03/19 1981
180078 [질문] 단통법 폐지 시행이 되면 달라질까요? [7] 손금불산입1854 25/03/19 18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