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4 19:34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어줍잖은 재테크지식으로 원화가치가 녹는다 블랙스완이 온다 등등 남는시간에 재테크 유투브만 보다보니 쓸데없는 걱정들이 계속들어 원화를 계속가지고 있는게맞을까에 대한 불안함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다른대안을 실천할 용기도 없구요. 조언주신대로 그냥 허튼짓안하고 모아보겠습니다
25/02/04 19:36
주식 채권 가상자산 정도까진 투자해봤지만 기껏해야 1억넘는 금액을 투자한적은 없다보니 억단위를 어딘가에 덜컥 넣는게 불안하네요. 투자해서 불린다 개념보다는 집을사기전 애셋파킹을 해서 가치를 지키고 싶은데 어떤게 맞는길인지 모르겠습니다.
25/02/04 19:40
6개월정도가 지나면서
2~3년차때부터 나올 세금 폭탄 미리미리 준비하셔야 합니다. 1년차때는 세금이 거의 없어서 번 돈이 다 내 돈인것 같은 착각을 하죠.............
25/02/04 19:43
네 맞습니다 회계사님이 3년차까지는 비용처리가 다되서 세금이 거의 안나올거고 그이후부터 세금 잘 준비해야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운좋게 초반에 자리잡은만큼 세금제대로 나오기전에 핵심지에 등기는 한번 치는게 목표입니다.
25/02/05 13:00
네네. 뭔가 재테크로 부를 이루겠다가 아니라 이돈을 어떻게 파킹해둬야 좋을까. 원화가치는 계속 떨어질것 같긴한데 달러나 금이 더 낫지않을까. 내가 집살돈 모을동안 그 돈의 가치가 계속 야금야금 떨어질것 같은게 너무 싫어서 고민해봤습니다. 일단 예적금으로 묶어두겠습니다 조언 감사드려요.
25/02/05 13:01
네 잘 운용하고 굴리겠다 보다는 어디에 파킹하는게 제일좋을지. 그게 원화는 아닐꺼같은데 이런거 고민할시간에 본업에 조금더 충실해야겠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25/02/04 20:31
소액가지고 분산투자 해봐야 효과가 미미한대, 글쓴분처럼 억단위 찍히면 몰빵 투자는 절대 피하셔야 됩니다. 지금 쌓이고 있는 부만 잘 챙겨도 어디 가서 뒤지시는건 아니니 조급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25/02/04 20:37
대출 이자가 얼마인지 모르겠으나
저금리 장기 상품이면 들고가시고 4~5프로 근처면 그거부터 줄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소득 상황이 좋아지셨으면 기존대출 이자율 감면이나 대환도 알아보시길
25/02/05 08:35
저도 이생각입니다. 월 1억인데 그냥 사업만 열심히 하시죠. 알아서 모일것 같은데요. 자산이 0이면 좀 모은 다음에 고민하셔도 될것 같네요.
25/02/05 09:05
재테크 하실 때가 아닙니다. 위 조언처럼 세금에 대비하시고 현금 모으십쇼. 그리고 인정하시겠지만 월수익이 고정으로 1억이 아니면 1억이라 하시면 안됩니다. 500-2억이란 말이 500까지 떨어질 때가 있단 얘기죠? 더욱 예적금을 해야겠네요.
25/02/05 13:02
네 결국 예적금. 새겨듣겠습니다. 원화가 살살녹는게 너무 싫어서 달러나 금이 더 괜찮을까 고민을해봣는데 쓸데없는 고민하지말고 돈만 잘 빼서 묶어두겠습니다.
25/02/05 10:24
증권사 Wrap계좌에 일임하시면 됩니다. 본인 위탁계좌를 매니저가 일임해서 굴려 주는거에요. 물론 법인 계좌도 가능하고.
Wrap 상품 여러개 있으니까 어디 투자하는지, 최근 수익률, 변동률 등 보시고 본인 성향에 맞는거 고르시면 되요. 상품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추가 입금, 출금 가능하고 언제든 해지 할 수 있습니다. NH, KB, 삼성, 한투 등 메이저 증권사에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보통 지점에서 가입하지만 요즘엔 영상통화 통해서 앱으로 비대면 가입도 가능합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채권형 상품도 있습니다. 채권랩 한번 터진뒤로 단기채 상품들은 거의 원금 보장 된다고 보시면 되요. 이제 Wrap으로 만기미스매칭 운용 못해서... 여튼 직접 투자할 여력 없고 돈은 제법 목돈이다 하면 Wrap계좌가 정답입니다. 의외로 다들 잘 모르시더라고요....
25/02/05 10:27
재테크 하실 때가 아닙니다 (1)
매출이 커질수록 세금과 기타비용처리 문제가 심해지고, 10억 100억 매출이 쭉쭉 늘다가 알수없는 외부요인 등으로 매출이 순식간에 꼴아박거나, 직원이 사고치거나, 공장이 불나거나, 내가 다치거나 등등으로 현금을 써야 상황애서 현금 부족해서 대출로 막다가 접는 수준으로 갈 수도 있는게 사업입니다. 2025년 기준 순익 10억 찍으면 그때 가서 고민해볼일이죠. 리스크 대비 차원에서 대출 조절 & 예적금만 하는게 최고의 선택이죠.
25/02/05 13:03
네 감사합니다. 따끔한 조언 새겨듣겠습니다. 원화가치 야금야금 녹지않을까 하는걱정에 금이나 달러로 그냥 모아두는게 좋을지 계속 고민을 해봤습니다. 막 어디 주식에 투자를하고 굴리고 이런 생각은 없었는데 우선 본업에 충실하며 그냥 예적금으로 리스크 조절만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2/05 13:19
2가지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case1. 안정적 연매출 100억 해주는 바이어만 믿고 돈 펑펑 & 리스크 관리 안하고 사업하다 코로나19 로 망조 들고 바이어 눈밖에 나버려서 매출 쪼그라들고 작년 폐업처리 case2. 사업 몇번 말아먹고 한번 크게 성공하고 그돈으로 전혀 안해본 다른 분야 사업 시작하자마자 수십억 벌며 더 크게 일 벌이다 사기&배임 등로 구속 몇년내 매각&엑싯 생각하며 시작한게 아닌 이상 어떻게해야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할수있느냐부터 고민하는게 중요하지 내가 들고 있는 원화가치 좀 망가지는게 중요한게 아니죠.
25/02/05 10:36
몇년전에 비슷한 상황을 겪어봤는데
일단 연저펀 irp 소득공제 한도까지는 넣으시구요 추천은 s&p500 , 나스닥100 etf 반반 나머진 매달 예금자보호한도 4800정도 저축은행에 정기예금 1년만기 넣으세요 1년하면 6억정도 (중간에 더 생기면 추가로 한달에 두세개 더 만드셔도 되구요) 지금은 투자보단 시드 늘릴때니까 예금으로 하는게 맞구요 돈을 무조건 묶어놔야 모입니다 그리고나서 서울 부동산 어느정도 상급지(잠실 정도) 살만큼 모였으면 (30억 집이면 15억 현금 + 15억 대출) 바로 1주택 갭투자나 주담대 끼고 삽니다 일단 상급지 등기 하나 치고나서 다른 투자 그때부터 시작하세요 잠실 국평 한채 + 주식이나 비트코인 금 등등 투자해도 되고 1주택을 반포 압구정 정도 되는 최상급지 한채로 갈아타도 좋고 똘똘한 한채 만든뒤에 그뒤 투자는 각자 스타일대로 하면 됩니다 그때 되면 어느정도 감이 올거에요 그나저나 내년에 종합소득세 한번 내보면 현타 심하게 오실겁니다...
25/02/05 13:04
결국 이런 생각을 한게 돈을 따로빼서 묶어두지않으면 계속 돈이 나가고들어가고 제대로 모으지도 못하겠다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원화가 좋을지 달러가 좋을지 금이 좋을지 고민을 했던건데 일단 예적금으로 계속 착실하게 모아나가고 최대한 빨리 실거주 주택부터 목표로 하겠습니다.
25/02/05 13:00
금으로 돈을벌자 보다는 애셋파킹하기에 금보다 더 좋아보이는 자산이 없어서 그런건데 그땐 돈이 없었고 돈이 생기니까 겁이나서 못사고... 아무튼 그렇습니다 귀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